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서 글꼴(CJK 유니코드)을 배포한다고 합니다..!!!

전 처음에 이 소식을 클리앙 새소식 게시판에서 봤구요…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 ... id=1839203

좀 더 자세한 기술적 내용은… 신정식님의 이야기를 들어보는것이구요…

https://plus.google.com/+JungshikShin/posts/haVz5BDyz4q

신정식님의 이야기글을 읽어보면…
한번에 이해가 안되는 굉장히 내공이 깊은 이야기이며…
전 10번을 되풀이 읽었어요…

친구집 우분투(12.04 LTS 64bit)에서 테스트를 해보고 잡네요…
조만간 시간이 만들어지면… ^^

감사합니다!!!

UPDATE: (구글 한국 발표 공식 블로그 URL 추가합니다.)
제목: "구글의 새로운 Pan-CJK (汎韓中日) 글꼴을 소개합니다"
URL: http://googledevkr.blogspot.kr/2014/07/cjkfont.html

나눔 고딕과 매우 유사하게 보여서, 문서에 같은 문장을 나눔 고딕과 이 폰트로 써놓고 비교해 보았더니 정말로 유사하네요. 아마도 "산돌"이라는 같은 회사에서 만들어서 그런가 봅니다.

단, 새로 만든 폰트가 나눔 고딕과 유사하면서도, 나눔 고딕의 경우 글씨의 꺽어지는 부분이 조금 동그랗게 느껴지는데, 새로 나온 폰트는 상대적으로 더 각이 있어서 고딕다운 힘찬 모습이 느껴집니다. 저는 폰트에는 문외한이라 전문적인 평은 할 수 없지만, 제 눈에는 나눔 고딕보다는 새로 나온 폰트가 더 좋아 보이네요. Google web-font로 나올테니 web에 사용하기 좋겠네요. 이미 나왔나요? 체크해 보아야겠네요.

마이크로소프트 맑은 고딕이 Windows OS와 같이 주어져서, 문서의 기본 폰트가 되어가는 것 같은데, 기본 폰트로 Windows font인 맑은 고딕이 평정하기보다는 이런 오픈 폰트가 모든 플랫폼에서 기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음…! 무지 하게 기대되는 군요!

일단 다운 중에 글을 씁니다만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근데 Nato와 어도비 본고딕이 같은 서체인가 봅니다.

설명엔 그렇게 되어 있는 데(대충 훑어 봐서) 서체의 견본 그림은 서로 다르네요!

저의 경우엔 나눔 고딕을 그렇게 좋아 하지 않아서 맑은 고딕을 기본으로 사용하지만
조금 불만이 있었는데 무지하게 기대 됩니다.

바탕 계열도 품질이 좋은 폰트가 개발되기를 빌어 봅니다.

구글 earlyaccess에는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군요. 조만간 등록되겠죠.
아시겠지만, 다음 url에 google web-font가 있고 사용법도 거기에 있으니, 혹시 필요하시면…

[url:2qcx4ys5]http://www.google.com/fonts/earlyaccess[/url:2qcx4ys5]

이 시간 현재, 나눔, 제주, 한나, KoPub Batang의 4가지 한글 폰트만 등록되어 있군요.

이거 상당히 괜찮네요. 쿠분투에서 사용중인데 글씨체 자체는 나눔고딕과 비슷하지만, 가독성이 나눔고딕보다 좋네요. 거기다가 글씨의 굵기(?) 종류가 많아서 그 중에 보기 편한 걸로 골라서 쓰면 좋습니다.

[attachment=1:41isfepa]스냅샷1.png[/attachment:41isfepa]

[attachment=0:41isfepa]스냅샷2.png[/attachment:41isfepa]

음! antialias를 적용하니 윗 분께서 보여주신 그림 보다는 사프하게 나옵니다만
썩 그렇게 마음에 들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나눔고딕의 품질이 나은 것 같습니다만(개인적 성향)
뭐랄까 맑은 고딕의 높이만 늘여 놓은 것 같습니다.

