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 고딕과 매우 유사하게 보여서, 문서에 같은 문장을 나눔 고딕과 이 폰트로 써놓고 비교해 보았더니 정말로 유사하네요. 아마도 "산돌"이라는 같은 회사에서 만들어서 그런가 봅니다.
단, 새로 만든 폰트가 나눔 고딕과 유사하면서도, 나눔 고딕의 경우 글씨의 꺽어지는 부분이 조금 동그랗게 느껴지는데, 새로 나온 폰트는 상대적으로 더 각이 있어서 고딕다운 힘찬 모습이 느껴집니다. 저는 폰트에는 문외한이라 전문적인 평은 할 수 없지만, 제 눈에는 나눔 고딕보다는 새로 나온 폰트가 더 좋아 보이네요. Google web-font로 나올테니 web에 사용하기 좋겠네요. 이미 나왔나요? 체크해 보아야겠네요.
마이크로소프트 맑은 고딕이 Windows OS와 같이 주어져서, 문서의 기본 폰트가 되어가는 것 같은데, 기본 폰트로 Windows font인 맑은 고딕이 평정하기보다는 이런 오픈 폰트가 모든 플랫폼에서 기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에서 NotoSansCJK-{Thin, …, Black}.ttc (otf가 아니라 ttc)를
받으실 걸 권합니다. 이건 open type collection이므로
그 안에
‘Noto Sans Korean’,
‘Noto Sans Japanese’,
‘Noto Sans Traditional Chinese’,
‘Noto Sans Simplified Chinese’
등이 다 같이 들어 있습니다.
[/quote:1a2cxanr]
신정식님의 구글플러스 언급에 의하면,
리눅스, 맥 사용자들은 OTF 포맷보다 TTC 포맷이
더 낫다고 합니다.
저의 위에 테스트 스샷도 그 TTC 포맷입니다.
혹… 이 TTC 포맷으로
우분투용 패키징을 해 주실 용기있는 분 안계신지요…?
처음으로 여기서
Pan-CJK(구글-어도비 한중일 통합 글꼴)의
우분투(데비안)용 패키징에 관하여… 화두를 던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