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소연] 요즘들어 Chrome이 이상해요...

안녕하세요…

요즘들어 Chrome이 이상해요… 윈도우든 리눅스든…

윈도우에서 실행시킬 때, 갑자기 창이 2개가 뜨질 않나…

이번 35버전은 뭔가 이상합니다…

요즘에 Google에서 Packaged App이다, 뭐다 해서 갖가지 기능을 추가하더니…

일단 기능추가는 둘째고 버전 안정성부터 향상 시켜야될 것 같네요…

viewtopic.php?f=4&t=26418

개인에 따라 선호하는 브라우저가 있다는 것에 동의하는 바이지만
위에서 말씀 하신 파이어폭스에 대한 여러가지 증상에 대한 호불호는 동의 하기가 어렵군요!

또한 파이어폭스가 크롬에 비해 열등하다는 말씀들은 이해가 가지 않으며 소소한 버그의 의미를 찾기가 어렵군요!
둘다 유용한 브라우저이지만 성능 상의 문제라면 도토리 키재기 아닐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파이어폭스를 선호하는 사람으로서 드리는 글 입니다.

여러 분들의 말씀은 잘 들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이것입니다.

대부분의 리눅서들이 Chrome을 사용하는 이유는 Flash Player가 내장되어있어서일 것입니다.
그 의미는 Active X에 비견될 만한 Flash Player로 인한 플랫폼 종속성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지난 일이긴 하지만 Adobe 사에서 Flash Player의 리눅스지원을 중단해버렸습니다.
또한, Youtube의 경우에도 H.264 관련 고화질 Codec을 Chrome에서만 지원하고 나머지 Browser에서는
VP8 지원, 그것도 중저화질 수준의 동영상만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H.264는 독점소프트웨어니까요)

만일 그렇다면, 최소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디버깅 후에 안정버전을 배포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새로운 기능이 마케팅 적인 면에서 유리하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모든 버그가 납득이 될 수는 없습니다.

또한, Global 기업의 경우, 많은 수의 기업들이 동양언어 (특히 한국어) 의 지원을 기피하는 듯이 보입니다.

일본어의 경우는 잘은 모르지만 중국어의 경우 알파벳으로 중국어 발음을 입력하고 한자로 변환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있습니다. 하지면 이 경우, 입력된 중국어 음운을 한자로 변환하는 변환기의
역할만 제대로 동작하면 되겠지요…

반면, 한글의 경우는 자체적인 키보드 배열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입력하는 방식 자체가 알파벳과는 전혀,
일점도 상관이 없습니다.

만일 그렇다면 Global 기업의 위상에 걸맞게 한글을 제대로 지원해주어야 한다고 봅니다.
단지 이것은 비용의 문제를 떠나서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 국가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Firefox의 경우는 이야기가 조금 다른 데, 이는 어떤 한 기업이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개발자들의 협력으로
(물론, Mozilla Corp. 이 있기는 하지만 상표권 관리문제로 인해 설립된 기업이니 예외입니다) 개발되는 모델을 가지고
있어서 게다가 Firefox 자체는 오픈소스이므로 누구든 마음에 안드는 부분에 접근이 가능하죠…

IE, Chrome, Opera와 같이 회사에서 배포하는 Browser의 경우는 Firefox와의 접근법이 다르죠.
Chrome == Chromium 인 것은 아닙니다. 마치 Fedora != RHEL 이듯이요…

제가 바라는 점은 마케팅 != 사용성을 인지했으면 한다입니다.

[quote="workman729":10t6j25u]개인에 따라 선호하는 브라우저가 있다는 것에 동의하는 바이지만
위에서 말씀 하신 파이어폭스에 대한 여러가지 증상에 대한 호불호는 동의 하기가 어렵군요!

