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ub에서 text 부팅과 일반 부팅을 할때 부팅 과정이 다른점이 있나요?

블루투스로 두대의 우분투를 rfcomm 시리얼 통신 연결하는 중 입니다
12.04에서는 문제가 없는데 10.04에서 grub 설정을 윈도우로 부팅하면 rfcomm connect 0이 잘 되는데
이상하게 text 설정으로 부팅하면 permission denied가 나오네요

다른 설정은 바꿔준게 아무것도 없는데 윈도우 부팅이냐 text 부팅이냐에 따라서 통신이 되고 안되고 =_=;

grub 설정을 text로 하게되면 일반 윈도우 모드 부팅할때와 다른점이 있는건가요?

text모드로 부팅하시는 경우, lightdm이 시작되지 않습니다.
이는 /etc/init/lightdm.conf 에서 매개변수로 text가 넘어왔을 경우, lightdm을 시작하지 않고, 종료하기 때문이죠.

이게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면, lightdm은 DM(Display Manager)의 하나입니다.
DM은 xserver를 구동하고, 사용자로그인을 처리하여, 설정된 혹은 선택한 세션으로 진입하게 합니다.
우분투에서는 gnome-session을 기본적으로 사용합니다.
이런 세션관리자는 자동시작프로그램을 관리합니다.

세션을 초기화할 때, /etc/X11/Xsession.d/* 파일들이 실행되고,
자동시작으로 /etc/xdg/autostart/* 파일이 실행되고,
이후, 사용자 계정의 자동시작으로 $HOME/.config/autostart/* 파일들이 실행됩니다.

블루투스 서비스는 /etc/init/bluetooth.conf에서 설정되며, dbus서비스가 시작되었다는 이벤트 발생시,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dbus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이와는 무관하게, 시스템 시작시 시작되나, dbus가 시작되었다는 이벤트는
세션이 초기화될 때, /etc/X11/Xsession.d/75bus_dbus-launch에 의해 발생됩니다.

이렇게 DM을 통하지 않은 경우(startx 포함), 세션이 시작되지 않는 관계로,
세션의 초기화, 프로그램 자동시작 및 세션의 사용자 로그인키등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위의 경우는 몇가지로 볼 수 있는데, 네트워크 서비스가 시작되었는지, 네트워크매니저가 시작되었는지,
블루투스 서비스가 시작되었는지 살펴보시고,
시작이 안된 서비스는 수동으로 서비스를 시작해 보세요.

[code:2cvtxfy0]
sudo service networking start
sudo service network-manager start
sudo service bluetooth start

man bluez-simple-agent
hcitool --help
hciconfig --help
rfcomm --help
[/code:2cvtxfy0]

이외에도 퍼미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 세션 로그인키등이 없어서, dbus와 polkit과 pam에 의한 권한 상승이 자동으로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블루투스 서비스가 활성화 된 경우, pairing을 위해 agent를 실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url:2cvtxfy0]http://askubuntu.com/questions/360015/automatically-connect-headless-server-running-pulseaudio-and-mpd-to-bluetooth-so[/url:2cvtxfy0]

그런 차이가 있었군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