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0GB 하드 파티션 이렇게 해서 씁니다만

다른 분들은 어떻게 쓰시는지요?

/dev/sda1 40GB Windows XP
/dev/sda2 40GB FreeBSD
/dev/sda3 40GB test1
/dev/sda4 [~520GB] extended
/dev/sda5 354GB NTFS data
/dev/sda6 4GB swap
/dev/sda7 40GB /
/dev/sda8 40GB /home
/dev/sda9 40GB test2

우선 PC 하드가 4개의 프라이머리/익스텐디드 파티션을 갖을 수 있어서, OS를 여러개 깔아보고 또 테스트용(베타버전) 깔아두 보구 할려면 최대한 많은 독립된 파티션이 있는게 좋기땜에

/dev/sda1, /dev/sda2, /dev/sda3 프라이머리 파티션
/dev/sda4 익스텐디드 파티션

이렇게 잡아놨어요. 일단 프라이머리 파티션 3 곳에 OS 를 3 개 설치가 가능해지죠. 현재는 XP 하고 FreeBSD를 깔아놓구 씁니다.

리눅스는 익스텐디드파티션내의 로지칼 파티션에도 설치가 가능하기땜에 최대한 많은 OS를 깔 수 있게 하자는 일념하에 우분투 / 와 스왑하고 /home 은 로지칼 파티션으로 잡아놨어요.

정식으로 우분투 파티션 잡을려면 최소한 /tmp 하고 /var 도 독립된 파티션으로 놔눠주는게 좋지만 혼자 쓰는 데스크탑이라서 생략.

이렇게 해놓고 예를 들어서 우분투 10.10BETA를 테스트해봐야겠다 하면 test2 파티션에 깔아보는거죠. OpenSolaris를 깔아봐야겠다 하면 프라이머리 파티션인 test1에 깔면 되구요.

나름 1개의 하드에 최대한 많은 숫자의 OS를 설치 가능하게 파티션 해놓고 쓰는 중입니다.

XP가 아니고 윈도우7 쓴다면 /dev/sda1 을 60GB 정도 잡는게 좋아보여요. /dev/sda5 NTFS 파티션 크기를 20 GB 줄이면 됩니다.

저는… 컴터마다 OS 따로 하는게 좋은… =.=

[quote="haze11":2ros2xwh]저는… 컴터마다 OS 따로 하는게 좋은… =.=[/quote:2ros2xwh]

저는… 컴터 하나에 OS 죄다 넣는게 좋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