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분투 10.04 설치후 텍스트모드로 작업하려고 런레벨 변경을 다음과 같이 하였습니다.
"/etc/init/rc-sysinit.conf 에서 원래 env DEFAULT_RUNLEVEL=2 로 돼있는것을 3으로 변경."
그런데 안먹히더군요… 우분투9.10에서는 먹혔는데, 10.04는 텍스트모드로 부팅 못하나요?
할 수 있다면 방법은 무엇인가요?
코분투 10.04 설치후 텍스트모드로 작업하려고 런레벨 변경을 다음과 같이 하였습니다.
"/etc/init/rc-sysinit.conf 에서 원래 env DEFAULT_RUNLEVEL=2 로 돼있는것을 3으로 변경."
그런데 안먹히더군요… 우분투9.10에서는 먹혔는데, 10.04는 텍스트모드로 부팅 못하나요?
할 수 있다면 방법은 무엇인가요?
[quote="gandi007":3bus3ak5]코분투 10.04 설치후 텍스트모드로 작업하려고 런레벨 변경을 다음과 같이 하였습니다.
"/etc/init/rc-sysinit.conf 에서 원래 env DEFAULT_RUNLEVEL=2 로 돼있는것을 3으로 변경."
그런데 안먹히더군요… 우분투9.10에서는 먹혔는데, 10.04는 텍스트모드로 부팅 못하나요?
할 수 있다면 방법은 무엇인가요?[/quote:3bus3ak5]
우선 데비안 우분투는 런레벨3이 콘솔모드로 부팅은 아닙니다. 레드햇 계열과 다르죠
그리고 이문제는 코분투문제는 아니고 우분투 10.04 문제인데
10.04 아니 9.04 부터 시작된 우분투 그놈 환경의(GUI) 이 기본 우분투는 부팅을 빠르게 하고
네트웍을 당연히 사용해야 하며 등으로 데몬시작이 전처럼 이루어 지지 않고 있습니다.
저도 요즘은 깊이 있게 살펴 보지는 못했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전에는 gdm만 시작 데몬에서 제거하면 GUI 부팅을 안하였는데 지금은 불가하도군요.
[list:3bus3ak5]따라서 콘솔부팅을 원한다면
[:3bus3ak5]ubuntu-desktop을 제거하는법(GUI 제거)[/3bus3ak5]
[:3bus3ak5]grub에서 single을 주 부팅으로 선택[/3bus3ak5]
[:3bus3ak5]tty1(alt+ctrl+f1)으로 로긴후 gdm stop 법[/3bus3ak5]
[:3bus3ak5]서버 설치후 사용하는법 (사실 서버 설치후에 ubuntu-desktop 패키지 설치하면 당연히 또 gui로만 부팅될지는 저도 안해보았습니다.)
등이 생각 되어 집니다.[/3bus3ak5][/list:u:3bus3ak5]
추후 더 좋은 방법을 알게 되면 댓글 더 써보겠습니다.
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etc/init/gdm.conf 파일의 이름을 gdm.disabled로 바꾸시면 다음 부팅부터 콘솔로 부팅됩니다 -_-a
검색해보니 다른 방법도 있더군요.
/etc/default/grub 열어서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에
text 추가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text" 로 변경후
sudo update-grub 명령으로 grub 재설정 하면 반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