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에서 문자 인코딩 설정 Default값 변경할 방법 없나요?

터미널 실행하면 문자 인코딩은 UTF-8이 기본값이더라구요.
근데 제가 터미널에서 텔넷을 통해 자주 접속하는 곳이 UTF-8로 인코딩되면 막 깨져서요.
매번 접속할 때마다 UHC로 바꿔줘야 하는 것이 좀 번거롭네요;
그렇다고 UTF-8을 지우고 UHC를 적자생존시키면 이후의 터미널 생활이 순탄치 못할 것 같은 예감이 들고 -_-…
고로 UHC를 기본 인코딩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list=1:etd5qv7m][:etd5qv7m]그놈 터미널 경우 프로필을 하나 만들고 편집 하는데 문자 인코딩에서 uhc 또는 exu_kr 뻬고 다 지우고 그 프로필(uhc)로 그놈 터미널을 새로 메뉴에 등록하여 접속때 그 터미널로 시작
gnome-terminal --profile=uch
[/
:m:etd5qv7m]
[:etd5qv7m]계정 하나 만들어 그 계정 .profile 에 랭귀지 등록 하여 그 계정으로 접속 또는 자신 프로필 변경
export LANG=ko_KR.EUC_KR
[/
:m:etd5qv7m]
[*:etd5qv7m]/usr/local/bin 에 euc 파일 만들어 접속시에 euc 치고 접속
예)sudo gedit /usr/local/bin/euc 내용 export LANG=ko_KR.EUC_KR && ssh bundo@bundo.biz
sudo chmod 755 /usr/local/bin/euc

uhc 나 euc_kr 이나 같습니다.[/*:m:etd5qv7m][/list:o:etd5qv7m]

저는 3번 사용 하겠습니다. ;)

오늘서야 해결 봐버려서 감사답변 ㅎㅎ (진작 검색 좀 해봤으면 좋았는데 말이지요… 쩝;)
LANG이 환경변수의 일종이었네요. 구글에 LANG 치자마자 나오는 LANG 환경변수 어쩌고 저쩌고…
환경변수가 뭔지도 알게된지 마침 얼마 되지 않았는데 -_-; 개념이 뒤죽박죽이에요 ㅎㅎ;
chmod도 위키에 뭐가 있었군요; http://ko.wikipedia.org/wiki/Chmod

3번 방법은 그러니깐- bin 디렉토리에 집어넣는 거 보니깐 실행파일을 하나 만들어두고 쓰자는 거고-
쉘 스크립트(이게 뭔지 오늘 처음 알고선 감탄을 금치 못하고 있지요 -_-…)… 뭐 그런 거 만드는 건가요?
헤헤헤- 게다가 결정적으로 이게 있었네요. 제가 처음일 리가 없었지요; viewtopic.php?f=22&t=2090

저기서 설명된 luit 좋네요- 전 설치한 적 없는데 알아서 깔려있기도 하고 -ㅂ-;
BBS 접속. 딱 제 목적에 부합하네요.
전 ssh가 아니라 telnet 사용하고 있습니다. ㅎㅎ
다만 의문점 하나는- eucKR은 되는데 왜 UHC는 안먹힐까요; UHC로는 왜 꺠지는지…

여튼 입문하시는 분들을 위해 즉시 글을 남겨 두도록 하겠습니다. -_-ㅋ

결과적으로 저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는데요.
일단 bin 디렉토리에 넣을 실행파일 생성하구요. bin 디렉토리에 생성하는 것인지라 sudo가 필요하네요.

[code:2k82wxc8]$ sudo gedit /usr/local/bin/is[/code:2k82wxc8]
(이 명령어의 의미를 알고 싶다면 gedit 사용법을 살짝 알아보세요. gedit은 윈도우즈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에디터 프로그램입니다.)
(굳이 bin 디렉토리에 만드는 이유: 다른 프로그램들은 반드시 그 프로그램이 담긴 경로로 이동해서 실행 명령을 내려야 하지만, bin에 담긴 프로그램들은 자신의 현재 경로에 상관 없이 어디서든 실행 가능합니다. 프로그래밍 코드로 치면 전역변수 같은 거랄까…)
(bin 디렉토리는 기본적으로 /bin 과 /usr/bin, 그리고 /usr/local/bin 이렇게 셋이 존재하는 것 같구요.)

is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한 줄만 적고 끝냈습니다.

[code:2k82wxc8]luit -encoding eucKR – telnet *********[/code:2k82wxc8]
(이 파일을 실행하면 파일에 적힌 명령어 그대로 터미널에서 실행된다고 보면 됩니다. 고작 한 줄이지만 매번 접속 때마다 일일이 적는다면 귀찮아서 is란 짧은 이름의 실행파일로 제작해두는 것이지요;)
(별표 자리에는 텔넷 옵션 및 텔넷을 통해 접속하고 싶은 곳 주소를 넣으면 됩니다. 텔넷 역시 프로그램 이름입니다.)
(luit도 프로그램 이름이고, -encoding은 luit의 옵션 중 하나. eucKR은 인코딩 종류 중 하나죠. 자세한 것은 luit 사용법을 참조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작성했다면, 이제부터는 터미널 실행한 뒤 [code:2k82wxc8]$ is[/code:2k82wxc8] 만 입력해도 BBS에 접속할 수가 있게 됩니다. -ㅂ-

뻔뻔하게도 마치 다 알았던 것처럼 설명해놨네요. ㅋㅋㅋ;
강분도님 글이 좋은 팁이 되었습니다. 덕분에 매번 많이 배우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제가 원하던 것인데 찾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