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임 유발성 글인 거 알면서도 개인적인 의견 적어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플랫폼 의존적인 솔루션의 대명사로
Active-X 기술을 줄기차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Flash가 인터넷을
휩쓸기 시작했습니다.
포털의 광고부터 해서 유튜브의 동영상 플레이어 까지 말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Flash를 비판적으로 본다면 Flash는 플랫폼 [size=150:2l1og3im][b:2l1og3im]‘중립적’[/b:2l1og3im][/size:2l1og3im] 이지
결코 플랫폼 [size=150:2l1og3im][b:2l1og3im]‘독립적’[/b:2l1og3im][/size:2l1og3im] 이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Flash 자체가 웹 환경 내에서 플랫폼화가 되어가고 있고 그 발판이 Adobe AIR 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M$에서도 Active-X의 대체 기술로서 닷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Sliverlight로
대체하길 원하고 있지만, 이는 결국 몇 년 지나서 Active-X와 같은 상황으로 몰고 갈
가능성이 엄연히 존재한다고 봅니다.
물론 M$사가 특허권에 대해 딴지를 걸지 않겠다고 하지만 그 동안의 사업적인 행보를 보았을 때
‘과연…?’ 이라는 의문사를 쓰게 됩니다.
현재의 Mono가 가진 가장 큰 숙제는 M$를 떼어놓고 완전히 독립적으로 성장할 수 있느냐 하는 점입니다.
Moonlight의 경우에도 Sliverlight 2.0을 따라 잡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결국 Sliverlight라는
독점적인 표준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해결책으로 Java의 경우 처럼 Mono도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표준화를 진행해야 한다고 봅니다…
잠정적인 결론을 짓자면 플랫폼 독립적이기 위해서는 특정회사의 기술을 사용을 배제하고 커뮤니티 기반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하다고 생각합니다.
동감합니다.
아무리 크로스 플랫폼한 기술이라 할지라도 벤더 종속적인 기술은 잠재적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어느 통계를 보니 전세계 데스크톱 PC의 90퍼센트 이상이 플래쉬를 실행할 수 있다고 하더군요. (정확한 건 아닙니다만)
그런 걸 보면 Adobe라는 회사가 참 대단하구나하는 생각도 들고(물론 플래쉬는 매크로미디어 사가 개발했습니다만),
다르게 생각하면 참 무섭다라는 생각도 들고… 그 뒤를 MS의 실버라이트 등이 뒤따르고 있는 형국이니까…
그래도 낙관론자인 제 입장에서는 플래쉬로 영화 예매도 할 수 있는 세상이니 지금까지는 마냥 좋긴 합니다. ㅋ.;;;
draco
11월 22, 2009, 4:23오후
3
지금까지의 움직임으로는 나중에 특허시비나 adobe나 MS가 망한다던지 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고 봅니다만,
어째튼 말씀처럼 특정회사 종속적인 기술이 마치 표준이나 멀티플랫폼에 호환가능한 기법인거마냥 취급되는건 좋지 못하다고 봅니다.
웹은 되도록 웹표준적이고 오픈소스적인 방향을 지향했으면 좋겠는데,
필요성은 다들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리 쉽게 개선되기 힘들거 같네요… -_-
그런 의미에서 HTML5에서 OpenVideo(OGG) 지원은 상당히 의미가 크다고 봅니다.
실질적으로 Flash가 가장 크게 힘을 받은 곳은 유튜브와 같은 UCC사이트라고 생각합니다.
FLV가 널리 쓰이게 된 이유도 기존의 비디오 포맷들이 스트리밍에 적합하지 않았으니까요.
그걸 FLV가 틈새시장을 적절히(?) 공략한거죠.
