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8.10 32비트를 처음 깔면, 램이 4기가 이상 있는 분들도,
윈도우처럼 램이 3.2 기가만 인식될 겁니다.
sudo apt-get install linux-headers-server linux-image-server linux-server
이렇게 쳐주고, 인스톨 한 다음에, 재부팅 하면,
램이 4기가로 인식됩니다.
(아마 리눅스 서버 프로그램 에서 메모리 관리하는 무언가를 살짝 빌려서 인스톨 하는 듯합니다.)
제가 어디서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낸 겁니다.
고수분들이야 다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초보분들을 위해 올려놓습니다.
추가 팁! 이건 윈도우 팁입니다!
윈도우 xp나 비스타 32에서도 램 4기가 활용법!
인터넷에서 gavotte_ramdisk_20080125_램 4기가 전부 활용 유틸을 다운 받아
인스톨 실행해주면, 윈도우 32비트 버전에서 사용하지 않고 남는 램을 자동으로
램디스크로 잡아줍니다. 4기가면 768메가, 그 이상이면 그 남는 부분을…
물론 시스템 상으로론 3.25 기가인가만 보이는데, 램디스크가 768메가 잡혀있습니다.
램디스크는 익스플로러 캐시 폴더나, 윈도우 환경 변수 Temp 폴더, 알집 Temp 폴더
포토샵 스크래치 디스크 등등으로 잡아서 활용하면
좋습니다.
(이건 시중에 많이 떠도는 pae 옵션 같은 거 필요 없고, 저것 다운 받아 실행 한번 하고
재부팅만 하면 간단히 끝납니다)
나눔과 공유, 리눅스 왕초보 올림.
draco
2
[quote="drspam":3ffr6iz8]
sudo apt-get install linux-headers-server linux-image-server linux-server
[/quote:3ffr6iz8]
설명하자면, 리눅스 데스크탑용 커널을 서버용 커널로 바꿔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서버용 커널을 쓰면 무조건 좋은게 아니라, 커널에 연결된 그래픽 드라이버 모듈 등을 다시 깔아줘야 제대로 화면이 나오기 때문에, 후속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꼭 필요한 분만 하십시오.
(제 생각에는 메모리 3기가만 있어도 왠만한 대용량 그래픽작업이나 컴파일 하지 않는이상 다 쓸기회도 없이 널널할거 같은데…)
자세한건
viewtopic.php?p=4302
viewtopic.php?f=11&t=850
등을 참고하세요.
[quote="drspam":2qwho2ct]우분투 8.10 32비트를 처음 깔면, 램이 4기가 이상 있는 분들도,
윈도우처럼 램이 3.2 기가만 인식될 겁니다.
sudo apt-get install linux-headers-server linux-image-server linux-server
이렇게 쳐주고, 인스톨 한 다음에, 재부팅 하면,
램이 4기가로 인식됩니다.
(아마 리눅스 서버 프로그램 에서 메모리 관리하는 무언가를 살짝 빌려서 인스톨 하는 듯합니다.)
[/quote:2qwho2ct]
저도 램 4기가로 업데이트 후 서버커널 설치했다가 그래픽 카드 설치가 안 되어
저화질 모드로만 부팅이 되더라구요.
그래서 지금은 걍 3.25기만 사용하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