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 시리즈 1탄 ‘네이버 워드’ 출시
[url:39bwvuq6]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01&newsid=20100901105311313&fid=20100901105321405&lid=20100901105211739[/url:39bwvuq6]
우리나라 인터넷 웹페이지 수준은 아직 멀었군요.
기술 수준이 문제일까요, 아니면 차별하는 철학이 문제일까요.
관공서 만큼은 특정회사 hwp 문서 단독 배포를 금지해야 됩니다.
pdf 등의 문서도 배포해야 합니다.
특정회사의 포맷인 hwp 포맷만을 고집한다면
이것은 국민을 위한 정책인지, 아니면 특정 회사를 위한 정책인지.
지나가는 개도 알겠습니다.
[quote="duck":15yare55]기본저장형식도 '이런 나쁜놈들이…'하면서 봤는데
네이버 자체저장에 이용되는게 ndoc라는 형식이지
PC에 저장할때는 '내보내기’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형식을 선택할 수 있게되어있네요.
단지 ndoc가 기본이어서 저장할 때 좀 귀찮기는 하네요.
이 귀찮음때문에 ndoc가 국내에만 널리퍼지게되면 좀 곤란하지만
ndoc형식을 오픈한다면 또 달라지겠지요.
일단 괜찮은 서비스이니 이렇게 화제가 되는거라 생각합니다.
그만큼 불만 표출보단 성실한 리포팅(?)으로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갔으면 하네요.[/quote:15yare55]
[quote="duck":psfn70fh][quote="ctrl144":psfn70fh][quote="duck":psfn70fh]기본저장형식도 '이런 나쁜놈들이…'하면서 봤는데
네이버 자체저장에 이용되는게 ndoc라는 형식이지
PC에 저장할때는 '내보내기’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형식을 선택할 수 있게되어있네요.
단지 ndoc가 기본이어서 저장할 때 좀 귀찮기는 하네요.
이 귀찮음때문에 ndoc가 국내에만 널리퍼지게되면 좀 곤란하지만
ndoc형식을 오픈한다면 또 달라지겠지요.
일단 괜찮은 서비스이니 이렇게 화제가 되는거라 생각합니다.
그만큼 불만 표출보단 성실한 리포팅(?)으로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갔으면 하네요.[/quote:psfn70fh]
쩝… 멀쩡한 Opendocument 형신 놔두고 ndoc은 왜 만든걸까요…
글고 왠지 ndoc를 html로 바꿔도 열릴 것 같은 느낌…도…[/quote:psfn70fh]
멀쩡한 Opendocument 형식이라는게 odt를 말하시는것 같아서 odt라 생각하고 쓰겠습니다.
네이버측에서 꼭 odt를 써야할 이유는 없습니다.
단지 네이버측에서는 최소한 ndoc가 회사에 이득이라는 생각을 했기에 만들었겠지요.
ndoc가 많이 퍼져서 네이버가 홍보되면 좋겠지만
단순히 홍보목적만은 아닌것같네요.
ndoc가 어떤형식으로 만들어졌는지 왜 만들었는지 아직 아무것도 모르는 입장에서 ndoc자체를 비난하기는 이른것 같습니다.[/quote:psfn70fh]
아… 제 말은 그래도 odt는 표준인데다가, 또 지원하는 데 라이센스상 문제가 없지 싶은데 구지 ndoc를 쓴 것은 확실히 이득때문이라고 느껴졌기 때문입니다.(제 느낌상 ㅋ)
[quote="duck":gkoee7ds]괜찮은 서비스라는 생각은 가지고
사용은 안해봤었는데 이 글타래에서 딴지를 좀 걸길래
네이버가 이번에도 뻘짓했나싶어 잠시 사용해봤는데
그럭저럭 쓸만하네요.
크롬에서 안된다고하길래 아예 안되는줄 알았는데
크롬에서는 '읽기’는 되는데 '편집’이 안되는거였네요.
이정도는 뭐 이해하고 넘어갈 수준이라 생각하는데
다른분들은 저와는 생각이 많이 다른가보네요.
기본저장형식도 '이런 나쁜놈들이…'하면서 봤는데
네이버 자체저장에 이용되는게 ndoc라는 형식이지
PC에 저장할때는 '내보내기’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형식을 선택할 수 있게되어있네요.
단지 ndoc가 기본이어서 저장할 때 좀 귀찮기는 하네요.
이 귀찮음때문에 ndoc가 국내에만 널리퍼지게되면 좀 곤란하지만
ndoc형식을 오픈한다면 또 달라지겠지요.
일단 괜찮은 서비스이니 이렇게 화제가 되는거라 생각합니다.
그만큼 불만 표출보단 성실한 리포팅(?)으로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갔으면 하네요.[/quote:gkoee7ds]
음 저는 실망을 많이 했던게요,
전 thinkfree online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는데 이게 브라우저 가리기는 안하지만 한글이 깔려 있지 않으면 hwp 파일 편집이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사실 이 서비스에 대한 글을 봤을 때 ‘아 이제는 한글 프로그램이 없어도 편집이 되는구나’ 싶었는데
막상 열어보니 편집 부분은 브라우저 가리기를 해서-- 실망했지요--;
쓰지도 않는 불여우를 이 서비스 하나 쓰려고 설치하기도 싫었고요.
