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etc/group 이거 만지다가 영구 됬네요 ㅎㅎ

여기에서 막 안쓰는 서비스 막 지우니깐 컴이 알수 없는 오류 내는거 있죠? ㅠㅠ…
이거 건드려서 오류 나는걸 모르고 다른거 죄다 다시 설치 하고 백업 여러번 돌렸네요 ㅠㅠ…

에휴… /etc/group 여기에서 irc 같은거 사용 안하려면 어떻게 설정 주어야 하나요?..
멋도 모르고 지워 버려서 ㅠㅠ… 막고 싶어서요…

irc 는 그룹 이름입니다. /etc/group 에서 irc 가 있다고 하여 irc 가 작동 중인 것이 아닙니다.
irc 가 작동 중이려면 사용자가 irc 서버를 설치하거나 ir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해야 합니다.
/etc/group 을 그냥 놔두면 됩니다.

보안 때문에 민감해서 그렇다면 방화벽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모든 포트를 다 막은 후에 필요한 포트만 열어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기 컴퓨터에서 서버를 돌리는 것이 아니라면 방화벽 프로그램도 별로 필요가 없습니다.
금융권, 보안업체들이 금융거래시에 방화벽 프로그램이 필수라고 어쩌구저쩌구 하는데 과장된 겁니다.

아하 그렇군요 ㅠㅠ 너무 많이 등록 되어 있어서 다 열어 놓고 쓰는 건줄 알았어요 ㅎㅎ;; 역시 초보자다 보니 윈도우 쓰다 보니 걱정이 되더라고요 ㅎㅎ;;

윈도우의 개념은 설치시 열려있고 사용자가 닫는 방식이고

리눅스의 설치시 닫혀있고 사용자가 여는 방식이다. 라는 그런 맥락의 글을 본듯한데

그런 개념이 맞는듯 하네요…?

groups 파일은 함부로 건들면 안됩니다.

리눅스에선 각각의 프로세스나 프로그램이 사용자와 그룹 정보를 가지고 구동됩니다. 그럼으로 인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세스나 서비스를 다른 사용자가 함부로 건드릴수 없게끔 하는거죠.
그중 한 메카니즘이 그룹인데…

groups 에는 어떤 그룹들이 있다는 정보가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들이나 프고그램들은 그중 한개 혹은 여러개의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의 권한으로 구동되지요.
따라서 그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는 그 그룹에 포함됨으로써 해당 서비스에 접근할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id 명령어를 쳐보면 본인이 속해있는 그룹들이 나오는데 그 그룹들 명을 자세히 보시고 유추해볼수 있습니다. (cdrom 그룹이라던지, admin 그룹이라던지…)
물론 그룹 메카니즘 외에도 여러 다른 접근 권한 메카니즘이 있어서 그룹에만 의존하는건 아닙니다만…
예를 들어서 이전에 virtualbox 의 경우에는 (최근은 아닌것 같습니다만…) 사용자가 virtualbox 를 사용하기 위해선 해당 사용자가 vboxusers 그룹에 속해있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속해있지 않은 사용자가 실행했을경우에 권한이 없다고 떴었습니다.

하여간 그런 상황에서 그룹정보들을 삭제했을경우 그룹정보를 찾을 수가 없어서 그룹을 사용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들에서 에러가 나는건 당연한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