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civ를 즐겨보아요~

우분투의 기본 저장소에서 검색해서 설치할 수 있는 게임 중 하나입니다.
시드 마이어의 문명의 오픈 소스 버전이랄까요…
예전에 문명을 재미있게 했기 때문에
요즘 짬 날 때마다 중간중간 저장해가며 즐기고 있습니다.

공식홈: http://freeciv.wikia.com/

그런데 공식홈피의 게임이 좀 더 버전도 높고 한글화도 잘 되어있네요.
우분투에서 설치하는 것은 한글화가 약간 엉성합니다.

[attachment=0:2jxenh8i]freeciv.png[/attachment:2jxenh8i]
밤샘 작업하다가… 잠시 켜 보았습니다.
재미있어요.

공식홈피의 "How to Play"를 번역했던 내용입니다.

http://freeciv.wikia.com/wiki/How_to_Play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How to Play[/color:3ucwp7et][/size:3ucwp7et]
게임하는 법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Freeciv playing HOWTO[/color:3ucwp7et][/size:3ucwp7et]
따라해봐: FreeCiv 즐기기
[list:3ucwp7et] 원저자 - Michael Hohensee (aka Zarchon)
[/list:u: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If you’re looking for how to install Freeciv, look in Install{http://freeciv.wikia.com/wiki/Install}. If you’re looking for how to get Freeciv running, look in doc/README.[/color:3ucwp7et][/size:3ucwp7et]
설치를 어떻게 하는지 알고 싶다면 설치 문서를 참고하세요. FreeCiv를 어떻게 실행하는지 알고 싶다면 doc/README 문서를 참고하세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If you have never played the Civilization games, it’s easiest to start by reading the Freeciv Manual, available at Manual{http://freeciv.wikia.com/wiki/Manual}.[/color:3ucwp7et][/size:3ucwp7et]
문명 게임을 해본적이 없다면, FreeCiv 메뉴얼부터 읽는 것이 좋습니다. 메뉴얼을 사용해 주세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If you’re looking for ideas on playing Freeciv, then keep reading!! [/color:3ucwp7et][/size:3ucwp7et]
FreeCiv를 즐기기 위한 아이디어를 찾고 있다면, 이 글을 계속 읽어주세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Now that you have Freeciv running, you’ll want to play your first few games.[/color:3ucwp7et][/size:3ucwp7et]
지금 여러분은 FreeCiv를 실행하고 있으며, 몇번의 게임을 시작하길 원하고 있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It is recommended that you try playing solitaire a few times, so that you can get a feel for how things work, but this is not necessary. You can also learn by playing with others or against the AI.[/color:3ucwp7et][/size:3ucwp7et]
굳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어떻게 진행하는지 느낌을 얻고 싶다면, 솔리테어 카드 게임을 몇번 해보시길 권합니다. 다른 플레이어들과 AI에 대해서 어떻게 할지도 배울 수 있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Can you give me a basic strategy?[/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기본적인 전략이 있다면?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First of all, this isn’t a perfect strategy; it’s not even a very good one. But it will get you started playing Freeciv. Part of the appeal of Freeciv is in developing new strategies.[/color:3ucwp7et][/size:3ucwp7et]
무엇보다 먼저, 이 전략은 완벽한 전략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게다가 아주 좋은 전략도 아닙니다. 그러나 FreeCiv를 잘 즐기기 위해 시작하기에 충분합니다. 늘 새로운 전략이 개발되고 있다는 점도 FreeCiv의 매력 중 하나입니다.

