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14.04에 눈을 돌리고 있는 지금....

모두가 우분투 14.04에 눈을 돌리고 있는 지금, 저는 구형노트북을 살리기 위해 크런치뱅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우분투 이외에 민트를 잠시 써 보았으나, 전체적으로 시스템을 짜는데 있어서는 한 배포 버젼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결국 12.04로 사무실 운영체제를 통일하였습니다.

그러나 제가 가지고 있는 도시바 L20(인텔 셀러론 모바일 싱글코어 1.6에 450메가 램, 하드 60기가)를 돌리기에 우분투는 너무나도 거대하였습니다.

자꾸 자꾸 시스템이 얼어버려서 고민하던 중 결국 가벼운 배포판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같은 데비안 계열의 크런치뱅을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더 가벼운 아치리눅스로 훅 건너뛸까도 해보았지만 먼저 크런치뱅을 올려서 돌려본 후 판단해도 늦지 않을거 같아 마음을 굳히고 700메가 분량의 배포판을 다운 받아 설치를 하였습니다.

[attachment=0:11e7xbg5]SCREEN.png[/attachment:11e7xbg5]

지금 현재 큰 만족감을 얻고 있습니다. 리브레오피스도 작동되고, 웹서핑과 파일 탐색을 하는데도 어려움이 없구요. 데비안 계열이라 기존의 우분투 환경에서 사용해오던 스크립트들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틀어놓기만 해도 400메가 램을 거의 다 잡아먹던 우분투와는 달리 켜놓았을 때 120~140메가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 지라 노트북에 부담이 덜 가보이네요.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를 쓸 수 있기 때문에 우분투상에서 사용하던 소프트웨어는 왠만해서는 이곳에서도 다 설치 활용이 되는 거 같습니다.

톰보이를 살려 쪽지들을 그대로 땡겨왔을 뿐만 아니라 크런치뱅으로 넘어오니 죽어있던 톰보이 자체 단축키가 살아났습니다. 전 이게 너무 즐겁네요.

이전에 우분투 10.04대 버전을 사용하던 것을 떠올리며 어제 밤 콘키를 만지작 거려 보았습니다. 화려한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복잡한 기능들 보다 이렇게 글로 타이핑 하면서 만지작 거리는게 저에겐 훨씬 편안하게 다가오네요.

세상에 꼭 우분투만 있지는 않나봅니다…(헉…!!)

저같은 경우 debian위에 mate을 올렸습니다… 즉 gnome2을 기반으로 하는 것인데… 초기 메모리 사용은 170-180정도였던걸로 기억됩니다…
gnome3가 초기에 260-70정도 잡아먹는 것에 비헤 많이 절약할수있는 듯합니다… 확실히 가장 많이 메모리을 잡아먹는 것은 웹브라우저을
띄울때와 컴파일 할때겠죠… 그외는 가볍게…

[quote="wewoori":3mmeg5d7]저같은 경우 debian위에 mate을 올렸습니다… 즉 gnome2을 기반으로 하는 것인데… 초기 메모리 사용은 170-180정도였던걸로 기억됩니다…[/quote:3mmeg5d7]

민트리눅스 메이트를 설치하신게 아니고 데비안을 까시고 그 위에 바로 메이트를 올리신건가요?

전 요즘도 우분투10.10에서 쓰던 그놈 환경이 그리워요.
10.04도 깔아봤는데, 이 노트북에는 크런치뱅이 훨씬 더 잘 어울리는거 같아요~ ;)

와우~ 멋집니다.
저도 깔아본 것 중에 만족도가 젤 높은게 크런치뱅 같아요.
사무실에서 쓰는 업무용 PC는 회사 그룹웨어 라던가 주력으로 쓰는 어플리케이션 때문에 리눅스를 사용할 수는 없지만
버츄얼박스에서 데비안+오픈박스 띄워서 씁니다. 데비안+오픈박스=크런치뱅이나 마찬가지니깐… 헤헤헤…
암튼 저는 태스크바로 사용하는 Tint2도 없어버렸어요. 콘키도 안 쓰고…
완전 깔끔… 잡스런 그림 아이콘 같은거 하나도 없이 속시원하게 뙇!

저도 지금 크런치뱅으로 글을 남기네요.

근데 루분투도 좋지 않을까요?
아직 제대로 써보지 않았지만 첫 LTE버전이라 기대가 큽니다.

크런치뱅도 오래 쓰고 있는 중이지만
데비안은 패키지들이 좀 오래됐고
PPA 패키지들 좀 써볼까 할때 아쉽고
크런치뱅 저장소가 가끔 죽는게 좀 불만입니다.

특히 저사양 PC에서
crunchbang
lubuntu
debian lxde버전
들이 참 좋았습니다.

저 역시 넷북에 루분투 설치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작업하는데 정말 좋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