사실 이 글을 쓰게 된 배경에는 리눅스 그리고 맥용 Flash에 짜증이 쓰나미 처럼 밀려와서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처럼 Flash 도배를 한 사이트면 몇 초 못가서 브라우저가 죽어버리니 말입니다.
draco
11월 23, 2009, 2:42오전
5
[quote="unixcruiser":jzu5i7ep]
사실 이 글을 쓰게 된 배경에는 리눅스 그리고 맥용 Flash에 짜증이 쓰나미 처럼 밀려와서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처럼 Flash 도배를 한 사이트면 몇 초 못가서 브라우저가 죽어버리니 말입니다.[/quote:jzu5i7ep]
사실 개인적으로는…
플래시 덜 쓰자는건 이미 현실적으로 무용지물인 주장일거 같고… -_-;
리눅스용 플래시 플래이어의 성능과 안정성이나 향상되었으면 좋겠군요 ㅋㅋㅋ
user16
(떠돌이)
11월 23, 2009, 3:04오전
6
전 사실 호러블한 성능을 가진 실버라이트가 퍼지는 것보다는 리눅스에서 좀 더 안정적인 플래시가 차라리 낫다는 생각뿐입니다.
그렇지만 어쨌든 둘 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무엇하나 좋을 것 없다는 생각에는 동의합니다.
[quote="떠돌이":1wuhtjjy]전 사실 호러블한 성능을 가진 실버라이트가 퍼지는 것보다는 리눅스에서 좀 더 안정적인 플래시가 차라리 낫다는 생각뿐입니다.
그렇지만 어쨌든 둘 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무엇하나 좋을 것 없다는 생각에는 동의합니다.[/quote:1wuhtjjy]
장기적으로 볼때는 더 좋은 컨텐츠를 웹을 통해 이용할 수 있죠.
다만 표준이 아닌 기업의 솔루션이라는게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
대안을 찾는다면 차라리 저는 [size=150:12ruk4k0][b:12ruk4k0]‘JavaFX’[/b:12ruk4k0][/size:12ruk4k0] 쪽에 한 표 던지겠습니다.
전체 모듈은 아니지만 일부 상용모듈을 제외하고서라도 GPL 2.0을 적용하고
앞으로도 Sun에서 오픈소스로 개발하겠다고 했으니 말입니다.
덧니: 현실론만을 강조한다면 차라리 리눅스를 버리고 윈도우를 쓰는 게
현실적으로 낫겠죠… 아무래도…
user16
(떠돌이)
11월 23, 2009, 4:57오전
9
[quote="haze11":1fhak94j][quote="떠돌이":1fhak94j]전 사실 호러블한 성능을 가진 실버라이트가 퍼지는 것보다는 리눅스에서 좀 더 안정적인 플래시가 차라리 낫다는 생각뿐입니다.
그렇지만 어쨌든 둘 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무엇하나 좋을 것 없다는 생각에는 동의합니다.[/quote:1fhak94j]
장기적으로 볼때는 더 좋은 컨텐츠를 웹을 통해 이용할 수 있죠.
다만 표준이 아닌 기업의 솔루션이라는게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quote:1fhak94j]
좋을 것 없다는 것은 웹 표준과 리눅스와의 호환성에 좋을 것이 없다는 뜻이었습니다-_-ㅋㅋ
저도 JavaFX을 기대하고 있는 한 사람입니다만, JavaFX가 기대만큼 쑥쑥 자라나(?) 주지 않아서 좀 안타깝더군요.
뭐 후발 주자(?)라서이기도 합니다만, Adobe Flash나 MS Silverlight보다는 덜 알려지고, 아직 덜 성숙한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회사라고 해서 오픈소스의 주체가 되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단, 그들이 개발한 솔루션에 오픈소스 라이센스를 적용하고
커뮤니티와 함께 호흡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quote="unixcruiser":48wh4sw7]회사라고 해서 오픈소스의 주체가 되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단, 그들이 개발한 솔루션에 오픈소스 라이센스를 적용하고
커뮤니티와 함께 호흡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quote:48wh4sw7]
아 그거야 물론이죠.; 여기 댓글 다신 분들은 다 unixcruiser님처럼 생각하실 것 같은데…
문제는 기업이란 응당 자신의 이윤 추구를 최우선 목표로 하게 마련이므로 마냥 순진하게 믿을 수만은 없으니까죠.
당연히 벤더 종속적이라고 해서 또 다 나쁘다고 할 순 없죠.;; 벤더하기 나름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