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시작할 때 파이어폭스를 띄우고, 퇴근할 때 파이어폭스를 끕니다.
그리고 올인원 마우스제스쳐를 쭉 사용했었죠.
그러던 어느날(사실은 종종), 파이어폭스가 3.6으로 판올림하면서 올인원 제스쳐가 비활성화 되더군요.
뭐, 늘 한박자 늦게 버전업 되었으니 이번에도 좀 기다리면 나오겠지 했습니다만…
기다림에 지쳐갈 무렵, 에드온 홈페이지에서 올인원 제스쳐에 대한 댓글을 보니, 개발자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는군요.
사실, 다른 제스쳐 에드온도 사용해 보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참 극복하기 힘들더라구요.
머리는 똑같은 제스쳐 에드온이라고 생각하는데, 손끝에서 거부감이 밀려오니…
[quote="Vulpes":jsw3w0b7]저도 원래 All-in-one Gestures를 쓰다가 FireGestures로 옮겨탔었는데… 크게 다른거 못 느끼겠던데요? 어떤 면에서 차이가 있나요?
옮
웬만하면 올인원보다는 다른게 낫지 싶습니다. 올인원은 사용하는 기능에 비해 너무 무거워져서…;;;
크롬은 안 쓰는지라 패스…[/quote:jsw3w0b7]
오우… 실시간 댓글… ^^*
그런데 올인원이 무거웠나요? 파이어제스쳐가 녹색줄 맞죠? 예전에 올인원 사용하다 잠시 파이어제스쳐를 사용한 적이 있는데, 한달 쯤? 잘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올인원으로 돌아왔었죠.
[quote="환상경":ci28gjtl]저는 all in one gesture 외에 다른 gesture 프로그램을 사용못하겠는게
이전페이지로 갈때 마우스 오른버튼 누른채로 왼쪽 버튼을 클릭
다음페이지로 갈대 마우스 왼쪽버튼 누른채로 오른쪽 버튼 클릭
바로 이기능때문이죠 ~_~[/quote:ci28gjtl]
Rocker Gesture기능인데, 이건 FireGestures에도 있습니다 ^^
그리고 AIOG는 메모리 누수 관련해서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분명 KLDP였나 모질라 포럼이었나에서 이거때문에 시끌시끌 했었는데 잘 기억이 안나네요. [url=http://www.ubuntu.or.kr/viewtopic.php?p=10769#p10769:ci28gjtl]이 글을 올리기 얼마 전이었던 것 같으니까[/url:ci28gjtl]… 아마 제작년 말쯤이었거 같은데…
아무튼 전 그걸 빼니까 체감속도가 꽤 올라가더군요. 뭐, 그 후로 고쳤을수도 있겠지만 한번 문제였던 확장이다 보니 아무래도 꺼려지게 됩니다. 여기서도 몇번 관련 글을 올린 기억이 있어 검색해 봤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했다고 제가 언급을 안 했더군요. -_- 제대로 좀 적어 놓을걸…;;
한빈군이 이야기 한거와 마찬가지로… (1년전인가 xpi 새로 만들거나 수정하는법을 한빈군 가르쳐 주었죠 )
파폭 확장 기능들이 파폭 버전업으로 안되는 경우
파폭 개인 설정 디렉에서 그 확장기능 찾아가 [b:333xixq7]install.rdf 파일에서 지원 최대 버전(em:maxVersion) 수정[/b:333xixq7]하면 90%이상 다 됩니다.
[attachment=0:333xixq7]screenshot1.png[/attachment:333xixq7]
…아님 그걸 하기 싫으신 경우, [url=https://addons.mozilla.org/en-US/firefox/addon/421:2yk62qyg]Mr. Tech Toolkit[/url:2yk62qyg]을 깔아 보세요. 여러 가지 기능이 있지만 그 중, Add-ons목록에서 버전이 맞지 않는 호환기능에서 우클릭을 하면 강제로 활성화 시키는 메뉴가 생깁니다. 결국 같은 일을 해 주는 겁니다만 좀 더 하기 쉽지요
호환성모드를 강제로 바꿔주는 애드온을 설치하는것도 한방법이고
강분도님이 알려주신방법도 한 방법이긴하지만
두 방법다 문제가 있거나 성가신 방법이죠
우선 호환성모드를 강제로 바꿔주는 애드온이 현재 버전 파이어폭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역시 사용불능이고
[s:1f6g3ivy]강분도님이 알려주신 방법은 확장기능 xpi 파일을 푼뒤에 수정하고 다시 압축해야한다는 번거러움이 있죠 ^^;;;[/s:1f6g3ivy]
추가) 아 분도님 방법은 개별 xpi파일을 푸는게 아니었군요 -0-
저도 처음에는 분도님의 방법을 사용하다가 나중에 호환성강제 모드 애드온을 사용했지만
about:config 에서 설정할수 있는 방법을알게된 이후로 그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