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구글 DNS 서비스 최악...

한국통신 : 168.126.63.1 평균 [b:8q2rv5cx]5.1ms[/b:8q2rv5cx]
Google : 8.8.8.8 or 8.8.4.4 평균 [b:8q2rv5cx]126ms[/b:8q2rv5cx]

Google DNS Server가 양키지역이라 그런지 너무 느리네요.

[attachment=0:2s7ua9lz]screenshot1.png[/attachment:2s7ua9lz]

KT의 FTTH 사용중입니다.
KT의 DNS는 2.5ms 라는 상당한 빠른 ping을 보여주지만, OpenDNS는 150대, 구글의 DNS는 125ms정도의 ping을 보여줍니다.

DNS가 ping시간만으로 평가할 수는 없지만…일단 ping자체가 느리면 "OpenDNS나 구글 DNS를 쓰면 빠르다"는 명제는 성립하기 어렵겠죠. ping시간보다 빠른 DNS응답을 주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니까요.

ISP서비스 자체의 DNS가 꾸린 분들이라거나, 차단된 사이트를 방문하시려는 분이 아니면 구글 DNS는 그리 도움이 안될거 같습니다.

여기는 ISP서비스 자체의 DNS가 꾸린 지역인가봐요. 8-)
수치적인 계산은 차이가 날지 몰라도 KT의 DNS나 OpenDNS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 속도차이를 못 느껴요.
익스플로러 사용할 때면 파이어폭스 보다 너무 느려서 짜증납니다.
KT가 18ms
OPENDNS가 159ms
Google 144ms 나오네요.

저도 느려서 바로 철회…ㅎㅎ

여기 캐나다인데도 느림…

약 85ms 나와요 ;;;;

[quote="86ajh":15g3cdi9]여기 캐나다인데도 느림…

약 85ms 나와요 ;;;;[/quote:15g3cdi9]

본래 미국/캐나다보다 우리나라 회선이 훨 빠르…

[quote="86ajh":hmbbrxf2]여기 캐나다인데도 느림…

약 85ms 나와요 ;;;;[/quote:hmbbrxf2]
ms인데 느리다고 하시면… =.=
2.5ms나 150ms나… 순식간이 아닐지요.
DNS서비스 특성상 도메인캐쉬에 없을 때 요청해서 가져오게 될텐데,
체감상 큰 차이는 없을거라 봅니다.
그 보다는 도메인에 해당되는 서버의 속도가 체감이 더 클 듯…

제목의 '최악’이라는 말은 떡밥이 아닐지;;

[quote="haze11":x9exms1j][quote="86ajh":x9exms1j]여기 캐나다인데도 느림…

약 85ms 나와요 ;;;;[/quote:x9exms1j]
ms인데 느리다고 하시면… =.=
2.5ms나 150ms나… 순식간이 아닐지요.
DNS서비스 특성상 도메인캐쉬에 없을 때 요청해서 가져오게 될텐데,
체감상 큰 차이는 없을거라 봅니다.
그 보다는 도메인에 해당되는 서버의 속도가 체감이 더 클 듯…

제목의 '최악’이라는 말은 떡밥이 아닐지;;[/quote:x9exms1j]

ㅎㅎㅎ 그래도 그 ‘숫자’ 상의 느낌이 다르죠!

그리고 심지어 제 ISP를 ping해도 35ms나와요 ㅠㅠ

저도 저 DNS를 쓰고 있는데 KT DNS랑 속도차가 크다는걸 체감할수는 없던데요
ms단위야 MMORPG정도에서나 민감하지 DNS는 저정도면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주소줄에 검색어 입력시 더러운 Paran 검색으로 돌리는일이 없다는게 가장 마음에 드네요

저는 중국이라서 그런지 ping의 ms 차이는 아주 미세합니다.

구글DNS의 장점은 주소줄에 검색어를 입력해도 구글검색을 해준다는 것이네요.
파폭의 오른쪽에 있는 검색은 다른 검색으로 바꾸어도 되겠습니다. ^^

저도 KT껄 쓰고 있다가 얼른 바꿨습니다.
이젠 주소란에 검색어를 쳐도 이상한 검색 페이지로 이동을 하지 않아서 좋네요. IE8 사용할 때도 bing검색도 제대로 되고…
원래대로 동작하는 KT DNS를 제공하고 있긴 하지만, 외우기가 힘들어서 제대로 사용을 못했는데 이건 외우기도 쉽고 좋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