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tsc로 xrdp를 이용해 리눅스를 관리하고 있고 작업용 아이디로 로그인할때 제목과 같은 창이 뜨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뜹니다.
새벽에 자동재부팅하면 저 창이 계속 떠있어서 부팅이후 걸어둔 추가작업이 이뤄지지 않는것 같고 root와 작업용 아이디 왔다갔다하다 시스템 재부팅하면 꺼질때 비밀번호 입력하라고 뜨고 켜질때 또뜨고
계정 왔다갔다하는건 계속해야되고 비밀번호가 짧은편도 아니라서 비밀번호 수백번 치는데 아주 돌아버리겠습니다
저 창 아예 안뜨게 죽여버리는 방법이 없을까요
우분투 버전은 14.10이고 서버버전 64비트입니다
개인사용자용에서는 그냥 암호 및 키에서 옵션만 바꿔주면 해결되는거같은데 서버용에서는 암호 및 키 들어가면 아예 빈칸이네요
대답할 자신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혹시나해서 여쭙습니다.
14.10 서버 버전이라고 하시면서도, ssh를 사용하지 않고 rdp를 쓰시고, 로그안할 때, 창이 뜬다고 하셨네요. 그렇다면, 데스크탑을 설치하신 듯한데 무었을 설치해서 쓰시나요?
[quote="happyman":3fjryx5q]대답할 자신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혹시나해서 여쭙습니다.
14.10 서버 버전이라고 하시면서도, ssh를 사용하지 않고 rdp를 쓰시고, 로그안할 때, 창이 뜬다고 하셨네요. 그렇다면, 데스크탑을 설치하신 듯한데 무었을 설치해서 쓰시나요?[/quote:3fjryx5q]
이전까지 윈도우만 사용하다가 리눅스가 갑자기 필수인 일이 생겨서 스마일서브 호스팅 서비스받기로 했고 rdp는 mstsc 사용이 된다고 하길래 아무것도 모르는채로 그냥 설치해서 사용했습니다
gui환경이 아니면 너무 불편해서요;
[quote="mudongnic":10e75gxt]스마일서브 호스팅 서비스받기로 했고 rdp는 mstsc 사용이 된다고 하길래 아무것도 모르는채로 그냥 설치해서 사용했습니다
gui환경이 아니면 너무 불편해서요;[/quote:10e75gxt]
저도 rdp를 사용해 본 것이 오래되어서 요즘 사정은 잘 모릅니다. 그래서 검색해 보았더니, 다음 글이 나오더군요.
[url:10e75gxt]http://c-nergy.be/blog/?p=5305[/url:10e75gxt]
우분투 14.04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니까, 최근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그 글에 보시다시피, 말씀하신 authentication 문제는 없습니다. 또한, 설치된 desktop이 무었인지 모르시는 것으로 보아 스스로 설치하신 것도 아니신 것 같네요. 그렇다면, 문제는 호스팅 업체의 고객 지원 부서 직원과 대화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위 글을 읽어서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 것인지 알아두시는 것이 대화하시는 데 좋겠죠. 위 글에 따르면 우분투 데스크탑이 unity이거나 gnome3등 3차원 가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원격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느려질테니까요.
아무튼 문제는 rdp를 설치한 호스팅 업체에 여기에 쓰신 것같은 이야기를 하시고, 거기에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네요. 거기서 만든 문제이니, 거기서 푸는 것이 가장 빠르겠지요. 또한, 돈 내고 쓰시는 것인데, 그 곳에 일을 시키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quote="mudongnic":10e75gxt]계정 왔다갔다하는건 계속해야되고 비밀번호가 짧은편도 아니라서 비밀번호 수백번 치는데 아주 돌아버리겠습니다.[/quote:10e75gxt]
이 문제는 정상적인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계정을 왔다갔다한다는 것이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는데요. 우분투는 통상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일이 없거든요. "sudo"를 사용하는 것을 그렇게 표현하시는 것이라면, 그것은 정상적인 것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하시면, (혹은 여기 TIP 게시판)을 보시면 password 입력 없이 sudo를 이용하여 root 권한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들은 보안 레벨을 한 단계 낮추는 것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피하시길 바랍니다. 사용하시는 우분투 시스템이 실험용이거나, 시스템의 보안이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털리면 새로 만들면 된다는 생각이시라면 상관없겠죠.