[list: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game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color:3ucwp7et][/size:3ucwp7et]
게임을 몇가지 단계로 나누겠습니다:

[list:3ucwp7et] [: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Initial Expansion phase[/color:3ucwp7et][/size:3ucwp7et]
최초의 확장 단계
[
: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echnological sub-phase[/color:3ucwp7et][/size:3ucwp7et]
기술 개발 보조 단계
[/:m:3ucwp7et][: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Second Expansion phase[/color:3ucwp7et][/size:3ucwp7et]
두 번째 확장 단계
[/:m:3ucwp7et][: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Production phase[/color:3ucwp7et][/size:3ucwp7et]
생산 단계
[/:m:3ucwp7et][: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and The Utter Annihilation of Your Enemies phase[/color:3ucwp7et][/size:3ucwp7et]
그리고 적들의 완전한 멸망 단계[/:m:3ucwp7et][/list:u:3ucwp7et][/:m:3ucwp7et][/list:u: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Initial Expansion:[/color:3ucwp7et][/size:3ucwp7et]
최초의 확장: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is phase is the most critical. The first thing you want to do is build cities and explore your island. You want lots of cities, seven or eight at the least.[/color:3ucwp7et][/size:3ucwp7et]
이 단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해야할 것은 여러분의 섬을 탐험하고 도시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적어도 7개나 8개, 많은 도시를 건설해야 합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name of the game is to tie down as many squares of land as possible. When building a city, make sure that you don’t overlap too much with territory from one of your other cities. You can see which squares are being used by a city by clicking on it. The map of the city and the surrounding area contains that city’s territory. Keeping this in mind, try to keep your cities fairly close together. The further apart they are, the more difficult they are to defend and administer at this stage. (Tip: Try to build on horses or near fish.)[/color:3ucwp7et][/size:3ucwp7et]
확장이라는 이 단계의 이름대로 가능하면 많은 개수의 땅을 소유해야 합니다. 도시를 건설할 때, 다른 도시들과 지역이 많이 겹치지 않게 만드십시오. 도시를 클릭하면 범위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도시의 지도에 나타나는 도시를 둘러싼 땅들이 해당 도시의 영토입니다. 이런 기본을 명심하고, 겹침을 최소화하면서 가능하면 서로 가깝게 도시를 건설하십시오. 도시들이 서로 떨어져 있으면 이 단계에서 방어도 어렵고 관리도 어려워집니다. (팁: 말이나 물고기 근처에 건설해 보세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echnological Improvement:[/color:3ucwp7et][/size:3ucwp7et]
기술 개발: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Now that you have a city or two, you’ll want to set the science rate as high as your government type will allow. Don’t worry about the tax rate, since you won’t be building any improvements to drain your cash; you’ll be building settlers. Every city should be churning out settlers. The more settlers you make, the more cities you can have; the more cities you have, the faster you gain tech, the faster you win. After you have built as many cities as your corner of the world will hold, turn the settlers to irrigating and building roads.[/color:3ucwp7et][/size:3ucwp7et]
도시를 한두개 가지게 되면, 세율 항목에서 과학을 당신의 정부에서 허용하는 최대로 올리십시오. 세금 비율에 연연하지 마세요, 과학의 발전은 당신의 현금을 소모하지 않습니다. 먼저 정착자를 생산해야 합니다. 모든 도시는 정착자를 찍어내야 합니다. 정착자가 늘어나면, 더 많은 도시를 건설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도시를 가지면, 더 빠른 발전이 가능하고, 더 빨리 승리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세상 중 구석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도시를 건설한 다음에는, 남은 정착자들은 도로를 연결하거나 관개 작업을 시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Note: If the food surplus in a city drops to +1 from supporting too many settlers, and you can’t rearrange people to increase it, then switch them to building temples. Unless you make contact with another player, don’t worry about building military units just yet.)[/color:3ucwp7et][/size:3ucwp7et]
