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4LTS(64Bit)설치관련

먼저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다름이 아니고 제가 레드햇계열만 사용하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데비안 계열인 우분투를 접해봤는데요…
12.04 LTS 64Bit를 설치후에 환경설정이라던가 필요한 패키지라던가 이런걸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ㅠㅠ
일단 yum,apm이 없다 보니까 좀 낯서네요 ㅜㅜ
apt-get이라는 명령어가 yum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 명령어라고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레드햇 과는 패키지명도 다를것이며, 무엇이 무슨 패키지도 모르고 ㅜㅜ
뭘 설치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ㅜㅜ
음지의 고수님들 많은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설치 후 해야할 것들에 대해서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패키지 명령어는 서로간에 별로 다르지 않으니 잠깐 서핑해 보면 금방 원하는 명령어는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배포판도 그렇겠지만 우분투는 기본 환경이 다 설정되어져 있어서 추가로 필요한 부분만 설치하거나 바꾸고 싶은 설정만 변경하면 됩니다.
일단 패키지 명령으로 즐겨쓰던 패키지를 설치부터 시작해 보시지요.

레드햇계일이면 페도라인가요? 아님 CentOS같은 서버계열인가요?
어쩌다 우분투까지 흘러 들어왔는지 궁금해집니다.
요새 유행은 '리눅스민트’라지요.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ibus-hangul
sudo apt-get install …
sudo apt-get purge …
apt-cache search …

ps.
저장소는 다음서버의 상태가 안 좋아서 다른 곳으로 변경해야 할 겁니다.

먼저 답변 갑사드립니다!
centos를 사용했었습니다~
이번에 회사에 들어오게 되면서 회사에서 클라우드 서버를 하나 구입했는데
그 서버에 올리는 OS가 우분투입니다.
그래서 지금 삽질 하고있는 중이고요
저는 왜이렇게 centos와 ubuntu가 많이 다르게 느껴질까요 ㅠㅜ

많이 달라요.

문서 좀 읽어 보세요. ubuntu server guide 검색하면 나올 거에요.

centos와 fedora는 redhat 계열이고,
ubuntu는 debian 계열이죠.

redhat 계열은, 패키지 관리 도구가 yum이고, 파일 종류는 rpm입니다.
debian 계열은, 패키지 관리 도구가 dpkg,apt-get이고, 파일 종류는 deb입니다.
어자피, DE(desktop environment)는 설치하기 나름이니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패키지 관리도구와 패키지 구성이 다르죠.
아무래도 이 부분에서 가장 크게 차이를 느끼게 될 것입니다.

답변 주신 3분 너무너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