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브라우저 GPU 가속, 이미 리눅스는 옛적에 지원합니다.

요즘 웹브라우저쪽 상황을 보면 화두가 HTML5 지원이기도 하지만, 또역시 GPU 가속 지원 역시 입에 오르내립니다.

이 부분을 보면 마소의 IE9가 프리뷰 버전에서 처음으로 보임으로써 관심을 받기 시작했는데, 윈도우쪽에선 얼마전 나온 파이어폭스 4 베타 버전을 제외하곤 딱히 없어서 아직 정식으로 볼려면 한참 멀었구나 싶었는데

우분투에서 늦게나마 확인해보니 아니 벌써! 이미 지원하고 있네요.

벅찬 감정에 인증샷 올려봅니다. :lol:

[attachment=0:2veqdpzq]스크린샷-Psychedelic Browsing - Mozilla Firefox.jpg[/attachment:2veqdpzq]

생각보다 점수가 그리 높지 않은건

사양이 atom CPU급 넷북 사양인지라 꼭 기분탓만은 아닙니다.

[attachment=0:297vky99]Screenshot.png[/attachment:297vky99]오호 1759점입니다+_+

오~
…이것은 나으 데스크탑이 넷북 보다 못하다는 것 인가요? :cry:
이 테스트로 인해 gpu 온도가 10도나 더 올라가는군요.
[attachment=0:3h9zkvjo]screenshot15.png[/attachment:3h9zkvjo]

ATI는 뭔가요…ㅜ.ㅜ 현재 카탈 10.8사용중입니다. 노트북이고, CPU는 turionX2, HD3200 사용중입니다. 와인상에서 게임은 잘 돌아가는데, 뭔가 설정이 잘못된 걸까요?
[attachment=0:meda2blh]스크린샷-Psychedelic Browsing - Mozilla Firefox.png[/attachment:meda2blh]

[attachment=0:c0rus42o]Screenshot.png[/attachment:c0rus42o]
사용 그래픽 장치는 인텔 i865입니다.

나는 뭔지도 모르지만 하여간 해봤다는…

일단 점수는 좋은 듯…

삼성 Sens P510 (core2due P8700, nvidia Geforce 9200M-그래픽카드는 확실하지않음, 이렇게 프로그램에서 인식하기에…)

다른 그래픽 카드에서는 어떨까 싶어서 노트북에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제 노트북은 P1510이며 그래픽 카드는 GMA900(i915?) 입니다.

테스트 해보려고 하니, 파폭이 응답이 늦어져 까맣게 됐다가 다시 하얗게 됐다가를 반복하며,

시스템 전체가 응답이 엄청나게 느려지네요. 시스템 모니터로 보니 씨피유는 절반밖에 안먹는데,

시스템응답이 클릭후 10초이상은 되야 반응이 오네요.

무엇이 문제 일까요??? 전혀 감이 안잡히네요.

혹시 컴피즈를 끄고 해야하는건가요??

아니면 그래픽 가속이 안되는 걸까요?

그래픽 카드는 Geforce 9200M GS 입니다.

요거 신기하네요…
평상시에 크롬을 주로 쓰기때문에 크롬으로 돌려봤는데…70~80정도가 나와서…
좌절했습니다… 나름 시뮬레이션 작업도 하는 데탑인데…

혹시나 파폭은 어떨까 싶어서 파폭으로 돌려봤더니…
파폭에서는 1700이 넘는군요…

근데… 이 숫자들이 의미하는게 뭔가요?;;;

이게 뭐하는 건가요~? ㅋㅋ

http://ie.microsoft.com/testdrive/

윈도용 파폭에서는 작동하지 않는군요…

nvidia 9800GT 임다…ㅋ
[attachment=0:3i9t3ns9]스크린샷.png[/attachment:3i9t3ns9]
재미있는 숫자놀이!!

우분투에서 실행해보니 1 나오는군요. :cry:
역시 ATi의 한계인가…

아무런 생각없이 따라 해 봤습니다.