(참고: 정착자들이 너무 많아져서 도시의 식량 흑자가 +1이 될 정도로 떨어지고 도시가 성장할 수 있게 인구를 재배치할 수 없다면, 그 도시에 신전을 건설하세요. 다른 플레이어를 만나기 전까지는 전투 유닛 생산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All this time, you have been gaining techs as fast as possible. What you should be shooting for is first "The Republic", then "Democracy", then "Railroad", and then "Industrialization". (Some people go for Monarchy before The Republic). As soon as you’ve researched a new government type, start a revolution and change over to it. Cities operate much better as Republics than they do under Despotism, but note that it’s much harder to keep military units outside of city limits under a Republic. Also, don’t forget to recheck your rates after you’ve changed governments, as the maximums vary for each type.[/color:3ucwp7et][/size:3ucwp7et]
이 단계 동안, 기술 수준을 가능하면 빠르게 올리십시오. 처음 목표로 "공화제"를 하고, 다음으로 "민주주의", 그 다음 "철도", 그리고 "산업화"를 목표로 추천합니다. (몇몇 사람들은 "공화제" 이전에 "군주제"를 먼저 합니다.) 새로운 정부 형태를 개발했다면 가능한 빨리 혁명을 해서 정부 형태를 바꾸십시오. 도시들은 전제 정치보다 공화제 정치에서 훨씬 잘 돌아갑니다, 그러나 공화제 하에서는 도시 한계 밖의 전투 유닛은 훨씬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또한, 정부의 형태가 바뀔 때마다 세율의 최고치가 변하기 때문에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When you get Democracy, you are equipped to go into the Second Expansion phase. This is accomplished by changing the government to a Democracy, making all cities build temples, and setting the luxury rate to 100%. When you do this, all cities will immediately begin celebrating, and will grow at a rate of one per turn as long as there is surplus food. When they’ve gotten big enough, set the luxury down to a reasonable level of 20-40%. This places you in the Second Expansion phase.[/color:3ucwp7et][/size:3ucwp7et]
민주주의를 완료하고 나면, 두 번째 확장 단계로 가기 위한 준비가 완료됩니다. 정치 형태를 민주주의로 바꾸고, 모든 도시가 신전을 가지고 있으며, 복지 비율을 100%로 올렸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 때 모든 도시는 즉시 축제를 시작하고, 식량 흑자만큼 한턴에 하나씩 도시가 성장할 것입니다. 도시들이 충분히 커지고 나면 복지 비율을 20~40% 정도의 합리적인 수준으로 낮춥니다. 이제 두 번째 확장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down-side to this is that setting luxury to 100% means that your science research will all but stop. After your cities have grown, and you put science back up to 50% or so, you will again gain techs, but at a slightly slower rate. If you have done some exploring, and are not immediately threatened by another player, it can be a good idea to keep science at maximum until techs start to take too long to generate.[/color:3ucwp7et][/size:3ucwp7et]
복지 비율을 100%로 올렸을 때 과학 발전은 중단됩니다. 도시들이 충분히 커지고 나면, 과학 비율을 50% 정도로 올리세요. 기술은 약간은 느려진 속도로 다시 발전할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아직 탐험 중이고, 급박하게 다른 플레이어가 위협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생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가능하면 오래동안 과학 비율을 최대로 올리는 것도 좋은 생각입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Second Expansion:[/color:3ucwp7et][/size:3ucwp7et]
두 번째 확장: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When you get your cities to a good sized population, wean them off luxuries gradually and increase taxes. Once they’re down to 30% luxury or so, put as much of the taxes as you can into science, while maintaining a positive income. When you get railroad, turn all your roads into rails, or at least the squares used for production, or those that form part of a transport network. (Tip: turn every square used by a city into a road/rail, it increases that city’s output. There’s no need to upgrade the very centre square - that’s done automatically).[/color:3ucwp7et][/size:3ucwp7et]
