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ment=0:3sqf3ezo]aaa.png[/attachment:3sqf3ezo]
서버 컴퓨터에서 콘키를 리모트컴퓨터로 땡길 수 있다라는 것을 알고 몇일동안 정신없이 콘키웠습니다.
[code:3sqf3ezo]ssh -x $user@writre.your.server.ip conky[/code:3sqf3ezo]
해놓고 나니 좋네요.
서버 파티션별 용량 상태도 볼 수 있고, 다운로드 업로드 상황과 실시간 어플리케이션별 점유율, 램과 시피유 상태 등을 바로 볼 수 있어서 맘에 드네요.
외부에서 서버 어플리케이션 설치하고 작동하는거 살펴보고 할 때 매우 요긴하네요.
이제서야 콘키운 후기였습니다.
바탕화면의 콘키가 리모트PC에서 서버를 모니터링 해주는건가요? 좋네요~
혹시 서버에 X환경으로 접속하실 때 어떤 툴을 사용하시는지요? 저는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 원격 데스크탑 보기 프로그램을 쓰는데 썩 만족스럽진 않더라구요.
[quote="interoasis":2sv5dkg4]
혹시 서버에 X환경으로 접속하실 때 어떤 툴을 사용하시는지요? 저는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 원격 데스크탑 보기 프로그램을 쓰는데 썩 만족스럽진 않더라구요.[/quote:2sv5dkg4]
특별히 콘솔 내 웹브라우져를 제어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고서는 원격으로 들어갈 상황이 그다지 없어 그냥 설치되어져 있는 '리미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quote="loscane":1wc0xn9n][quote="interoasis":1wc0xn9n]
혹시 서버에 X환경으로 접속하실 때 어떤 툴을 사용하시는지요? 저는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 원격 데스크탑 보기 프로그램을 쓰는데 썩 만족스럽진 않더라구요.[/quote:1wc0xn9n]
특별히 콘솔 내 웹브라우져를 제어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고서는 원격으로 들어갈 상황이 그다지 없어 그냥 설치되어져 있는 '리미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quote:1wc0xn9n]
그렇군요. 저는 "Remote Desktop Viewer"가 기본 프로그램인줄 알았는데 리미너였군요;;
그런데 저는 뭐가 잘못됐는지 리미너로는 서버에 접속이 안되네요;; 그냥 전에 쓰던 프로그램 쓰라는 계시인가 봅니다. ![하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