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컴의 경우 64비트 윈도우를 보니까 반이상이 32비트 프로그램이더군요
64비트가 없다거나 32비트를 추천한다거나 하는데
그러면 리눅스(우분투)경우 64비트 환경에서 저장소에 있는 각종 프로그램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궁금하네요.
32비트 64비트가 섞여 있는것인지 아니면 윈도우와 달리 64비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 컴의 경우 64비트 윈도우를 보니까 반이상이 32비트 프로그램이더군요
64비트가 없다거나 32비트를 추천한다거나 하는데
그러면 리눅스(우분투)경우 64비트 환경에서 저장소에 있는 각종 프로그램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궁금하네요.
32비트 64비트가 섞여 있는것인지 아니면 윈도우와 달리 64비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64비트 컴퓨터 환경이 거의 완벽하게 자리 잡은 운영체제는 리눅스가 유일 할 것 입니다.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이 64비트 전용으로 포팅되어 저장소에서 배포되고 있으며
일부 32bit 전용 프로그램(일부 비공개 프로그램)이 있기는 하지만 컴파일 과정을 거치면 64비트로 작동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64비트 환경에서 32비트 프로그램이 돌아가지 않는 것도 아닙니다.
윈도우 처럼 완벽하게 양쪽 환경에서 운영이 가능 합니다.
현 우분투 64비트 환경에선 아래 명령어를 통해 32비트 환경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아주 특수한 경우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64비트 프로그램으로 되어 있습니다.
소스가 공개되어 있으니깐 64비트 용으로 컴파일만 하면 돼니깐요…
64비트 환경을 완벽하게 구성하는 것은 리눅스가 최고이지 싶습니다.
[quote:2e7hj3k3]
현 우분투 64비트 환경에선 아래 명령어를 통해 32비트 환경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quote:2e7hj3k3]
제가 사용하는 몇몇 32비트 application들은 아무런 추가 조치 없이 64비트 우분투에서 문제없이 잘 돌아갑니다.
위 32비트 환경은 무었에 사용하나요? 일부 32비트 application은 위 조치를 해 주어야 하나요? 아니면, 개발자에게 필요한 것인가요? 예를 들어 32비트 library를 설치한다든지…
아마도 ubuntu 13.04 부터 인가요? (정확한 버전은 모르겠군요…^^ 어느 순간 바꿔서!)
처음 포팅된 배포반은 64비트에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32비트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 배포반에선 추가 적인 작업이 필요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명령어를 통해 아키덱처 추가할 수 있으며
추가해 주어야 32비트 이용시 필요한 의존성을 해결해 줍니다.
페도라, 오픈 수세등의 배포반은 이런 작업이 필요 없습니다.
이전의 우분투 처럼 특별한 작업 없이 양쪽 환경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quote="workman729":vtzxg4gp]아마도 ubuntu 13.04 부터 인가요? (정확한 버전은 모르겠군요…^^ 어느 순간 바꿔서!)
처음 포팅된 배포반은 64비트에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32비트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 배포반에선 추가 적인 작업이 필요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명령어를 통해 아키덱처 추가할 수 있으며
추가해 주어야 32비트 이용시 필요한 의존성을 해결해 줍니다.
페도라, 오픈 수세등의 배포반은 이런 작업이 필요 없습니다.
이전의 우분투 처럼 특별한 작업 없이 양쪽 환경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quote:vtzxg4gp]
그렇군요. 제가 사용하는 32비트 프로그램은 다행하게도 의존성 문제가 없었나 봅니다.
또 한 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