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에 13.10설치, 한영키 인식이 안되요ㅠㅠ

반갑습니다… 4년만에 우분투 커뮤니티에 글을 쓰네요…
당시에 질문할 때는 kernel panic문제였는데 그냥 제 메인보드가 지원을 안하는 거였더군요…

잡설이었구요…

제가 노트북에 우분투 13.10을 설치하였습니다.
모델은 Dell Studio 1555 모델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입력소스는
영어(미국)
한국어(Hangul)
이렇게 두가지 쓰고있습니다.

한영키가 안먹혀서 전환키로는 수퍼+스페이스 사용중입니다.

터미널에서 xmodmap을 사용해보면
xmodmap: up to 4 keys per modifier, (keycodes in parentheses):

shift Shift_L (0x32), Shift_R (0x3e)
lock Caps_Lock (0x42)
control Control_L (0x25), Control_R (0x69)
mod1 Alt_L (0x40), Alt_R (0x6c), Meta_L (0xcd)
mod2 Num_Lock (0x4d)
mod3
mod4 Super_L (0x85), Super_R (0x86), Super_L (0xce), Hyper_L (0xcf)
mod5 ISO_Level3_Shift (0x5c), Mode_switch (0xcb)

mod1에서 한글키에 해당하는 0x6c번지 키를 Alt_R로 인식하고 있더군요.
그래서
xmodmap -e ‘keysym Alt_R = Hangul’ 입력 후 리부팅…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ㅠㅠ 심지어 다시 터미널에서 xmodmap 확인시 원상태로 돌아와 있더군요…

그래서 다른걸 시도를 해봤습니다…
xev를 실행해서 키코드를 확인하려 했더니만은

FocusOut event, serial 40, synthetic NO, window 0x4400001,
mode NotifyGrab, detail NotifyAncestor

FocusIn event, serial 40, synthetic NO, window 0x4400001,
mode NotifyUngrab, detail NotifyAncestor

KeymapNotify event, serial 40, synthetic NO, window 0x0,
keys: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이건 뭐 아예 키가 매핑이 안되어있는거 같더군요;;

그래서 입력 소스에다
한국어(101키/104키)를 추가해서 xev를 실행해도 결과는 마찬가지,
xmodmap을 실행했을때는 Alt_R 대신에 Hangul이 추가되어있더군요…
그래서 구글링한걸 적용시켜봤어요.
한글을 없애면 된다길래
xmodmap -e ‘remove mod1 = Hangul’
소용이없습니다…ㅠㅠㅠㅠ

해결 방법이 절실합니다…
아… 한글(101/104)해놓고 한번씩 xev에서 한글키가 인식이 되서
키코드 108을 확인한적이 있습니다.
그 때에 터미널에서 ibus-setup으로 들어가서 전환키를 hangul로 바꿨더니 되는거에요
그때 한영키를 눌러보면 영어에서 한글로 바껴요. 근데 다시 한영키를 누르게되면
영어로 전환이 안되네요…
입력소스 편집기에서는 전환키에 한영키를 입력했더니 Alt_R + Hangul 이렇게 나왔었구요.
그래서 또
xmodmap -e ‘remove mod1 = Hangul’
한 후에 다시 전환키에 한영키를 입력하면
한글키 혼자서 사용을 못한다고 그러고…

그후에 다시 xev실행하면 위와같이 키매핑이 안되어있는듯이 결과가 출력되구요…

여튼 그냥 미칠판입니다
navi나 fc어쩌고도 안되구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ㅠㅠ

다른 입력 도구로 변경 하십시오. 고민을 참…!!

다른 입력기로 바꿔도 안된다니까요…

무엇으로 변경하셨습니까?

예) nabi로 변경하실 경우

sudo apt-get install nabi im-config

sudo im-config -c (hangul 선택)

예) uim으로 변경하실 경우

sudo apt-get install uim uim-byeoru uim-gtk2 uim-gtk3 uim-qt

설치 후 uim 설정에서 키설정에서 한글, 한문 키 설정, 디폴트 입력기를 벼루 선택

sudo im-config -c (uim 선택)

예) ibus 에서 한글 키 적용

sudo ibus-setup (한영키 추가)

로그아웃 전 다른 입력 도구를 적용 하시려면 ibus extension에서 한글과 영문 삭제하시거나 dconf-edit를 이용해서
org.gnome.settings-daemon.plugins.keyboard > active 해제하시면 트레이에서 extension이 사라집니다.