또한 파이어폭스가 크롬에 비해 열등하다는 말씀들은 이해가 가지 않으며 소소한 버그의 의미를 찾기가 어렵군요!
둘다 유용한 브라우저이지만 성능 상의 문제라면 도토리 키재기 아닐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파이어폭스를 선호하는 사람으로서 드리는 글 입니다.[/quote:10t6j25u]

viewtopic.php?f=4&t=26418

파이어폭스의 버그에 관해서도 구체적인 리포팅을 했습니다.
이 버그에 관해서는 동의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

다만 브라우저의 개인적 선호에 관해선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 역시 이번 일을 계기로 윈도우, 맥오에스, 리눅스 등 모든 환경에서 주력 브라우저를
파이어폭스 최신버전으로 변경하려 했던 건 역시 가급적 오픈소스에 대해 힘을 실어주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그러나 등등의 이유로 결국 포기하고 말았던 건 취향의 문제가 아니고,
실질적인 불편함 때문이었어요.

다만 그동안 크롬을 고집하게 만들었던 플래시 플러그인은 더 이상 문제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sudo aptitude flashplugin-nonfree

반년 뒤 제가 어떤 브라우저를 쓰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가능하다면 크롬을 벗어나고 싶어요.

[attachment=2:10t6j25u]aa.png[/attachment:10t6j25u]
[attachment=1:10t6j25u]bb.png[/attachment:10t6j25u]
[attachment=0:10t6j25u]cc.png[/attachment:10t6j25u]

아~~ 그 Flash Player 플러그인은 업데이트가 중단되었습니다.

Adobe에서 보안 업데이트는 하지만 Major 버전은 이미 Windows용이

훨씬 상위버전입니다.

Windows XP의 예에서도 보셨듯이 업데이트 없는 프로그램은 의미가

상당히 작아지죠…

[quote="unixcruiser":7e7mwmhs]아~~ 그 Flash Player 플러그인은 업데이트가 중단되었습니다.

Adobe에서 보안 업데이트는 하지만 Major 버전은 이미 Windows용이

훨씬 상위버전입니다.

Windows XP의 예에서도 보셨듯이 업데이트 없는 프로그램은 의미가

상당히 작아지죠…[/quote:7e7mwmhs]
앗, 업데이트가 중단된 건가요? ㅜㅜ

그렇다면 또 크롬 최신버전에서 플래시 플러그인만 추출해내는 삽질을 하거나,
아니면 그냥 크롬을 쓰거나… ㅜㅜ

HTML5 Video 도입의 가장 큰 골치 덩어리가 H.264이 독점소프트웨어라는 점입니다.

Google이야 글로벌 기업이니 별 문제는 없지만…

기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게다가 Chrome에 내장되어 있는 Pepper Flash는 Google Native Client (NaCl)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NaCl의 경우 일종의 Active X 플러그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니 Pepper Flash를 직접 따오는 방식은

어려우실 듯 합니다.

http://blog.naver.com/bagjunggyu/130189205741

저는 Firefox에 한 표요…

lupin3se님의 글이 인용이 안되네요…^^;

어째든 파이어폭스의 콘텍스트 메뉴가 사라진 문제는 이미 해결이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도 관련 글을 참고할 때 우분투 12.04 버전을 사용하시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libx11 버전을 1.6.2 버전으로 컴파일 하시거나 어려우시다면
14.04 버전으로 판올림 해보실 것을 권해 드립니다.

호불호야 서로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십시오.

[quote="workman729":24rsnlnr]lupin3se님의 글이 인용이 안되네요…^^;

어째든 파이어폭스의 콘텍스트 메뉴가 사라진 문제는 이미 해결이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도 관련 글을 참고할 때 우분투 12.04 버전을 사용하시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libx11 버전을 1.6.2 버전으로 컴파일 하시거나 어려우시다면
14.04 버전으로 판올림 해보실 것을 권해 드립니다.

호불호야 서로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십시오.[/quote:24rsnlnr]
아, 저는 데비안 7.X 를 쓰고 있어요. ^^
해당 라이브러리가 구버전이라 파이어폭스에서 메뉴 버그가 발생했나 보군요.

글 작성시 한글입력이 갑자기 먹통이 되었다 재개되고,
파폭에선 확인이 안되는 특수문자가 끼어드는 버그도 우분투 14.04 등
최신 라이브러리가 적용된 배포판에선 발생 안할 가능성이 크겠네요.

파이어폭스 애용자들에겐 좋은 정보가 될 것 같군요. ^^

파이어폭스는 구글 홈페이지가 옛날 것으로 나오더군요 ㅠ

위에 검은색 바 있는 거요…

이건 어떻게 해결 못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