여러분의 도시들의 인구가 충분한 크기가 되었을 때, 복지를 서서히 줄이고 세금을 늘립니다. 일단 복지가 30% 정도가 되고 세금을 과학과 비슷한 수준으로 관리하면서 흑자를 유지합니다. 철도를 발명했을 때, 여러분의 모든 도로들을 - 적어도 이동이나 생산에 관계된 지점들을 - 철도로 교체하세요. (팁: 도시가 사용하는 모든 지점을 철도로 변경하면 도시의 생산이 증가합니다. 도시 중앙은 자동으로 변경되니까 따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Now is the time to develop industrialization, and military technologies. You should also begin building cities on other islands, and do some serious exploring if you have not already done so. You need to find out where your enemies are. Go for techs good for ships, and try to build Magellan’s Expedition. When you feel ready, go into:[/color:3ucwp7et][/size:3ucwp7et]
이제 산업화와 국방 기술이 발전할 시간입니다. 여러분이 미리 신중하게 탐험을 하지 않았더라도, 다른 섬에 도시 건설을 시작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적들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배를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마젤란의 탐험"을 건설하는 것을 시도하세요. 그리고 준비되었다 생각되면, 다음 단계로 고고씽~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Production:[/color:3ucwp7et][/size:3ucwp7et]
생산: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Now you’re building factories and power plants in your cities. You want to get as much production as possible out of each city. Pollution becomes a problem. As soon as you can, try to research Mass Production for Mass Transits, and Recycling so you can build Recycling Centers. Once you’ve got all your cities going strong, you must build military units. (Note: If you come into contact with another player, you should immediately build a few attack units, and at least one defense unit per city.)[/color:3ucwp7et][/size:3ucwp7et]
이제 여러분의 도시에 공장과 발전소를 건설합니다. 여러분은 각 도시들이 찍어낼 수 있는 한계까지 생산하기를 원합니다. 공해가 문제가 되어갑니다. 가능하면 최대한 신속하게, "대량 생산"과 "대량 수송" 기술을 연구하고, "재활용" 기술을 통해 "재활용 센터"를 건설합니다. 언젠가는 여러분의 도시들을 강하게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전투 유닛을 생산해야 합니다. (참고: 만약 다른 플레이어와 접촉했다면, 즉시 소량의 공격 유닛을 생상해야 합니다. 그리고 도시마다 적어도 하나는 방어 유닛을 보유해야 합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When you want to begin thinking about attacking someone, set science to 0%, and put raise taxes as high as you can without provoking disorder. Remember, money can build units too![/color:3ucwp7et][/size:3ucwp7et]
여러분이 누군가를 공격하기를 원할 때, 과학을 0%로 설정하고,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도에서 세금을 최대로 올립니다. 기억하세요! 돈으로 유닛을 살 수도 있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Utter Annihilation of Your Enemies:[/color:3ucwp7et][/size:3ucwp7et]
적들의 완전한 멸망: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is can happen at any time, but it’s more fun with the advanced weapons.[/color:3ucwp7et][/size:3ucwp7et]
이 단계는 언제 어느 때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만, 좀 더 발전된 무기를 가졌을 때가 더 재미있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Pick a relatively weak enemy, and send over a few ship-loads of troops. Take over his cities, and use them to build more units to take out the rest of them with. Show no quarter! To the death![/color:3ucwp7et][/size:3ucwp7et]
상대적으로 약한 적을 고르고, 병사를 태운 수송선을 조금 보냅니다. 도시를 정복하고, 정복한 도시를 남은 병력과 함께 전투할 유닛을 생산하는데 사용합니다. 여유는 필요 없습니다! 적에겐 죽음뿐!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Repeat as often as necessary! ;-)[/color:3ucwp7et][/size:3ucwp7et]
필요한 만큼 반복하세요! ^-^/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Note for pacifists: Freeciv also allows a player to win by building and launching a spaceship which arrives at Alpha Centauri before anyone else.)[/color:3ucwp7et][/size:3ucwp7et]
(평화주의자를 위한 참고: FreeCiv는 여러분을 위해 평화적인 승리 조건도 제공합니다. 우주선을 발사해서 누구보다 먼저 ‘알파 센타우리’ 행성에 도달하세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Additional questions:[/color:3ucwp7et][/size:3ucwp7et]
