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e="제이원":2arpghk6]도대체, 울나라는 이토록 비표준에 목을 메는지, 휴대폰 통메는 국내 소비자들을 봉으로 만들어 이통사와 국내제조사 배불리려고 만든것이지만 , 이런 비표준은 대체 누구 배를 불리려고 그런것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아니면 무지몽매해서 그런것인지 ?[/quote:2arpghk6]
표준입니다… 우물 안 표준…
그동안 윈도우+IE상에서 잘먹고 잘살아왔던 보안업체들의 밥줄을 보전해주기 위해 이렇게 갈 수 밖에 없는거죠.
뭐 전자금융쪽을 보면 워낙 복잡해서… 개인적인 심정으론 지금당장 https 기반 웹표준 보안으로 가자고 말하고 싶으면서도, 또 한편으론 각종 보안사고 사례같은것들을 보면 필요악이라는 생각도 들고 그렇습니다. 해킹이라는게 워낙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일어나니 말이죠. (OS차원에서 최신OS들이 슈퍼관리자루트를 다 막아버리니 하드웨어 드라이버 개조를 통한 후킹 테크닉을 보고 깜짝 놀랐죠… 언젠가부터 필수적으로 깔리던 키보드보안 프로그램이 생긴 이유가 이겁니다… ㅜㅜ)
뭐… 진짜 현실적인 문제도 있죠. 바로 모든 사용자들이 최신버전의 OS나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는다는것입니다. 현재 윈도건 맥이건 리눅스건 최신버전이라면 대체적으로 보안성엔 큰 문제가 없습니다. 웹브라우저 역시 그 말많던 IE도 8버전에 이르러서는 웹브라우저가 뚫렸다는 이야기가 없고요. (크리티컬 문제가 보고되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최근 웹에서의 가장 큰 구멍은 플래시 혹은 퀵타임같은 임베디드 플러그인쪽이죠)
하지만 모든 사용자들이 다 최신버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모두다 최신버전을 사용한다면 좋겠지만 그러질 않고 여전히 구멍이 숭숭뚫린 구형 OS, 구버전의 웹브라우저에 머무는 유저들에게 안전한(다시 말하면 은행의 보안시스템에 책임이 없다는걸 입증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방법은 ActiveX같은 플러그인 형식의 보안프로그램밖에 없는것도 현실이지요. (일단 플러그인류는 OS나 웹브라우저 버전에 관계없이 서비스제공자가 강제적으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시킬수 있으니깐요…)
[quote="draco":1rmx1yo7]보안프로그램 회사는 돈 벌고, 서비스 제공자는 여러가지로 노력한게 되고(문제 생겼을 경우 책임회피+보험), [color=#FF0000:1rmx1yo7]누이 좋고 매부좋고[/color:1rmx1yo7][/quote:1rmx1yo7]누이랑 매부는 좋은데 문제는 당사자가 안 좋은.;;;;;
[quote="cororok":1rmx1yo7]선거 좀 제대로 합시다.
그날 하루 노니깐 이렇게 당하잖습니까[/quote:1rmx1yo7]ㅎㅎ. 선거는 정치인들이 하는 거고, 유권자는 투표를 잘 해야지요.; 어떻게 하는 투표가 잘 하는 투표라고 생각하시는지는 몰라도, 최근의 경우를 돌이켜 보면 최소한 저는 ‘잘’ 했습니다. 물론 결과는 제 표대로 되지 않았지만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