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7/우분투 12.10 동시에 설치되어있습니다. 우분투로 부팅 후 윈도우를 실행시킬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우분투 초짜입니다. 스크립트 공부하면서 그냥 우분투도 같이 하면 좋을듯해서 오래간만에 우분투를 설치해보았습니다.
예전 컴퓨터에는 죽었다가 깨어나도 우분투가 설치가 안되었는데 이번 컴퓨터는 설치가 너무 쉽게 되어서 기쁘게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우분투 사용중 가끔씩 윈도우로 돌아가서 처리해야 할 문제가 있는데요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때마다 컴퓨터 재부팅하는게 너무 귀찮아서요.

[color=#408080:1h0exz93]윈7/우분투 12.10 동시에 설치되어있습니다. 우분투로 부팅 후 윈도우를 실행시킬 방법이 있나요?[/color:1h0exz93]

:)

제목 그대로입니다.

하드 상태는 그냥 C: 드라이브 한개에 윈도우 설치되어있었는데 거기에 우분투 폴더 한개 만들고 설치가 된듯 싶더라구요.

알려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모두 좋은 하루들 보내시구요. 행복 하시구. 돈도 많이 버시고. 평안한 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virtualBox

한 운영체제를 부팅하고 그 내에서 다른 깔려 있는 운영체제를 불러온다는건 일단 제가 들어본 봐로는
없는걸로 압니다.
대체 방법이 운영체제 가상화 기술인 버츄얼 박스나 VMWare 같은 프로그램이죠.
용도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분투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부분은 주로 게임 등 우분투 용이 없는 프로그램, 우리나라 인터넷 뱅킹, 윈도우쪽 크로스 컴파일 정도겠네요.
게임이나 포토샵같은 무거운 프로그램들은 아예 다시 윈도우로 부팅하는걸 추천합니다 아직까지는…

인터넷 뱅킹이나 크로스 컴파일 정도는 가상화 프로그램에서 충분이 돌리는게 가능할겁니다.

별도 파티션에 우분투를 설치하신게 아니고 Wubi를 이용해서 윈도우즈 드라이브에 우분투를 설치하신 것 같아 보입니다.

원하시는 방법은 Virtualbox를 이용하시는 게 가장 편하실 겁니다.

주로 사용하시는 것을 통짜로 깔고 가끔 쓰는 것을 virtualbox에 설치해서 사용하시면 편리하지요.

컴퓨터 사양이 좀 좋아야, 특히 램 용량이 넉넉해야 좋습니다.

모든 댓글들 감사드립니다.

:D

버츄어박스를 공부해 봐야하겠네요.

버츄어박스를 우분투에 설치해야하는 것이겠죠?

그럼 혹시 윈도우를 실행시킨 후에 우분투를 그 안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그것도 버츄어박스로 되는건지…
아직 공부를 안해봐서 잘 모르겠군요.

[quote:29hhlhm1]한 운영체제를 부팅하고 그 내에서 다른 깔려 있는 운영체제를 불러온다는건 일단 제가 들어본 봐로는
없는걸로 압니다.[/quote:29hhlhm1]

저도 우분투 계열에서는 그런 획기적인 기능을 본 적이 없습니다.
[color=#FFFF00:29hhlhm1]여담이지만, OS X 매킨토시 시리즈는 BootCamp 를 이용해 다른 OS를 설치하고
맥 OS에서 페러럴즈나 VMWare 를 통해 실제 OS를 불러와 에뮬레이션 가능합니다.[/color:29hhlhm1].

질문에서 요청사항을 좀더 명확하게 해주시면 좋겠는데요

정확히는 윈도우로 들어가서 해야 하는 작업이 무었인가 하는것이죠.

3가지 경우로 나누어보면

  1. 해당작업이 리눅스상에서 가능하므로 대체프로그램을사용한다 . 오피스등이 있을수 있겠죠
    대신 libreoffice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답변이 가능할 겁니다.

  2. 게임과 같은 특정 프로그램을 돌리고 싶다. …
    저또한 윈도우 파티션을 게임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블리자드등의 메이져 게임사들의 게임들은 리눅스상에서 wine등으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3. 완전히 윈도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돌려야 한다. 대표적으로 인터냇뱅킹이나 visual studio…
    이런건 답이 없습니다. vitualbox나 vmware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quote="readmefile":330vhpx5]그럼 혹시 윈도우를 실행시킨 후에 우분투를 그 안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그것도 버츄어박스로 되는건지…[/quote:330vhpx5]
[url:330vhpx5]https://www.virtualbox.org/[/url:330vhpx5] 가서 보면

[quote:330vhpx5]Presently, VirtualBox runs on Windows, Linux, Macintosh, and Solaris hosts and supports a large number of guest operating syste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Windows (NT 4.0, 2000, XP, Server 2003, Vista, Windows 7), DOS/Windows 3.x, Linux (2.4 and 2.6), Solaris and OpenSolaris, OS/2, and OpenBSD.[/quote:330vhpx5]
라고 써 있습니다.
실제 컴퓨터를 제어하는 운영체제(host)와 가상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운영체제(guest)를
다양하게 지원한다고 하는 모양입니다.