추가적인 질문: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What other strategies are there?[/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다른 전략들은 어디서 참고할 수 있나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re are a number of tutorials and strategy guides available at the Tutorials{http://freeciv.wikia.com/wiki/Tutorials} page.[/color:3ucwp7et][/size:3ucwp7et]
튜토리얼 문서에 몇가지 전략 가이드가 있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Plus, the Freeciv online help describes another strategy.[/color:3ucwp7et][/size:3ucwp7et]
또한 FreeCiv 온라인 도움말도 다른 전략을 제공합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In multiplayer games, what timeout should I set?[/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멀티플레이 때, 타임아웃의 길이는 어떻게 정하나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at depends upon the number of players. If there are just two of you playing, you can usually get away with using timeout 0. If there are more than two, or if one of the two is going to be away from his terminal at random intervals and you don’t want to halt play, a timeout of 60 seconds is usually sufficient. Later in the game, however, as things get more complex, you may want to extend the timeout to 240 seconds. In general, the more players you have, the longer a timeout you will need. Feel free to set whatever timeout seems comfortable, but remember that going above 300 will tend to bother people.[/color:3ucwp7et][/size:3ucwp7et]
플레이어의 수에 달려있습니다. 만약 당신을 포함해 딱 두 명이 게임중이라면, 일반적으로 타임아웃을 0으로 설정해 무한한 턴 시간을 줍니다. 두 명 이상이거나, 둘 중 하나가 임의로 자리를 비웠을 때 게임이 멈추길 원하지 않으시다면, 보통 충분하게 60초를 할당합니다. 그러나 나중에 게임이 후반으로 접어들어 복잡해지기 시작하면 240초 정도로 늘리는게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수 플레이어가 게임할 때, 당신의 판단대로 타임아웃 길이를 정하세요. 편안한 정도로 타임아웃을 자유롭게 조절하세요. 그러나 300초 이상은 다른 플레이어들이 지루해 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What size map should I use?[/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맵의 크기는 어느정도가 좋을까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map size depends upon how many players there are, and how fast you want the game to end. The default map size (4000) is big enough for a fairly quick two player game, but will result in a very fast game if any more than three people are participating.[/color:3ucwp7et][/size:3ucwp7et]
맵의 크기는 '얼마나 많은 플레이어가 있느냐’와 '얼마나 빨리 게임을 끝낼 것인가’에 따라 정해집니다. 기본 맵크기인 4000은 두 명의 플레이어가 금방 즐기기에 아주 적당합니다만, 3명 이상이 참여하면 상당히 빠르게 게임이 끝날겁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Fast games tend to be frustrating for everyone but the winner, as nobody has really had any time to develop any defense. If you have more than three people playing, you should use a 6000 map. If you have five or more people, you probably want to consider one that contains 10000 fields.[/color:3ucwp7et][/size:3ucwp7et]
빠른 게임은 충분한 방어와 발전을 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승자를 제외한 모두가 좌절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3명 이상이 참여한다면, 맵 크기를 6000 정도로 사용하면 됩니다. 만약 5명 이상이라면, 아마도 10000 이상을 고려해야 할겁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What is that "generator" option?[/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생성기" 옵션은 무엇인가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It alters the map generation process. If you play Freeciv a few times without changing this setting, you are sure to hear of (or experience) the horrors of a tiny island. Tiny Island Syndrome (TIS) is known to make people go insane. To fix this, our kind and loving coders installed the generator option.[/color:3ucwp7et][/size:3ucwp7et]
그것은 맵 생성 과정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이 설정 없이 바로 FreeCiv를 즐길 경우에 좁은 섬의 끔찍함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경험할 것입니다. 좁은 섬 신드롬(좁섬신)은 사람들을 정신 이상으로 몰아넣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고치기 위해, 우리의 친절하고 사랑스러운 코더들은 생성기 옵션을 준비해 두었습니다.