오호 저는 쿨하게 '1’이 나오는군용.

역시 쿨한 ATI, 이것이 ATI 스타일~

저는 32 나오네요;;;
크롬 5.0 + ATi의 위엄인가 봅니다-_-;

파폭은 예전에 지워버려서 패쓰-_-

그나저나 HTML5 는 혁명적이네요.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도 되는군요.
우리나라는 얼마나 빨리 그 기술을 수용할지 궁금하군요.
HTML5 가 유행이 된 후에도 우리나라만 유독 플러그인을 고집할지
그때 되어서도 IE6,7,8 사용자가 많아서 플러그인으로 재생해야 한다는 궤변을 늘어놓을지
사용자들을 얼마나 불편하게 만들지 궁금하군요.

IE6,7 사용자가 불만을 제기하면 웹표준을 준수하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라고 안내를 하면 되는 것을.

게다가 IE6,7,8 은 MS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만 작동되잖아요.
파이어폭스, 구글 크롬 웹 브라우저는 MS, Mac, 리눅스 등 여러 운영체제에서 작동하는 무료, 자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인데.

왜 표준도 안 지키는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면서(MS 윈도우 없으면 실행 불가)
표준을 지키는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것인지.(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무료, 자유 오픈 소스)
이 땅에 정의는 어디로 사라졌을까.

저도 인증샷입니다. 얼마 전에 랩탑->데스크탑, 내장radeon->외장geforce로 오랫만에 갈아탔는데 점수놀이에는 좋군요.

근데 html5가 은근히 사양을 타는 것 같습니다. 유튜브나 vimeo같은 곳에서 html5로 전환해보면 하드웨어 가속이 제대로 되지 않는지
flash 쓸 때 보다 화면이 거칠어지고 좀 더 버벅거립니다. 윈도에서 돌려봐도 마찬가지인 걸 보면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
더 발전해서 flash의 좋은 대안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quote="cogniti":10xxxyj3]그나저나 HTML5 는 혁명적이네요.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도 되는군요.
우리나라는 얼마나 빨리 그 기술을 수용할지 궁금하군요.
HTML5 가 유행이 된 후에도 우리나라만 유독 플러그인을 고집할지
그때 되어서도 IE6,7,8 사용자가 많아서 플러그인으로 재생해야 한다는 궤변을 늘어놓을지
사용자들을 얼마나 불편하게 만들지 궁금하군요.

IE6,7 사용자가 불만을 제기하면 웹표준을 준수하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라고 안내를 하면 되는 것을.

게다가 IE6,7,8 은 MS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만 작동되잖아요.
파이어폭스, 구글 크롬 웹 브라우저는 MS, Mac, 리눅스 등 여러 운영체제에서 작동하는 무료, 자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인데.

왜 표준도 안 지키는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면서(MS 윈도우 없으면 실행 불가)
표준을 지키는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것인지.(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무료, 자유 오픈 소스)
이 땅에 정의는 어디로 사라졌을까.[/quote:10xxxyj3]

다들 아시겠지만 참고로 윈도에서도 Firefox 4.0 Beta 4 버전을 쓰면 환경설정에서 gpu 가속 기능을 켤 수 있습니다.
[url:37c71gbo]http://liverex.tistory.com/760[/url:37c71gbo]
그래서 한 번 돌려봤는데 같은 하드웨어라 그런지 점수가 우분투에서와 1점도 차이나지 않고 똑같네요. "PSYCHEDELIC" 글자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데,
파폭 버전도 다르고 폰트 설정도 다르니 그럴 수 있겠죠.

참고로 크롬은 창 줄이면 1700대 나옵니다.

안 줄이면 900정도 나옵니다.

그리고 파이어폭스는 줄이나 안 줄이나 1700대 나오는데, 큰 창 상태에서는 화면이 뚝뚝 끊깁니다.

이상 팁이었습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