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e="modulus":3tuh2q8u]반갑습니다. 리눅스 초보 개발자 입니다.
우분투를 개발 환경으로 TI의 beagleboard를 이용하여 개발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TI의 SDK 나 기타 개발 툴을 받아서 인스톨을 하고 싶은데…
아래 같이 입력하면 응답이 없네요…
TI의 사용자 가이드를 따라 보면 다른것 모두 정상적으로 진행을 했는데…
user:~Download$ sudo chmod 777 ti-sdk-beagleboard-06.00.00.00-Linux-x86-Install.bin
user:~Download$ sudo ./ti-sdk-beagleboard-06.00.00.00-Linux-x86-Install or
user:~Download$ sudo ti-sdk-beagleboard-06.00.00.00-Linux-x86-Install
혹은
ti-sdk-beagleboard-06.00.00.00-Linux-x86-Install : command not found 라고 터미널에서 응답을 하고…ㅠㅠ
어디서 부터 모르는 건지 잘몰라 접근을 못하고 있습니다. 도와 주세요…ㅠㅠ[/quote:3tuh2q8u]
user:~Download$ sudo chmod 777 ti-sdk-beagleboard-06.00.00.00-Linux-x86-Install.bin
user:~Download$ sudo ./ti-sdk-beagleboard-06.00.00.00-Linux-x86-Install.bin
이렇게 해보시지요.
.bin은 보통 확장자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MS에서 도스시절에 유래한 것으로, 파일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파일명의 일부를 따로 새로운 의미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파일의 종류를 결정하는 디렉토리 정의에 종류에 따르는 분류가 따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exe는 실행파일이라고 정의하는 것인데,
리눅스에서는 .exe이던 뭐던 파일이름으로 파일 종류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실행 파일이라는 속성의 정의가 따로 존재하고, 파일이름에 좌우되지 않습니다.
이것을 파일 접근 권한이라고 하고, chmod 명령이 이러한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그러니, chmod 777 명령으로, 사용자및 그룹, 기타사용자에 대해서, 실행속성(읽기4, 쓰기2, 실행1 의 조합)을 부여하였기에,
그 파일은 모든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실행을 할 때에는 파일명을 적어주시면 되고, 그 파일명에 확장자와 같은 구분은 존재하지 않기에,
전체 파일명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단지 그 파일이 어디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현재 디렉토리의 경우에는 디렉토리 위치를 생략한 파일명 혹은,
현재디렉토리에 있다는 뜻의 .을 같이 사용하고, 각 디렉토리(분류)의 이름을 구분하기 위해 /를 사용합니다.
확장자는 본래 무의미 하지만, .을 앞에 붙이면, 숨겨진 파일이라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히든파일이라는 속성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죠.
그리고, 윈도우즈의 영향으로 혹은, 파일명으로 보다 쉽게 구분하기 위해, 관례적으로 리눅스에서도 확장자 비슷하게 사용합니다.
단 도스시절은 파일명은 13바이트(이름8+.+확장자3+널종료문자)가 한계였고, 윈도우즈에서는 그러한 관례로 3자리 확장자를 많이 사용하지만,
현재의 FAT32, NTFS같은 파일시스템에서는 확장자의 최대 길이는 파일명의 최대길이와 같기 때문에, 사실 확장자의 의미는 많이 달라졌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는 통상적으로 필요에 의해서 사용되기는 하지만, 처음부터 3글자의 제한은 없었습니다.
원래 구조가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