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10.10~11.04 파타션 부트 문제

자동 파티션이나 전체 파티션 지정이요 자동의 경우 기존 원도우 뒤에 설치 하는대 여기 까지는 좋은대요 문제는 맨 먼저 우분투가 보여 주는 파티션에만 부트가 잡히는 버그가 있네요 즉 하드가 여러개의 경우 바이 오스에서 특정 하드를 우선으로 해서 선택 하여 사용 하여도 우분투는 자가가 맨 먼져 보여주는 파티션에 부트 입히내요 ㅡ,.ㅡ 파타션 전채 쓰기 해도 그러고요 바이오스 1 순위 하드에 설차 해도 그러내요 ㅠㅠ 초보자 들은 정말 남감 할듯 하여 의견 올림니다 전 수동으로 부트를 잡으니 되더라고요 ㅠㅠ 우분투 운영자님에게 버그 관련 오려 주셨으면 해요 ㅠㅠ 자동 이더라도 부트 따로 잡는 설절 추가 하거나 하면 좋겠어요

[quote="oklokl":2e9xu62b]자동 파티션이나 전체 파티션 지정이요 자동의 경우 기존 원도우 뒤에 설치 하는대 여기 까지는 좋은대요 문제는 맨 먼저 우분투가 보여 주는 파티션에만 부트가 잡히는 버그가 있네요 즉 하드가 여러개의 경우 바이 오스에서 특정 하드를 우선으로 해서 선택 하여 사용 하여도 우분투는 자가가 맨 먼져 보여주는 파티션에 부트 입히내요 ㅡ,.ㅡ 파타션 전채 쓰기 해도 그러고요 바이오스 1 순위 하드에 설차 해도 그러내요 ㅠㅠ 초보자 들은 정말 남감 할듯 하여 의견 올림니다 전 수동으로 부트를 잡으니 되더라고요 ㅠㅠ 우분투 운영자님에게 버그 관련 오려 주셨으면 해요 ㅠㅠ 자동 이더라도 부트 따로 잡는 설절 추가 하거나 하면 좋겠어요[/quote:2e9xu62b]

스마트폰으로 입력 하셨나요? 중간 중간 좀 읽기 어려운 단어들이 보이네요.

그리고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 됩니다;;; 이건 제 국어 실력 문제겠지요.

/boot파티션을 무조건 sda1로 잡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mbr 설정을 무조건 sda에만 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전자의 경우는 sda1에 있던 운영체제가 제대로 부팅되지 않을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sda를 바이오스에서 우선 설정 해 주지 않으면 부팅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생깁니다. 어느 쪽인지 상세히 말씀해 주세요.

제가 아이패드로 글을 써서 ㅎㅎ 이해가 안가시나봐요…

즉 쉽게 이야기 해서 물리 적으로 마스터 파티션 부트 입니다 그럼 마스터 파티션 부트가 있는 하드에 설치를 하면… 그놈이 마스터로 되어 있고 바이오스에서도 1순위이기 때문에 분명 1으로 되어야 하고 sda1 이라고 쳐도 그놈이 처빠따로 들어 가야 합니다 한대 문제는… sdc던 sdb던 그게 문제가 아니더라고요 -_-;; 자기 맘대로 잡아요 ㅠㅠ…

ㅎㅎ 우분투가 무적건… 다른 파티션 즉 NTFS 같은 파티션이나 큰 파티션을 보여 줍니다 설치 하려고 할때요 그럼… 그럼 다른 파티션에 전체 설치를 하거나…
윈도우에 이어 설치를 하여도 무적건… 우분투가 설치 하겠습니까 하고 첫번째 보여 주는 파티션에 부트가 입혀 집니다… 이말이에요…

즉 아무리 마스터에 깔아도 미쳐서는 다른 물리 적인 하드에 부트가 입혀지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 진다는 이야기 입니다 저도 이런 경우 -_- 한번도 안당해봐서 남이야기 인줄 알았습니다 네이버 지식인 분들중 일부 분들이 이런 증상 일어 난다고 질문 하더라고요… 전 안당할줄 알았는대 ㅎㅎ 저 역시 버그에 당하는 군요 ㅠㅠ…
대충 그래서 올린 거랍니다 더 궁굼 하신 부분 있으시면 물어 보세요…

저 제가 말씀을 정확히 이해했는진 모르겠는데 ;;

MBR ( Master Boot Record ) [url:2vwmvx2g]http://www.terms.co.kr/MBR.htm[/url:2vwmvx2g]

링크 내용처럼 하드의 첫번째 섹터 ( 즉 쉽게 첫 머리 제일 앞에 ) 설치 되게 되어있습니다. ( 바이오스에서 부팅시 하드에 첫머리를 읽게끔 되어있어서라고 해도 될까요? )

그렇다면 제가 지금 두개의 하드를 가지고 있어서 fdisk 내용을 보면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13 102400 7 HPFS/NTFS 윈도우에선 시스템사용
Partition 1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sda2 13 6528 52326400 7 HPFS/NTFS 윈도우에선 c:
Partition 2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sda3 6528 10485 31783937 5 Extended 윈도우에선 확장파티션
Partition 3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sda4 10486 19457 72067590 83 Linux 윈도우에선 확장파티션의 논리파티션 쭉 ( 물론 읽질 못합니다만 )
/dev/sda5 6528 10236 29784064 83 Linux
/dev/sda6 10236 10485 1998848 82 Linux swap / Solari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b1 1 19457 156288321 7 HPFS/NTFS 윈도우에선 d:

이렇게 읽혀지고 있습니다.