구글 오피스(문서 도구)를 보면 내부적으로만 자체적인 포맷을 사용하는데 확장자가 없습니다.
다운로드(또는 내보내기)할 때는 html, MS 오피스 포맷, 오픈 문서 포맷(odf), pdf, 일반 txt, rtf 포맷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
구글 자체 포맷은 정말로 내부적으로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확장자도 없고 다운로드 할 수 없고, 내보내기 할 수 없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공개된 포맷만을 사용하고 비공개 포맷 자체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에 반하여 ndoc 은…??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봅니다.
[code:21mp61qm]ndoc가 어떤형식으로 만들어졌는지 왜 만들었는지 아직 아무것도 모르는 입장[/code:21mp61qm] 이기 때문입니다.
ndoc 이 국내에 퍼지게 되었을 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불편해질까요.
ndoc 이라는 폐쇄 포맷이 기존의 오픈된 포맷(doc, odf, pdf 등)보다 훨씬 좋다면 모를까.
[quote="duck":gfzomisz][quote="ctrl144":gfzomisz][quote="duck":gfzomisz]기본저장형식도 '이런 나쁜놈들이…'하면서 봤는데
네이버 자체저장에 이용되는게 ndoc라는 형식이지
PC에 저장할때는 '내보내기’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형식을 선택할 수 있게되어있네요.
단지 ndoc가 기본이어서 저장할 때 좀 귀찮기는 하네요.
이 귀찮음때문에 ndoc가 국내에만 널리퍼지게되면 좀 곤란하지만
ndoc형식을 오픈한다면 또 달라지겠지요.
일단 괜찮은 서비스이니 이렇게 화제가 되는거라 생각합니다.
그만큼 불만 표출보단 성실한 리포팅(?)으로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갔으면 하네요.[/quote:gfzomisz]
쩝… 멀쩡한 Opendocument 형신 놔두고 ndoc은 왜 만든걸까요…
글고 왠지 ndoc를 html로 바꿔도 열릴 것 같은 느낌…도…[/quote:gfzomisz]
멀쩡한 Opendocument 형식이라는게 odt를 말하시는것 같아서 odt라 생각하고 쓰겠습니다.
네이버측에서 꼭 odt를 써야할 이유는 없습니다.
단지 네이버측에서는 최소한 ndoc가 회사에 이득이라는 생각을 했기에 만들었겠지요.
ndoc가 많이 퍼져서 네이버가 홍보되면 좋겠지만
단순히 홍보목적만은 아닌것같네요.
ndoc가 어떤형식으로 만들어졌는지 왜 만들었는지 아직 아무것도 모르는 입장에서 ndoc자체를 비난하기는 이른것 같습니다.[/quote:gfzomisz]
으음… 지금 보면 ndoc포맷으로만 저장이 가능하고 그걸 ndrive에서 다운 받을때는 다른포맷으로 자동으로 변환되는게 아니고 ndoc 그 대로 받아지는군요.
이런 상태에서는 사람들이 점차 사용할수록 ndoc 파일포맷이 퍼질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결국은 난 네이버 워드 사용하지 않는데, 상대방이 ndoc으로 보내오는 수도 있겠지요. 그러면 결국은 hwp하고 다를바가 뭐가 있는걸까요. 네이버 워드가 무료라고 그걸 인정하고 네이버 워드에 종속되는걸 받아들여야 할까요 -_-?
뭐 다른 포맷으로도 저장이 가능하다고들 하시는데… 그렇게 하려면 평범한 사람들인 잘 못찾게 되있습니다. 화살표 클릭해서 마우스로 하위메뉴 찾아가서 클릭해야 되게끔 되있으니…
네이버가 ndoc가 회사에 이득이 된다고 채택했다고 우리가 그걸 비난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되지는 못합니다.
제 생각에도 새로운 독자 포맷에 대해서는 부정적입니다.
무슨 이유로 독자 포맷을 만들게 되었는지 밝힌다면 이해를 하려고 노력해볼 수도 있겠지만…
그냥 이유없이 그런거라면…
표준 포맷 채용하더라도 편집의 편리함, 유용한 서비스 방식만으로도 충분히 이익 창출을 노려볼 수 있을터인데.
향후 독점력을 높여서 중독자를 괴롭히고 돈벌이에 써먹겠다는 것으로 밖에 보이거든요.
물론 기업이 돈벌이를 위해서 활동하는 것은 죄가 아니죠.
주주들의 돈을 불려줘야 하는게 주식회사니까요.
하지만 꼭 평생 무료로 제공할듯이… 여러분을 위해서랍니다~ 라고 생색까지 내가면서…
무료 시식으로 마약을 나눠주는 것에는 반대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소득층까지 도우려는 구글은
비록 속고 있을지 몰라도 제 눈에는 좋은 사회적 기업으로 보이네요.
첨에 지멜 베타 쓸 때도, 하도 우리 기업들에게 시달리던 시기라서
"이것도 정식가면 용량에 따라 돈 받는거 아닌가" 의심했는데
계속 무료로 유지해주고 있어서 ㄱ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