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점점 더워지는군요
우분투 두대를 셋팅하고 DHCP서버를 두대 돌리고있습니다. (모두 돌아가는 상태이구요)
1번서버와 2번서버 모두 isc-dhcp-server 셋팅값이 같구요
다른건 서버 아이피만 다릅니다. 아… dhcpd.conf도 해당 서버가 돌려야하는 호스트만 등록했습니다.
1번 서버에 dhcpd.conf에
호스트를 5대(아이피 10~14)
2번 서버에 dhcpd.conf에
호스트를 5대(아이피 15~20) 이런식으로
1번서버에 호스트를 맥으로 등록해놓고
host pc1 {
hardware ethernet xx:xx:xx:xx:xx:01;
fixed-address 192.168.0.10;
option host-name "pc1";
}
호스트 피씨를 켜니 자꾸 2번서버로 붙는군요
분명 2번서버에 위의 호스트 값은 없는데 말이죠
검색을 해보니 중간에 인증 절차를 넣어야한다고 말씀해 주시던데
간단하게 처리 할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위에 1번 2번 서버는 설정값은 같아도 dhcpd.conf만 다르게 셋팅해주었습니다.
뭔가빼먹은게 있는지 고수님의 답변 기다려요~
설정하는게 많아서 어디가 문제인지 바로는 모르겠네요.
일단 아래 dhcpd.conf 예제 참고하세요
[code:kgm7a8m5]
ddns-update-style none;
log-facility local7;
subnet 192.168.1.0 netmask 255.255.255.0 {
option routers 192.168.1.1;
option subnet-mask 255.255.255.0;
option broadcast-address 192.168.1.255;
option domain-name-servers 194.168.4.100;
option ntp-servers 192.168.1.1;
option netbios-name-servers 192.168.1.1;
option netbios-node-type 2;
default-lease-time 86400;
max-lease-time 86400;
host bla1 {
hardware ethernet DD:GH:DF:E5:F7:D7;
fixed-address 192.168.1.2;
}
host bla2 {
hardware ethernet 00:JJ:YU:38:AC:45;
fixed-address 192.168.1.20;
}
}
subnet 10.152.187.0 netmask 255.255.255.0 {
option routers 10.152.187.1;
option subnet-mask 255.255.255.0;
option broadcast-address 10.152.187.255;
option domain-name-servers 194.168.4.100;
option ntp-servers 10.152.187.1;
option netbios-name-servers 10.152.187.1;
option netbios-node-type 2;
default-lease-time 86400;
max-lease-time 86400;
host bla3 {
hardware ethernet 00:KK:HD:66:55:9B;
fixed-address 10.152.187.2;
}
}
[/code:kgm7a8m5]
설정 적용 후 체크할 때에는 ip route 라고 입력하시면 아래처럼 나올겁니다.
[code:kgm7a8m5]
$ ip route <- 동작하지 않으면 sudo를 붙여주세요
192.168.1.0/24 dev wlan0 scope link
82.16.TT.0/24 dev eth1 scope link
10.152.187.0/24 dev eth0 scope link
default via 82.16.TT.UU dev eth1
[/code:kgm7a8m5]
아…
이건 두대의 서버가 아닌
내부 외부를 나누는 작업인거 같은데
제가 좀 잘못이해를 한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