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LR이 컴퓨터 업그레이드를 부르네요. 하지만 폰카질도 재미있습니다.

오랫만에 우분투와 전혀 관련없는 긴 이야기를 해 봅니다. 딱 10년이 된 사진이라는 취미입니다. 캐논 FT QL이라는 오래된 기계식 수동카메라에 FD 50mm 1.8, 코닥 티맥스 흑백필름으로 대학 사진동아리에서 출사나가면서 시작된 취미입니다. 당시에는 니콘 FM2가 참 멋져 보였고 캐논 G1 디카가 미래로 보였죠. 그동안 미놀타 F400, 캐논 G5, 미놀타 x300+탐론 28-70mm f3.5-4.5, 올림푸스와 후지의 이름모를 똑딱이 카메라들이 손을 거쳐갔습니다.

그러다가 군대를 가고 대학원을 가면서 관심이 시들해졌다가 얼마전에 캐논 보급형 DSLR인 550d(T2i)를 샀습니다. 대형 매장에서 오후 내내 500d, 550d, 600d, 7d, 60d, 5d MK2하고 소니 a55, a580, a900, 니콘 d7000, d300s, d3, 펜탁스 K-5, 후지 x100, 올림푸스 e-5, e-p2 등을 만져볼 수 있었는데 550d+EF-S 18-55mm f3.5-5.6 IS번들렌즈 리퍼 셋이 있어서 온라인과 얼추 비슷하게 가격을 낮게 맞출 수 있었습니다. 사고 나서 찍어보니 RAW + JPG 동시저장으로 하니까 한컷에 30메가 정도 나오고 연사 능력이 나쁘지 않아서 순식간에 32GB class 10 sd메모리가 800컷 정도로 다 차버립니다. 거기에 1080p HD 동영상 한번 직을 때마다 메모리 남은 용량이 수백메가씩 증발합니다. 예전 디카는 CF 256메가면 JPG로 100장 이상 찍었는데 격세지감입니다. 황당하게도, 2003년부터 찍어온 사진이 부모님것 백업한것까지 합쳐서 15기가 정도였는데 어느날 하루동안 32GB찍으니 이미 용량이 두배가 넘네요. 예비로 준비한 32GB class 4 sd도 쓰는 날에는 더하고요.

그래서 데스크탑에 히타치 하드 3TB를 큰 맘먹고 달아줬습니다. 3년동안 거의 텅텅 비어왔던 1TB하드가 최근 스팀 폭풍세일 이후 3/4 이상 차오르고 있어서 사진까지 불어나니 감당이 안되서 어쩔 수 없이 질렀습니다. 용량이 불어나니 MBR로는 안되고 GPT란 걸 쓰네요. 메인보드가 EFI를 지원하면 좋다는데 1년전에 맞춘 시스템이지만 지원 안하는 것 같아서 히타치 유틸리티를 써서 설정했습니다.

내친김에 28mm EF f1.8 USM 렌즈 (1.6x 크롭환산 44.8mm 표준렌즈)에 학생판 포토샵+라이트룸, 스파이더 프로까지… 실력은 꽝인데 마음은 이미 매그넘입니다-_-;; 그래도 28mm-50mm 영역의 광각-표준 스냅사진만 줄창 찍는 촬영습관에 나름 최적화가 된것 같습니다. 저렴한 50mm EF f1.8로 환산화각 80mm니 가끔 친구들 포트레이트도 찍어줄 수 있고요. G5에 물려 쓰다가 지금은 부모님 집 박스속 어딘가에 있는 420EX 스피드라이트하고 맨프로토 190 (구형) 삼각대가 없어서 아쉽지만 몇년 전과 추구하는 사진이 좀 바뀌어서 당장은 괜찮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스냅사진용으로는 hTC 인크레더블(나온지 1년 좀 넘은 디자이어 형제폰)이 더 편하고 은근히 좋은점이 많네요. 광학적(조리개 심도표현이 자유롭고 날카로운 화질을 가진 코팅이 된 유리렌즈군 vs 포커스 범위가 좁아서 흐릿한 최대개방상태의 플라스틱 광각렌즈), 전자적(정확한 화이트밸런스와 비록 크롭이지만 iso 3200으로도 봐줄만한 노이즈 억제를 보여주는 최신 18MP 센서 vs 어두운 밤에 찍으면 화이트밸런스는 누렇게 뜨고 노이즈가 작렬하는 콩알만한 8MP센서) 화질은 비교가 안되고 배터리 효율도 DSLR이 훨씬 좋지만, 맨날 가지고 다니고 어떤 렌즈보다도 가벼운데다 구글 플러스 앱을 까니까 자동으로 피카사 웹앨범에 순간 업로드 기능이 작동해서 컴퓨터와 아예 연결할 필요가 거의 없는 폰카는 정말 편합니다. 아무래도 사람들도 폰카에는 거의 신경쓰지 않고요. 일단은 둘다 병행해 봐야겠습니다.

