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topic.php?p=19180
왜 아무도 안도와주시죠???ㅡㅡ’’
초보가 댓글을 달아 드리지요.
1.저도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가 어디에 설치되는지 모릅니다. 알려고 하면 알 수야 있겠지만 운영체제가 알아서 적절한 곳에 위치시키지 않을까요. 한번 저도 궁금해서 알아 봤는데 뭐 그거 가지고 할 수 있는게 없었어요.
2.예…한 줄씩 차례대로 터미널에 복사해서 엔터 치시면 될 겁니다.
3.이건 모릅니다. 그 하드웨어가 아예 없습니다.
4.폴더 구조(디렉토리 구조)-이것도 포럼에 검색 해 보시면 상세하게 나옵니다. 그 동안 관련 글타래가 많았거든요.
일단 윈도우즈와는 틀리니 개념을 잘 잡으셔야 나중에 파티션 나눌 때도 실수하지 않습니다.
대충 설명 하자면…
/ (루트)아래로 죽 연결 되어있습니다. /root와는 다릅니다. /root는 관리자 홈폴더(?)일겁니다.
패널에서 위치 > 컴퓨터 에서 파일시스템을 열면 거기 나오는 디렉토리가 다 / 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헷갈리는 것은 파티션이건 시디롬이건 다 이 / 아래로 연결된다는 겁니다.
파티션은 STA 하드디스크일 경우에…
sda 첫번째 물리적 디스크
sda1 첫번째 물리적 디스크에서 첫번째 파티션
…
sdb 두번째 물리적 디스크
sda1 두번째 물리적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 –>오타 수정합니다.
…
이렇게 나가죠.
sda1~sda4 이후 부터는 확장파티션인데 sda5 부터 시작하죠.
용어는 잘 모릅니다.
sda1 파티션 만들고 확장 파티션 만들면 sda5 부터 시작합니다.
sda5가 있다고 파티션이 반드시 5개는 아니라는 얘기죠.
긴 설명 줄일려니 말인지 된장인지…
…일단 여기까지…설명하는게 힘들군요. 특히, 대충 알고 있는 경우엔…
터미널 사용법은 차츰 익숙해 지시면 됩니다.
한꺼번에 하려고 하지 마시고 관심만 있으면 익숙해집니다.
관련 책도 읽어보고, 포럼도 뒤져 보고, 검색도 하다보면 조금씩 알게 되더라구요.
bcm4328 설치…처음부터 난관에 부딪히신 것 같네요.
저는 처음부터 순조로워서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잘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quote="QED":2bxdvo2n]드라이버 관련 파일은 어디에 위치시켜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quote:2bxdvo2n] 리눅스에서 드라이버란 커널을 말합니다.
MS OS 와는 좀 다른데 …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커널 입니다.
좀 더 이야기 하자면 커널 + 커널모듈 + 펌웨어드라이버 입니다.
커널 모듈이나 펌웨어 드라이버 사용도 커널이 모듈로 지원여부가 명시 되야 합니다. (m)
커널의 위치는 ‘/boot’ 이며
커널 모듈의 위치는 ‘/lib/modules/커널버전’ 이며
펌웨어 드라이버는 /lib/firmware 입니다.
bcm4328은 우선 네트웍 되는 유선 랜 상태 에서
ndiswrapper를 이용한 무선 잡는 법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ndiswrapper 참고 링크 : http://garden.egloos.com/10003289/post/135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