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우분투에서 ext4 파일 시스템에 학을 떼는 일이 있어 btrfs 의 서브 볼륨을 이용하여 재설치 하였습니다.
일단 subvolume을 @와 @home을 만들고 grub를 업데이트 한 뒤 fstab을 이용하여 /home을 마운트 하도록 수정하여
설치와 이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으나 한 가지 궁금한 것이 생겨 나더군요.
이용 중의 문제는 btrfs snapshot 기능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반드시 루트 파티션(subvol=@)을 포맷을 해야 하는 경우나 파티션을 삭제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우분투 재설치 시 어떻게 대처를 하시는지 고수 분의 도움을 얻고자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페도라 처럼 해당 서브 볼륨만 삭제가 가능 하다면 아주 이상적이겠지만
아직 까지 우분투는 설치 시 서브 볼륨만의 삭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되어 집니다.
당장에 우분투 설치시 제공되는 파티션 삭제 기능을 이용한다면 home의 자료가 다 날아 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한 가지 생각은(저의 예상) 다른 OS나 live로 부팅 하여 해당 "subvol=@"를 삭제하고 새로 만들면 될 것으로 짐작은 갑니다.
만약 그렇다면 우분투 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들이 "subvol=@"에 설치되는 것인가요?
btrfs 파일 시스템을 이용할 때 우분투가 @ 서브 볼륨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볼 때
저의 예상이 맞을 것 같으며 나중에 /home만 "subvol=@home"으로 이동 시켜 주면 될 것으로 짐작 되어 집니다.
제 생각이 맞다면 별달리 작업하고 말고도 없을 것 같은 데 (grub와 fstab등의 수정은 스스로 가능하므로)
btrfs를 사용하시는 고수분들 께서는 어떤 식으로 재설치를 하시는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fstab을 수정시 compression 옵션이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옵션은 아래와 같은 데 대충 영어를 읽어 보면 zlib을 이용한 압축 기능으로 디스크 공간을 절약하는 것으로 짐작은 가지만
어떤 옵션이 나을 지 고수분들의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quote:1cj2pz0c]“compress-force=zlib” – Better compression ratio, uses more CPU.
“compress-force=lzo” – Faster compression, Does not save space as much as zlib.
“compress-force” – the default, equals to “compress-force=zlib”[/quote:1cj2pz0c]
만약 재설치를 위한 보다 간단한 방법이 있거나 특별한 작업이 동반되어야 한다면 정보를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