어른이 된지 오래되고 시간이 없어진 만큼 사진 찍기가 쉽지 않은데 혹시 사진이 취미이신 우분투 포럼 회원님이 있으시다면 노하우 및 의견 부탁드립니다. 특히 좋아하시는 작가나 추천할만한 사진책 부탁드립니다. 2년전(?) 서울에 정모갔을때는 완전 남탕에 저보다 나이 많으신 아저씨들도 바글바글했는데 지금도 그럴 것 같으니 왠지 비슷한 취미 가지신 분들도 많을 것 같네요^^;

정말 대단하시네요. 저는 필름 카메라를 디카보다 더 좋아합니다. 현재 미놀타의 SRT-101이라는 1966년산 카메라를 가지고 있지요.
이 놈이 대단한 것이 무게가 보통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못 박을 때 망치가 필요 없다고들 말하는 완전 수동 기계식, 금속기어제품입니다.
게다가 최초로 전자식 조도계(바늘)를 채용한 제품이라지요? 거기에 물린 렌즈는 로코렌즈 f1.2에 58mm렌즈입니다.
렌즈 무게가 사진기 바디 무게와 비슷한, 둘 다 한 무게 하는 카메라입니다.
그런데도 저는 이 카메라가 무지 좋습니다. 어디 갈 때 꼭 가져가고 싶어하지요.

사진을 잘 찍는 것도 아니면서 사진기를 두 개씩 들고 다녀버릇하곤 합니다.

그런데 문제가 필름 현상 문제입니다. 그나마 한국에서는 버틸 만 했었는데,
이곳 프랑스에서는 필름 1통 값이 최소 5-6유로(한국 돈으로 7,500-9,000원 정도?), 현상하는데 8유로(12,000원) 스캔하면 추가비용 …
아이고, 이것 정말 큰 문제더라구요. 그렇게 찍은 사진이 작품성이라도 있으면 좋겠는데 그나마 찍어서 보면 다 버릴 사진 밖에 없으니 … 쩝!

그래서 어쩔수 없이 디카로 돌아설 수 밖에 없었죠.
최근에 여차 저차 해서 캐논 500D를 장만하게 되었는데, 제게는 거의 똑딱이 수준의 사진 밖에 찍지 않게되네요.
나이도 마흔하고도 여섯 해를 넘기니 이제 열정이 식었는지 사진도 많이 찍지 않게 되고…

그런데 글을 읽으면서 궁금한 점이 있네요. 인쇄용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고화질로 저장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요?
(혹시 그래픽 작업을 직업으로 가지고 계시다면 용서하시고 ^^)
컴퓨터에 저장하는 데도 시간이 걸리시겠지만, 나중에 사진 훑어 볼 때도 로딩시간이 많이 걸리고, 혹시 웹에 올리려면 당연히 리싸이즈 하게 되고 …
저는 한국에 잠시 나갔을 때 16Gb메모리를 장만했죠. 처음에는 고화질로 찍어 봤었는데 그것이 불편해서 최소 크기 또는 중간 크기로 찍게 되더라구요.
제가 인화를 해 봐야 가장 작은 싸이즈로 할 게 분명하기 때문이지요.
특별한 경우 책에 삽입하는 사진을 찍을 때만 가장 큰 싸이즈를 사용한답니다.

많이 찍어 놓아도 잘 지우고 정리를 해 놓지 않으면 나중에 다 짐이 되잖아요? 버리기도 그렇고 지우기도 그렇고 … 그래서 하드 공간만 차지하고 ^^
사진 작가님들은 (제가 보기에는 너무 너무 아까운 사진들을) 대부분의 사진들을 다 아낌없이!!! 버리는 것을 보고 저는 이해를 못하겠던데
그래서 그런 것은 아닐까요?