[quote="happyman":10v3bhyk][quote="mudongnic":10v3bhyk]스마일서브 호스팅 서비스받기로 했고 rdp는 mstsc 사용이 된다고 하길래 아무것도 모르는채로 그냥 설치해서 사용했습니다
gui환경이 아니면 너무 불편해서요;[/quote:10v3bhyk]
저도 rdp를 사용해 본 것이 오래되어서 요즘 사정은 잘 모릅니다. 그래서 검색해 보았더니, 다음 글이 나오더군요.
[url:10v3bhyk]http://c-nergy.be/blog/?p=5305[/url:10v3bhyk]
우분투 14.04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니까, 최근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그 글에 보시다시피, 말씀하신 authentication 문제는 없습니다. 또한, 설치된 desktop이 무었인지 모르시는 것으로 보아 스스로 설치하신 것도 아니신 것 같네요. 그렇다면, 문제는 호스팅 업체의 고객 지원 부서 직원과 대화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위 글을 읽어서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 것인지 알아두시는 것이 대화하시는 데 좋겠죠. 위 글에 따르면 우분투 데스크탑이 unity이거나 gnome3등 3차원 가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원격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느려질테니까요.
아무튼 문제는 rdp를 설치한 호스팅 업체에 여기에 쓰신 것같은 이야기를 하시고, 거기에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네요. 거기서 만든 문제이니, 거기서 푸는 것이 가장 빠르겠지요. 또한, 돈 내고 쓰시는 것인데, 그 곳에 일을 시키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quote="mudongnic":10v3bhyk]계정 왔다갔다하는건 계속해야되고 비밀번호가 짧은편도 아니라서 비밀번호 수백번 치는데 아주 돌아버리겠습니다.[/quote:10v3bhyk]
이 문제는 정상적인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계정을 왔다갔다한다는 것이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는데요. 우분투는 통상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일이 없거든요. "sudo"를 사용하는 것을 그렇게 표현하시는 것이라면, 그것은 정상적인 것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하시면, (혹은 여기 TIP 게시판)을 보시면 password 입력 없이 sudo를 이용하여 root 권한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들은 보안 레벨을 한 단계 낮추는 것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피하시길 바랍니다. 사용하시는 우분투 시스템이 실험용이거나, 시스템의 보안이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털리면 새로 만들면 된다는 생각이시라면 상관없겠죠.[/quote:10v3bhyk]
물론 업체에 맡기는게 제일 편해서 저도 처음에 지원신청하려고 했으나 이게 일일이 돈을 받아갑니다
이번달 통장잔고가 좀 애매해서 돈을 쓸수가 없어서 포럼에 질문해본거에요
우분투에서 root계정으로 로그인할일이 없다고 하셨는데 제가 게임 서버용으로 우분투를 사용하기 시작한건데 이게 가이드 보면 죄다 root로 로그인해서 작업을 처리하라 이런식으로 가이드를 써놨습니다. 글 맨 마지막에 쓰신것처럼 가이드 작성자들이 실험용이나 보안에 별로 신경 안썼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p.s. 이 질문 자체가 해결된건 아닌데 이것저것 하다보니 결국 질문에 대한 답이 필요없게 되었는데 이러면 앞에 해결딱지를 붙여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내버려둬야 할까요;
아~ 그게 돈이 드는 군요. 알만 하고 이해가 갑니다.
아무튼 해결 되셨다니, 어찌 해결하셨는지 몇마디 남겨주시면, 비슷한 문제를 겪는 혹은 앞으로 겪게될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될 듯합니다.
[quote="happyman":2j542m6f]아~ 그게 돈이 드는 군요. 알만 하고 이해가 갑니다.
아무튼 해결 되셨다니, 어찌 해결하셨는지 몇마디 남겨주시면, 비슷한 문제를 겪는 혹은 앞으로 겪게될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될 듯합니다.[/quote:2j542m6f]
제가 필요한게 새벽쯤에 재부팅 - 특정계정으로 자동로그인 - 자동으로 프로그램 실행이었는데 명령어 적어놨던게 tty1에서 자동으로 실행이 되더라구요
xrdp에서는 창이 안떠있길래 윈도우만 생각하고 아 실행이 안됐구나 싶어서 혼자서 삽질했는데 프로세스 보니 멀쩡하게 돌아가는 중
결국은 그냥 리눅스 구조를 잘 몰랐던게 문제였습니다
나머지 세팅도 다 끝나서 계정 왔다갔다 할일도 없고 해서 자연스럽게 질문 해답이 필요없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