운영체제로 부팅한 후, 다른운영체제를 불러온다는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입니다.
잘 모르시는분들은 버쳘박스나 와인등을 보고 그게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하시는데 거의 불가능합니다.

컴퓨터 부팅과정을 설명드리자면…
먼저 전원이 켜지면, 하드웨어 동작이 진행되어 롬바이오스가 제어권을 갖습니다.
롬바이오스는 롬(ROM-Read Only Memory)과 바이오스(BIOS-Basic Input Ouput System)의 합성어입니다.
ROM은 RAM(Random Access Memory)와 다르게 출고당시 전기-전자적으로 프로그램되어 있습니다.
이 롬바이오스에서 컴퓨터의 메인보드와 메모리,주변장치들을 검색하고, 그러한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하고,
이후에 기동될 운영체제에서 이러한 장치들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정보를 메모리에 담습니다.
그리고, 각종 제어기능들을 제공하게 됩니다. 이것을 롬바이오스펑션(Rom bios function)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드웨어장치들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하드부팅(hard boot)라고 합니다.
그리고 나서, 외부장치로 부팅을 시도합니다.
이과정에서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저장영역에 접근하고, 보통 이것을 MBR(master boot record)라고 합니다.
MBR에는 각 운영체제별로 자신의 운영체제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부트코드가 들어가고, 이 부트코드로 점프하여 운영체제로 부팅이 시작됩니다.

여기서 부터가 웜부팅(warm boot)라고 하며, 운영체제를 로드하고… 운영체제가 기능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보통 운영체제는 롬바이오스펑션과 메모리에 담긴 롬바이오스정보를 기반으로 고유의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그러한 기능들을 시스템 펑션(system function)혹은 시스템콜(system call)이라고 합니다.
일반 어플리케이션들은 이런 시스템펑션을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은 롬바이오스 펑션에 직접접근의 불가능하게 됩니다.

운영체제를 통과(by-pass)하여 하드웨어를 제어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체제들은 메모리내의 롬바이오스제어기능들을 숨기고, 운영체제를 통해 합법적으로 접근하게
기능들을 교체하게 됩니다.
그리고는, 드라이버(driver)라는 형태를 제공하여, 하드웨어 저작자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운영체제에서 관리하고,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라이버의 기능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능들을 모두 합하여 커널이라고 합니다.
운영체제는 이러한 커널과 커널과 소통하는 쉘, 그리고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운영체제는 각각의 특징이 있고, 기능도 각기 다르기 때문에…
시스템펑션이 다 다를 수 밖에 없고, 이것은 소프트웨어의 가장 근저에 위치하고 있기에 교체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운영체제로 부팅한 후, 다른 운영체제를 불러온다는 것은 사실 상 불가능한 일입니다.

qemu, virtualbox, vmware등은 가상머신으로, 컴퓨터를 통째로 가상화하는 것입니다.
컴퓨터가 하나 따로 있는 것 처럼 흉내내고, cpu자체도 가상화하느냐에 따라 para-virtual인가가 구분될 뿐입니다.
그러한 가상컴퓨터 위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가상머신위에도 가상의 하드웨어가 존재해야 하고, 이것은 실제 하드웨어와는 다른것이기에, 직접적으로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는 없습니다.

wine(windows emulator)은 에뮬레이터로서, 일반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것입니다.
윈도우즈기능들을 분석해서 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리눅스시스템 프로그래밍으로 작성된것입니다.
그리고는 wine에뮬레이터가 그러한 기능들을 제공함으로써, 윈도우즈 실행파일들은 윈도우즈가 설치되어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하드웨어를 접근하는 프로그램들은 wine에서 동작될 수 없습니다.

많은 초보자들이 착각하는 것이
서로 다른 운영체제가 2가지 이상이 같이 설치되어 멀티 부팅을 하는 경우,
하나의 운영체제로 부팅을 하면, 그 운영체제 내에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또 다른 운영체제를 불러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

또, VirtalBox 나 VMWare 등의 가상화로 설치한 운영체제가 실제 위의 다중 운영체제 설치 방식으로 설치한 운영체제인줄 착각하는 경우입니다.

다중 운영체제 방식으로 설치한 운영체제와 가상화 장치 내에 설치된 운영체제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한 파티션에 두 운영체제가 설치되었다는 건 말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아마 착각하신듯 한데

예를들어
파티션1 - 윈도우
파티션2 - 리눅스
가 설치되어 있어서 멀티부팅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리눅스 부팅 후 파티션1에 있은 윈도우 사용이 가능합니다

현재 그렇게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약간의 문제는 ssd가 아닐경우 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제 블로그입니다

http://debpolaris.blogspot.kr/2013/04/virtualbox.html

질문 있으면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