저도 가끔 동영상을 찍어 보는데, 찍은 뒤 편집하여 한 편을 남겨두고 나머지를 정리하지 않으면, 오히려 자료 가치도 적고 파일 싸이즈만 크고 …
나중엔 짐만 되더라구요^^

지극히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넉두리로 이해해 주시면 좋겠어요. 저는 정말 '마음만 사진 작가’랍니다. ^^
사진을 좋아하시는 분 만나서 너무 기분이 좋아 이런 저런 말씀 막 드렸습니다.
멋진 사진 한 장 올려 주심 어떨까요? ^^

제게는 큰 형님뻘 되시는 cklove 님 정성스런 커멘트 고맙습니다. 우선 프랑스 생활에 공감합니다. 2003년 여름부터 2004년 여름까지 1년동안 교환학생으로 다녀왔거든요. 물가가 참 비쌌습니다. 머리 깎는 돈이 아까워서 학교안 이발소에서 빡빡 밀었죠. 사실 G5, 플래쉬, 삼각대 모두 거기서 산 것입니다. 삼각대는 아마 주말에 샹젤리제 프낙에서 산 걸로 기억합니다. 학교가 빠리 근처에 있었거든요. RER-B 타면 30분쯤 걸렸습니다. cklove님은 목사님이신가요? 저는 그때 빠리 한인 침례교회에 다녔는데 목사님들끼리는 다 아시고 지내실지도 모르겠네요.

미놀타 SR-T 100 이라는 카메라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좋네요. 제가 썼던 캐논 FT QL과 비슷한 시기인 1960년대 중반에 나온 카메라고 생긴 것도 무척 흡사합니다. 로커 렌즈 좋다는 말은 많이 들었는데 부럽습니다. f1.4도 아니고 f1.2이라니! FT QL에도 같은 스펙의 FL 렌즈가 기본 구성인데 저는 더 흔하고 저렴한 FD 50mm f1.8 이 달려 있더군요. 필름 현상이 돈이 많이 들고 번거롭죠. 그래서 2000년대 초반에 필름카메라 유행이 불었을때 니콘과 미놀타 필름스캐너가 조금 인기가 있었습니다. 형편 되는 친구들은 리얼라도 쓰고 포지티브 필름도 쓰고 필름스캐너로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리고 그랬는데 이제는 다 추억이 되었습니다. 그래봐야 10년 전이지만요. 신기하게 cklove님이 지금 쓰시는 카메라와 구입 시기도 저와 거의 흡사하네요. 550d가 500d에서 크게 바뀌지 않았죠.

그리고 저는 그냥 학생입니다. 고화소로 저장하는 이유는 옛날 동아리 암실에서 스팟 작업이니 증감현상이니 하는 걸 했던 추억 때문입니다. RAW 파일이란게 용량도 크지만 나중에 이것저것 할 수 있더군요. 가격대비 용량은 지나보면 계속 커지니까 용량 확보하겠다고 데이터 삭제는 가급적 하지 않게 됩니다. 연사로 날린 중복 컷들은 가끔 정리할 필요는 있어 보이지만, 리싸이즈와 웹 업로딩은 피카사에서 자동으로 폴더단위로 다 해 주니 사진 관리에 크게 신경쓸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좋은 세상입니다.

저도 마음만 사진작가인데 이것저것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그냥 최근에 550d와 번들렌즈로 찍은 스냅 한 컷 올려봅니다. 저녁에 찍었는데 풀프레임 환산화각 35mm 정도입니다. DPP에서 리사이즈만 했고 촬영정보 살아있습니다.

초보에다 사진기 좋은 것을 가진 것도 아니지만
한 때 사진에 관심이 있어 이런 저런 사이트를 많이 기웃거리며
사진에 대하여 궁금해 하던 적이 있었습니다…

사진을 많이 찍으려면 시력이 좋아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력이 떨어지니 사진을 찍는 것과 보는 것에 대한 불편함 때문에
사진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듯 합니다.