[list:3ucwp7et] [: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When set to 1, it creates the map using a random height generator, with islands of different (and potentially unfair) sizes.[/color:3ucwp7et][/size:3ucwp7et]
1로 설정하면, 무작위 높이 생성기를 사용합니다. 섬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어쩌면 불공평할 정도로) 생성됩니다.
[/
:m:3ucwp7et][: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When set to 2 it generates the map using a pseudo fractal height generator. This means that the mountains and the hills will be placed according to everlasting mathematical figures.[/color:3ucwp7et][/size:3ucwp7et]
2로 설정하면, 의사-플랙탈 높이 생성기를 사용합니다. 그 말인 즉, 산과 언덕이 지속적인 수학 도형에 따라 배치됩니다.
[/
:m:3ucwp7et][: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3 generates islands of equal size (sometimes with some smaller islands thrown in). This way, nobody can whine about losing "on account of that d**ned island."[/color:3ucwp7et][/size:3ucwp7et]
3은 섬들을 같은 크기로 생성합니다(몇몇 좀 작은 섬들을 포함한). 이 방법은 그 누구도 "뭐같은 섬때문에 졌잖아"같은 우는 소리를 할 수 없습니다.
[/
:m:3ucwp7et][:3ucwp7et][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0 is used for premade maps. (Load a map by typirng in /load /dir/savegame.sav.gz in the input fiel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s of a game. Use the map editor to change a map.)[/color:3ucwp7et][/size:3ucwp7et]
0은 미리 만들어진 맵들을 사용합니다. (화면 하단에 '/load /dir/map.sav.gz’와 같은 명령을 쳐서 맵을 읽습니다. 이 방법에서 맵을 제외한 다른 게임 설정은 얼마든지 바꿀 수 있습니다. 맵 에디터를 사용해서 맵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m:3ucwp7et][/list:u: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Below the generator option there is the startpos option. This setting determines how many players are placed on the same continent. Each generator option has its own default startpos value. Which is loaded when startpos is 0. (The default startpos for the fractal hight generator is 3, which means that the generator will try to place all the players on the same continent.)[/color:3ucwp7et][/size:3ucwp7et]
생성기 옵션 아래에는 시작위치 옵션도 있습니다. 이 설정은 여러 플레이어를 어떻게 배치하는지 결정합니다. 각각의 생성기 옵션은 고유한 시작위치 기본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작위치가 0이면 파일에서 읽습니다. (플랙탈 높이 생성기의 기본 시작위치는 3입니다. 이것은 생성기가 모든 플레이어를 같은 대륙에 배치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Should I make the game easier by increasing the starting gold?[/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시작 자금을 많이해서 게임을 쉽게 만들수 있나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If you are inexperienced, and are playing with inexperienced people, probably no one will object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gold they start with. This is, however, not a good way to learn how to play. Starting out with lots of money makes the game much easier, and makes it more difficult for you to learn how to cope with the default amount. Most experienced players don’t increase this setting, and if they know how to cope with it and you don’t, you are going to go the way of Atlantis.[/color:3ucwp7et][/size:3ucwp7et]
만약 당신이 미숙한 초보자이고 같이 하는 플레이어들이 초보적이라면, 아마 누구나 시작 자금을 올리고 싶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건 게임을 배우기에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많은 자금으로 시작하면 게임은 훨씬 쉬워지겠지만 기본 금액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배울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경험많은 플레이어들은 이 설정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만약 그들만이 적은 자금에 대한 대처법을 알고 당신은 모른다면, 당신은 아틀란티스처럼 잊혀지고 멸망할 것입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Note: The same thing applied to the "techlevel" and "researchspeed" settings.[/color:3ucwp7et][/size:3ucwp7et]
참고: 기술 수준과 연구 속도 설정을 변경하는 것도 같은 결과입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What about those other settings?[/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다른 설정은 어떤가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rest of them mainly have to do with what sort of world will be generated and game mechanics. Increasing "specials" gives you a high chance of resources/square, and huts determines how many freebie huts there are. Increasing the amount of settlers or explorers one starts with makes the game go faster, and allows people to survive "those $#@! barbarians" which sometimes live in huts.[/color:3ucwp7et][/size:3ucwp7et]
남아있는 설정 중 대부분이 일종의 세계 생성과 게임 메커니즘에 영향을 줍니다. "특수" 옵션을 증가시키면 특별한 자원을 가진 지형이 늘어납니다. "오두막"은 원주민을 얼마나 많이 둘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탐험가 수나 정착자 수를 증가시켜서 게임을 빠르게 진행시킬 수도 있고, 몇몇 오두막에서 "야만인이 있습니다!"와 같은 경우를 만나도 생존할 수 있는 확률을 높입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The rail-related settings determine how much more a square will produce in food/trade/production with a railroad on it, and the foodbox setting determines how much food each person in a city has to have before a new person can be added.[/color:3ucwp7et][/size:3ucwp7et]
철도 관련 설정은 철도가 놓였을 때 얼마나 많이 식량/거래/생산을 증가시킬 것인가를 결정하고, 음식상자 설정은 도시에 새로운 인구가 더해질 때 각 인구당 얼마나 많은 식량이 필요한지를 결정합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As for the rest, higher "mountains" means a more mountainous map, higher "deserts" means more deserts, etc.[/color:3ucwp7et][/size:3ucwp7et]
남은 설정들 또한, "산" 설정을 높이면 맵에서 산이 늘어나고, "사막" 설정을 높이면 사막이 늘어나고 등등…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How do I get _____ tech?[/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기술을 어떻게 익히나요?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Look the tech up in the online help. It will show you the technologies you need to get first.[/color:3ucwp7et][/size:3ucwp7et]
온라인 도움말에 기술 부분을 보세요. 그 기술을 하기 위해 먼저 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알려줍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You could read the technology ruleset in ‘data/default/techs.ruleset’. It shows a list of all the techs, and what techs are necessary to get them.[/color:3ucwp7et][/size:3ucwp7et]
‘data/default/techs.ruleset’ 파일을 읽어서 기술 규칙들을 읽을 수도 있습니다. 거긴 모든 기술이 나열되어 있고,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적혀 있습니다.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Q. What kinds of military units are the most useful?[/color:3ucwp7et][/size:3ucwp7et]
질문. 가장 쓸만한 전투 유닛은 어떤게 있나요?

