루분투 1) clean install을 해야한다? 2) 안되는 것이 많다?

  1. 중저가의 그리 성능이 좋지 않은 놋북에 주분투를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루분투가 더 빠릿하다는 말을 듣고 lubuntu-desktop을 추가로 설치하고 루분투로 로그인하여 사용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주분투에 비해 조금 빨라진 것 같기도 하지만 속도 차이 크게 못 느끼겠네요. 성능이 아주 떨어지는 놋북은 아니라서 고만 고만한 것인지… 아니면 주분투를 설치한 후에 lubuntu-desktop을 추가 설치했기 때문에 속도 차이가 없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루분투는 처음부터 루분투로 설치해야 빠른 속도를 느낄 수 있는 것인지요?

  1. 루분투가 빠르기는 하지만 안되는 것들이 몇가지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루분투로 로그인한 후 흔히 사용하는 몇가지 어플을 돌려 받는데 다 정상 작동하고 안되는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주분투에서는 안되던 파워매니지 기능(전원 연결시 자동으로 화면 밝아지고, 전원 뽑으면 어두워지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네요.

처음부터 루분투로 인스톨하면 안되는 것들이 있는데… 주분투를 설치한 후 lubuntu-desktop을 추가로 설치해서 별 문제 없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루분투에서 안되는 것들이라는게 어떤 것들인지요?

  1. 중저가의 그리 성능이 좋지 않은 놋북에 주분투를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루분투가 더 빠릿하다는 말을 듣고 lubuntu-desktop을 추가로 설치하고 루분투로 로그인하여 사용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주분투에 비해 조금 빨라진 것 같기도 하지만 속도 차이 크게 못 느끼겠네요. 성능이 아주 떨어지는 놋북은 아니라서 고만 고만한 것인지… 아니면 주분투를 설치한 후에 lubuntu-desktop을 추가 설치했기 때문에 속도 차이가 없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루분투는 처음부터 루분투로 설치해야 빠른 속도를 느낄 수 있는 것인지요?

=> 별 차이 없습니다.
=> 루분투(LXDE)나 주분투(Xfce)나 요샌 그게 그거에요.
=> 그 미묘한 차이가 체감이 되시면 컴퓨터를 잡고 계실때가 아닙니다. 올림픽을 노리세요. (웃음)

  1. 루분투가 빠르기는 하지만 안되는 것들이 몇가지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루분투로 로그인한 후 흔히 사용하는 몇가지 어플을 돌려 받는데 다 정상 작동하고 안되는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주분투에서는 안되던 파워매니지 기능(전원 연결시 자동으로 화면 밝아지고, 전원 뽑으면 어두워지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네요.

처음부터 루분투로 인스톨하면 안되는 것들이 있는데… 주분투를 설치한 후 lubuntu-desktop을 추가로 설치해서 별 문제 없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루분투에서 안되는 것들이라는게 어떤 것들인지요?

=> 어차피 리눅스에서 돌아가는 각종 프로그램은 그 밑바탕에 깔린 라이브러리만 있으면 구동 가능합니다.
=> 예를들면 루분투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KDE 관련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KDE 데스크탑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식이죠.

네…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루분투로 새로 설치할까 고민했었는데… 그럴 필요는 없겠네요.^^

(위 질문과는 다른 이야기지만… 윈도즈도 설치하여 듀얼부팅으로 이용한다면 윈도즈와 체감 속도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보고 싶지만… 딸랑 우분투만 설치했기 때문에…)

[quote="yemharc":38n5cgw1]
=> 그 미묘한 차이가 체감이 되시면 컴퓨터를 잡고 계실때가 아닙니다. 올림픽을 노리세요. (웃음)
[/quote:38n5cgw1]
사격이 적당할 듯 ^^

가끔 컴퓨터 모니터 노려보고 있다가 문득 생각해 보면,
그러는 내 모습 누가 보면 넘 웃길 것 같다는 생각을 가끔해요.
사격하듯 모니터에 집중하는 그 모습 ^^

저는 우분투를 설치한 그 안에 윈도그(VMware 나 VirtualBox 를 통하여)를 설치하여 컴퓨터를 쓰고 있습니다.

속도는 오히려 더 빨라진 느낌입니다.(적어도 느낌으로는…) 심지어 VMware 는 자체적으로 윈도우즈가 더 빨리 돌아가도록 가속 기능도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빠르게 느껴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보다 고수가 되시면 아예 파티션마저 나누지 않고 디스크 전체를 "btrfs" 라는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하시고, 버츄얼박스나 VMware 를 쓰시게 될 것입니다.

최신의 컴퓨터일수록 64 bit Windows 에 64 bit Linux 를 쓰셔야 합니다. 최신의 컴퓨터는 다 UEFI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32 비트 윈도우즈에 64 비트 리눅스를 쓰시면 boot-repair 라는 과정을 꼭 거치게 될 것입니다. UEFI 환경에서의 디스크는 GPT 라는 파티션을 쓰고, BIOS (기존의 32 비트 환경) 환경에서의 디스크는 MBR 이라는 파티션을 쓰기 때문입니다. boot-repair 라는 도구는 리눅스 설치 후에, GPT 파티션테이블을 MBR 파티션테이블로 바꾸어 주어 부팅 문제를 해결해 주는 프로그램인 것으로 저는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 GPT 가 가진 잇점은 누리지 못하게 됩니다. (틀린 내용이라면, 아시는 고수님들께서 꼭 지적해 주셔요)

제가 GPT 에 목숨을 거는 이유는 바로 해킹 때문입니다. 어느날 갑자기 디스크가 통채로 날아가 버리면 그 슬픔은 너무나 큽니다. DOS 시절에는 debug 라는 프로그램이 있었고 고수님들은 그 도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자신의 MBR 을 날려서 디스크 전체를 포맷하는 효과를 누리시기도 했습니다만 지금은,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에 원격으로 다른 사람의 디스크를 날려 버리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GPT 디스크는 그 공격에서 비교적 안전합니다. MBR 디스크는 날아가도 GPT 는 안전한 것입니다.

추신 : 64 비트 윈도그를 선전해서 죄송합니다. 저도 용돈 모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