나아가 김프 같은 사진 편집 전문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 줄어드는 듯 합니다.
다만 눈에 띄는 사진을 보면 사진촬영정보를 확인하려는 습관은 그대로네요.
아직 사진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서 그런가 봅니다.

머리 속에 사진에 대한 생각은 많이 맴도는데 막상 쓰려니 생각이 정리가 안됩니다.
심야라서 그런가 싶기도 하고요.

오랜만에 왔습니다.

저도 사진을 참 좋아 합니다.

작품 사진 절대로 안 찍습니다.

그냥 스냅샷…작은 똑딱이 디카로 가능한 많이 찍을려고 합니다. 약 95%는 울 아이들이구요…

1%는 울 와이프…나머지는 그냥 막…

제 처음디카가…코닥 그당시 200만화소…다음은 니콘 4300 –>> 케논300d –> 지금은 lx2입니다.

전 후보정 안합니다…할 시가간도 없고 할줄도 모르고…사이즈도 대충 5m정도로 하고…RAW 는 사치이고…ㅎㅎㅎ

많이 흔들려도 그냥 보관합니다…그날을 기역하며…

[quote="pepsirian":cu2hfri9] … 우선 프랑스 생활에 공감합니다. 2003년 여름부터 2004년 여름까지 1년동안 교환학생으로 다녀왔거든요.
… cklove님은 목사님이신가요? 저는 그때 빠리 한인 침례교회에 다녔는데 목사님들끼리는 다 아시고 지내실지도 모르겠네요.
… 로커 렌즈 좋다는 말은 많이 들었는데 부럽습니다. f1.4도 아니고 f1.2이라니!
… 고화소로 저장하는 이유는 옛날 동아리 암실에서 스팟 작업이니 증감현상이니 하는 걸 했던 추억 때문입니다. [/quote:cu2hfri9]

프랑스에 다녀 가셨다니 더욱 반갑네요. 저는 파리가 아니고 남쪽 몽펠리에에 살고 있지요.

맞습니다. 저는 목사입니다. 이상구 목사님을 잘 알고 있지요. 잘 알고 지내는 편은 아닙니다. 프랑스 남부에 살다보니 거의 뵐 일이 없지요.
한 번 뵈었을 뿐이랍니다. ^^

렌즈는 어찌 하다 보니 제 손에 들어오게 되었는데… 주인을 잘 못 만났지요. 그걸 가지고 찍어도 별 차이가 안 납니다. ㅠ.ㅠ
아래에 전에 찍었던 사진 두어 장 올려볼게요.

‘암실 작업’ 저의 로망입니다. 흑백 필름 몇 통과 현상액 정착액 등 현상하는 통(?) 등 장비를 얻었는데, 아직 한 번도 못 해 봤습니다.
암식 작업까지 하시는 것을 보니 "작가님"이라고 불러도 될 것 같네요. 몰라 봐서 죄송합니다.

바로 위의 cklove님의
첫번째 사진을 보니 많은 내용이 함축된 것 같습니다.
똑딱이든 필카든 이런 사진을 찍어야 하는데 저로서는 기회를 만날 수도, 만들 수도 없는 장면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환희의 순간을 잘 잡으셨네요.
그냥 막눈으로 본 느낌입니다.
사진 잘 보았습니다.

cklove님 두번째 사진은 축구인가요 야구인가요 다른 종목인가 ㅎㅎ. 휴지 만드는 사장님이 좋아하시겠네요.

전 사진은 문외한이지만 그런 자료는 한 번 날리면 다시 복구할 수 없기 때문에 너무 하드 디스크를 신뢰하지 마시고 항상 같은 모델 두개 사셔서 레이드를 이용한 미러링이라던가 하는 확실하면서도 [b:ir7pm5pk]‘신경 안쓰면서도 전자동으로 가능한 백업’[/b:ir7pm5pk]에 신경 쓰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일년, 이년, 십년 치 사진과 추억들을 몇 만원, 몇 십만원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면 매우 저렴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 입니다.

[quote="마잇":ayyulsjp]cklove님 두번째 사진은 축구인가요 야구인가요 다른 종목인가 ㅎㅎ. 휴지 만드는 사장님이 좋아하시겠네요.

[/quote:ayyulsjp]

축구입니다. 인천 문학 경기장 이죠^^
아이들이 너무 좋아해서 갔었는데 …
벌써 3-4년은 된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