또한 bold 체가 너무 헤비 한 것 같습니다. 특히 영문과의 조화는 꽝이네요!
큰 글씨의 bold체에선 상당히 heavy해서 medium으로 적용해 보니 오히려 나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저는 오히려 adobe의 본고딕이 기대 됩니다만 git의 속도가 상당히 느리네요…^^

아직도 다운로드 중 입니다.

[quote="workman729":2ni2jy6r]
저는 오히려 adobe의 본고딕이 기대 됩니다만 git의 속도가 상당히 느리네요…^^

아직도 다운로드 중 입니다.[/quote:2ni2jy6r]
이거 구글이랑 어도비가 같이 만들 글씨체라 두 개가 이름만 다른거지 내용물은 똑같습니다.

견본 그림이 adobe 것이 깔끔해서 조금 다를 줄 알았는데
똑같은 서체인가요? (물론 내용 설명에서 같다는 말은 확인했지만…^^)

그럼 기대 보단 실망이 조금 큰데요!

다운로드하러 갔다가 열받는 일이 생겼네요

http://www.google.com/get/noto/#/ 에 있는 지도에 동해를 sea of japan 으로 썻네요

dong hae로 쓰라고 영어 잘되는분 구글에 글좀 띄워주시길…

구글 이 좆만이들…

관련내용 신문 보도 링크합니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 ... 0716101330

친구집 우분투(12.04 LTS 64bit) 에서
본고딕 테스트 해봤습니다.

[1] 웹브라우저에서 글씨가 작으면 안이쁩니다.
적절히 키우면 이쁩니다. 구글크롬에서 테스트했습니다.
저의 경우엔 125% 에서 가장 가독성이 좋았습니다.

[2] 옛한글/한자 지원 만족합니다^^
옛한글만큼은 은글꼴보다 본고딕이 더 아름답습니다!

스샷 2장 첨부합니다.

이렇게 품질 좋은 글꼴을
오픈소스 라이센스로 공개/배포해 준 구글에게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테스트 환경부터…

[code:21rj3cxv]
우분투 판번호: 12.04 LTS 64bit
구글크롬 판번호: 34.0.1847.116 Ubuntu 12.04 (260972)
관동별곡 URL: http://ko.wikisource.org/wiki/%EA%B4%80%EB%8F%99%EB%B3%84%EA%B3%A1
[/code:21rj3cxv]

송강 정철 선생의 "관동별곡" 으로
우분투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서
옛한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글꼴의 분위기를 자세히 보려
웹브라우저에서 글꼴을 150% 확대시켜서
스크린샷을 찍었습니다.

스크린샷의 좌편이 은글꼴(은바탕),
스크린샷의 우편이 본고딕(Noto Sans CJK)
입니다.

찬찬히 뜯어 보니… 은글꼴도 나쁘지 않습니다^^
[attachment=1:21rj3cxv]은글꼴-본고딕-옛한글-비교.png[/attachment:21rj3cxv]

덧씀: 나눔글꼴은 옛한글 안됩니다.
[attachment=0:21rj3cxv]나눔글꼴-옛한글-안됩니다.png[/attachment:21rj3cxv]

[quote="신정식(구글+)":1a2cxanr]
맥이나 리눅스 사용자이고
한중일 한자를 모두 다 지원하는 글꼴을 원하시면

https://code.google.com/p/noto/source/b ... y/noto_cjk

에서 NotoSansCJK-{Thin, …, Black}.ttc (otf가 아니라 ttc)를
받으실 걸 권합니다. 이건 open type collection이므로
그 안에
‘Noto Sans Korean’,
‘Noto Sans Japanese’,
‘Noto Sans Traditional Chinese’,
‘Noto Sans Simplified Chinese’
등이 다 같이 들어 있습니다.
[/quote:1a2cxanr]

신정식님의 구글플러스 언급에 의하면,
리눅스, 맥 사용자들은 OTF 포맷보다 TTC 포맷이
더 낫다고 합니다.
저의 위에 테스트 스샷도 그 TTC 포맷입니다.

혹… 이 TTC 포맷으로
우분투용 패키징을 해 주실 용기있는 분 안계신지요…?

처음으로 여기서
Pan-CJK(구글-어도비 한중일 통합 글꼴)의
우분투(데비안)용 패키징에 관하여… 화두를 던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