로그아웃 후 재 로그인 하시면 적용 됩니다.
uim을 추천 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 하십시오.

[quote:1hykvowf]그 때에 터미널에서 ibus-setup으로 들어가서 전환키를 hangul로 바꿨더니 되는거에요
그때 한영키를 눌러보면 영어에서 한글로 바껴요. 근데 다시 한영키를 누르게되면
영어로 전환이 안되네요…[/quote:1hykvowf]

위의 이유는 ibus-setup에서 입력소스 부분을 보시면 custom 어쩌구 어쩌구에 체크되어 있어
그런 것 입니다. 체크 해제 후 재 로그인 하십시오.

벼루에서 키를 잡을 때에도 한영키를 입력하면 아예 인식이 안됩니다.

글에서도 제가 하소연하고있는것은…
아예 한영키 자체가 인식이 안된다는 것입니다…ㅠㅠ 시스템에요 ㅠㅠ

[attachment=0:1whxmeol]hangul-key_xev.png[/attachment:1whxmeol]
xev에서 한영키를 입력하면 이렇게떠버립니다…

노트북에서 virtualbox로 우분투를 설치 하셨나요?
아니면 키보드가 106키 인가요? 요즘은 흔하지 않는데…;

적용을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으나
홈디렉토리에 .Xmodmap을 만드시고

vi .Xmodmap

keycode 64 = hangul
keycode 몇번이죠? = hangul_hanja

적용해 보시고 재부팅 후 안되시면 말씀해 주세요.

keycode 130 (keysym 0xff31, Hangul)로 나와야 되는 데
왜 64로 나오는지 키보드 형식을 확인해 보십시오.

아마도 alt, 한영키 모두 작동하지 싶은 데 유니티 시스템 설정에서 바로잡아 주어야 할 것 입니다.

한글 키보드 선택할 때 두 가지 있지 않나요? 그냥 101/104하고 101/104 호환하고.
안되면 다른 걸로 해보세요.

키코드 설정은 전적으로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이라 입력기 하고는 상관 없을 거에요.

[quote:2ut78qv9]아… 한글(101/104)해놓고 한번씩 xev에서 한글키가 인식이 되서
키코드 108을 확인한적이 있습니다.
그 때에 터미널에서 ibus-setup으로 들어가서 전환키를 hangul로 바꿨더니 되는거에요
그때 한영키를 눌러보면 영어에서 한글로 바껴요. 근데 다시 한영키를 누르게되면
영어로 전환이 안되네요…
입력소스 편집기에서는 전환키에 한영키를 입력했더니 Alt_R + Hangul 이렇게 나왔었구요.
그래서 또
xmodmap -e ‘remove mod1 = Hangul’
한 후에 다시 전환키에 한영키를 입력하면
한글키 혼자서 사용을 못한다고 그러고…[/quote:2ut78qv9]

위에서 이미 해결하셨으면서도 그러시는 군요!
우분투 설정에서 키보드 바로가기 전환키(맞나?)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 한영키를 눌러보면 영어에서 한글로 바껴요. 근데 다시 한영키를 누르게되면
영어로 전환이 안되네요…"

ibus-setup 에서 두번째 탭에 custom 뭐라 되어 있는 것을 체크 해제 하십시오.
체크되어 있으면 한글이 먼저지 영어가 먼저지에 따라 하나로 고정됩니다.

재로그인 후 확인해 보십시오.