[list: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For Attack:[/color:3ucwp7et][/size:3ucwp7et]
공격을 위해서:
[list: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Armor (tanks), Helicopters, Cruise Missiles, Battleships, Transports, Nuclears, Howitzers, Bombers.[/color:3ucwp7et][/size:3ucwp7et]
보병(탱크), 헬리콥터, 크루즈 미사일, 전함, 수송선, 핵무기, Howitzers, 폭격기.
[/list:u: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For Defense: [/color:3ucwp7et][/size:3ucwp7et]
방어를 위해서:
[list: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Armor (tanks), Mech Inf., Howitzers, Battleships, Cruise Missiles, Nuclears. [/color:3ucwp7et][/size:3ucwp7et]
보병(탱크), Mech Inf., Howitzers, 전함, 크루즈 미사일, 핵무기.
[/list:u:3ucwp7et][/list:u:3ucwp7et]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Remember, the best defense is a strong offense.[/color:3ucwp7et][/size:3ucwp7et]
기억하세요, 강한 공격은 최선의 방어라는 것을.

[size=85:3ucwp7et][color=#BFBFBF:3ucwp7et]Additions to this document are welcome! [/color:3ucwp7et][/size:3ucwp7et]
이 문서에 추가할 내용이 있다면 환영합니다! 추가해 주세요!

앗흥~ 잼나겠네영~~ ㅎㅎ

짐 바로 최신 버전 소스코드는 받아 뒀어용. 시간날 때 컴팔해서 해봐야겠네영. ㅎㅎㅎ.

제가 리눅스 초보라서 tar.bz2 소스파일을 받았는데 설치방법을 모르겠네요…

대충 조금만이라도 알려주세요^^;;

[code:3chubhy7]./configure --enable-client=gtk2 && make install[/code:3chubhy7]

이게 맞을 겁니다. ^^

ㅎㅎ 문명하느라 몇날 밤샌기억이…
수업도 빼먹고…

문명의 최대단점이라면 착한사람도 전쟁주의자가 되어버린다는거 정도일까요 ㅎㅎ
전쟁한번 안하고 외교전으로 끝까지 버티다가 석유때문에 세계대전을 일으킨 경험이 있습니다\

한편으론 부시를 이해할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고…

문명을 하다보면, 내 국력이 주변국보다 강할 때는 외교고 나발이고 전쟁이 가장 쉽고 편하게 만사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이란 결론이 섭니다.

전쟁이 제일 쉬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