보통 사용자들의 경우엔 나란히 설치하시면 저의 하드에선 sda3 에 설치가 되고 부트레코드인 grub 2 는 sda 에 설치될듯 합니다. ( 전 항상 수동설정 해서 ;; )

그런데 이걸 바이오스 상에서 sda ( 첫번째 하드 ) 로 부팅 선택하지 않고 sdb (두번째 하드) 로 부팅 선택하고 설치를 진행하면 sdb 에 qrub2 가 자동으로 설치되었으면

바란다는 말씀이신거죠? 그런데 sdb (두번째 하드)를 처음 부팅으로 바이오스 설정하면 우분투 설치화면에서 sda 로 보이지 않나요? 제가 잘못 생각하고있는건가요?

ㅎㅎ 상식을 뛰어 넘어요… 그게 아니라 첫번째도 두번째고 상관 없고요… -_- 무적건…

자기가 원하는 공간 보여 줍니다… 그럼 거기에 부트가 입혀 져요…

ㅎㅎ 더이상 이상 할순 없죠… ㅎㅎ;;

수동으로 부트를 잡아 주지 않는 이상 죽었다 깨나도 거기에 입혀 집니다 -0-;;

그 말이에요 자꾸 복잡 하게 말씀 하시니 복잡 하고 분석… 하실까봐 ㅎㅎ… 간단 명료 하게 다시 정리… ㅎㅎ 이제 이해 하실듯 하네요 ㅠㅠ…
해볼 건 다 해봤어요 ㅎㅎ;; 제가 봤을때 버그 같아요 약간… 그런 듯 합니다 예전 버전은 그런거 없었거든요…
아무래도 프로그램이 -- 처음 보여 주는 파티션을 메인으로 잡아 버리는 버그 같아요… 즉 마스터 테이블로 잡는 듯 합니다… 무적건… 이유도 없음 --;; 물론 조건이야 있거지만요… 크다 싶으면 마스터 테이블이라고 하면 난감 하자나요 ㅎㅎ;; 다른 테이블이 공간이 협소 한것도 아닙니다…

제 경험상 파티션은 하드 디스크 내에서 할당된 순서대로만 보여지던데요
혹시나 싶어서…'하드 디스크’와 '파티션’이 확실히 구분이 안 되시는 건가요? 제가 보기엔 그 경우가 아닐까 싶은데
제가 이해를 못 하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뭐 일단 말씀드린다면 파티션은 하드 디스크 안에 나눠진 공간을 뜻하는 거지요.
하드디스크는 sda, sdb, sdc등으로 구분되고
파티션은 sda 내에서는 sda1, sda2, sda3…
sdb 내에서는 sdb1, sdb2, sdb3…등으로 구분되지요
(혹시나 알고 계셨는데 제가 이런식으로 말씀드려서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대충 이해한 대로 말씀을 드리자면

sda 150기가
sdb 200기가
sdc 80기가
이렇게 되어 있다면

설치 화면에서는 무조건 sdb가 맨 위로 가고

이 상태에서 우분투를 자동 설정으로 설치하면

우분투를 sda에 설치하든 sdc에 설치하든
바이오스 설정이 어떻게 되었든

mbr은 무조건 sdb에 기록되어서

바이오스가 sda나 sdc를 우선으로 읽을 때
grub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랍니다 ㅎㅎ 제가 이야기 하는 건 하드웨어를 뜯하는 말이고요… 줄여서 파티션이라고 말한 것 뿐입니다 ㅋㅋ 설마 제가

테이블이란 말까지 쓰면서 ㅎㅎ;; 파티션을 말한건… ㅎㅎ 제가 좀 헛갈리게 말한건 맞는듯 하내요 ㅋㅋ;;

전 구찮아서 그렇게 말했는 죄송 ㅎㅎ;; 물리 적인 하드 파티션… 즉 하드웨어 적인 다른 하드 를 말하는 거랍니다…

이유는 물리 적인 하드 파티션 이렇게 말하기 구찮자나요 ㅠㅠ… 그래서요 ㅎㅎ… 막써버렸네요… ㅠㅠ… 이해 하시라 생각 해서 ㅎㅎ;;
위에서 이미 물리 적인 표현 써서요… 이해 하신줄 알았어요 ㅎㅎ;;

'파티션’이란 말 자체가, 영어 단어 원 뜻에서도 구획을 뜻하는 거지요. 하드 디스크와 혼용하시면 아무도 못 알아듣습니다 -_-
하드 ‘디스크’, ‘파티션’ 잘 구분해 주세요.
'하드 파티션’이러시면…난감합니다;;
그럼 이제 의사 소통의 문제는 해결되었으니 문제 해결만 남은건가요? ;)

용어 정리 몇 자 더…
(처음 쓸 때 잘 생각해서 한 번에 쓰고 끝내야 되는데 꼭 생각나는대로만 휘갈기고… 나중에 보면 더 적어야 되겠고 또 댓글 달자니 거추장스럽고 편집하자니 다른 사람들이 못 볼 것 같고…제가 이렇습니다 ㅋㅋ)
'하드 디스크’는 눈에 보이는 기계 전체를 말합니다.
그리고 '파티션’은 하드 디스크 내에 나눠놓은 공간을 말합니다.
(partition n. 1 칸막이 v. 분할하다, 나누다 - 출처:네이버 영어사전)
'하드 디스크’를 줄여서 말하고 싶으시다면 '하드’라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물리적인 하드 파티션’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 내의 파티션을 떠올릴 수 밖에 없겠죠;;
아마 하드 디스크를 파티션으로, 파티션을 테이블로 알고 계셨던 모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