키보드 설정은 101/104 키가 맞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키보드 설정이 엉뚱하게 되어 있어 uim이나 nabi에서 한영키를 인식 못하는 것 같습니다.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

말씀하신대로 두번째 탭에서 체크 해제한 뒤에 키보드 배치 설정해서 사용할 입력소스를 한국어(101/104키 호환)만 남겨놓았더니
한영키 입력시 한/영 전환이 잘되네요 ㅠㅠ

감사드리고 또 감사드립니다 ㅠㅠ

어라…근데 몇번 전환잘되더니 또 안되네요;; 한글에서 영어전환이 안되요
그러다가 ibus-setup 창이나 상단바에서 입력소스를 직접 선택하면 또 바껴서 몇번 되다 안되다 그러네요;;

지금 제 노트북 상태입니다

[attachment=2:287ui6s2]status1.png[/attachment:287ui6s2]
여기서 다음 입력소스 키를 설정하려고 한영키를 입력하면 저렇게 알트+한글이 되어버립니다…;

[attachment=1:287ui6s2]status2.png[/attachment:287ui6s2]
여기서는 다음 입력기 옆의 …을 누르고 한글을 선택하려고 한영키를 입력하면
그냥 인식이 안되는 사태가…
저기 들어가있는 hangul은 전에 잠깐 지금처럼 한영키가 몇번 먹힐 때 간신히 설정해둔거고요;;

[attachment=0:287ui6s2]status3.png[/attachment:287ui6s2]
두번째 탭에서 체크를 해제한 모습이에요…

이상태에서 위에서 말씀드린데로
한영키 전환이 몇번 잘 되다가 안되고 그런 상황이네요…

[quote="hanyul95":rquhsrr7]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

말씀하신대로 두번째 탭에서 체크 해제한 뒤에 키보드 배치 설정해서 사용할 입력소스를 한국어(101/104키 호환)만 남겨놓았더니
한영키 입력시 한/영 전환이 잘되네요 ㅠㅠ

감사드리고 또 감사드립니다 ㅠㅠ[/quote:rquhsrr7]
고생하셨습니다.

사용하는 입력기 사용자 설정에 체크해줘야 하지 않나요?

키보드가 접촉 불량인가요?
문제가 심각하네요! 다른 mapping은 손대신 것은 없는 가요?

아마도 그림에 보니 전환키를 수정하신 것 같은데
1번 그림의 텍스트 전환키가 현재는 alt_hangul 인데
이것을 super+space로 변경하시고
2번 그림에서 전환키가 현재는 hangul만 있는 데 옆에 "…" 버튼을 클릭하셔서
super+space를 하나 더 적용해 보십시오.
즉 hangul;super+space 둘다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런 후 재부팅하셔서 확인해 보시고
안된다면 키보드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확신 합니다.

키를 드라이버로 빼시고 청소를 한번 해보심이…^^

윽! 두번째 탭에 설정이 잘못 되어 있네요!
한국어와 영어만 설정하시면 되고 101/104 호환 어쩌구는 지우십시오.

키보드 설정은 우분투 설정의 키보드 설정에서 하셔야죠!
아! 그림을 찍으면 좋은데 지금 설치할수도 없고…!!
이거 이해가 잘되셔야 하는 데…!

일본 애들 그림이지만 아래 목록에 한국어와 영어(미국)만 있으면 됩니다.

차분히 적어 주신 글을 다시 한번 확인하다가
키보드가 101 키인지, 101/104 호환 키인지 106 키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하시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일부 노트북이 106 키인 제품이 있기는 있지만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101/104키 인 것 같지만 xev에서 키를 찍으니 인식을 못하는 것이
조금은 수상합니다.

우분투 설정에서 키보드를 101 키와 101/104 키로 적용해서 xev에서 한영키를 찍었을 때
한영키를 인식하는지 정확히 파악 하십시오.

제대로 설정하셨다는 전제하에 위의 그림으로 볼때 101/104 키가 아닐 확률이 있습니다.
만약 106 키라면 커널 자체에서 인식을 못 합니다. 물론 커널을 새로 컴파일 하시면 되지만
106키를 인식 시키는 방법은 저도 잘 모르겠군요!

아마도 사용자가 없으니 우분투 자체에서 목록에 포함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키맵핑을 하셔야 하는 데 이전 댓글의 Xmodmap 설정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106키가 아니길 기원 합니다.

이글 쓰려다 발로 컴을 차서 기막힌 상황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아! 밤을 세고 말았습니다. 좋은 일요일 그리고 연말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