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완전 초보이다보니 질문이 많습니다.
검색을 해보니 HWP파일 리눅스용 뷰어가 나온것도 같고, 아직 안 나온것도 같고
안나왔다면 혹시 어떻게들 쓰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우분투 완전 초보이다보니 질문이 많습니다.
검색을 해보니 HWP파일 리눅스용 뷰어가 나온것도 같고, 아직 안 나온것도 같고
안나왔다면 혹시 어떻게들 쓰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용자 마다 다를 텐데
저 같은 경우에는 관공서 문서를 보거나 간단한 편집하는 정도 이외에는 아래아 한글을 쓰지 않습니다.
익히고 싶은 생각도 없고, 앞으로도 가능하면 사용하고 싶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네이버에서 ‘나에게’ 메일을 보내서 '웹에서 미리보기’로 내용을 확인했는데…귀찮더군요.
그래서 wine 으로 한글 2007 설치해서 HWP파일 보고 간단한 편집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wine 으로 설치해서 사용하면 그 이상 용도로 쓰기에는 불편합니다.
리눅스용 한글 2008은 우분투 9.10 부터는 잘 안된다는 소문이 있더군요.
저의 경우는… 작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냥 뷰어로만 활용하기 위해서라면
네이버의 N드라이브에 업로드하고 웹상에서 보고 있습니다.
어차피 임시로 보관하는 파일들을 N드라이브상에 보관하고 있으니 이렇게 사용하고 있지요;;ㅎ
작성은 어쩔 수 없이… VirtualBox + 한글2007을 이용하고 있습니다만… 왠만하면 학교에 가서 하고 있지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사실 HWP파일을 봐야 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은데,
꼭 이용하고 싶다면 , wine, virturebox 혹은 네이버를 이용해야 하는군요.
인터넷 상에 떠도는 리눅스용 HWP뷰어는 없는것으로 생각해야겠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며칠 전에 처음 우분투를 직장의 데스크톱에 깔았습니다. 저는 업무상 hwp를 매우 자주 사용하는데, 우분투에서 hwp를 볼 수 없다면 큰일입니다. 웹검색해 보니 한소프트의 자회사로 Thinkfree Office Live라는 게 있는데, 아마 여기에서 hwp viewer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www.thinkfree.com/ (http://nosyu.pe.kr/1938 http://ypshin.com/2690673 http://thinknow.tistory.com/275 참고)하지만 몇 개를 테스트해 보니 hwp 파일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난감하네요. 한컴에서 만든 linux 2008이 5만원쯤 하는데, 하나 지르는 게 나을 것 같기도 합니다…
[quote="zyghim":3bf9vs1b]며칠 전에 처음 우분투를 직장의 데스크톱에 깔았습니다. 저는 업무상 hwp를 매우 자주 사용하는데, 우분투에서 hwp를 볼 수 없다면 큰일입니다. 웹검색해 보니 한소프트의 자회사로 Thinkfree Office Live라는 게 있는데, 아마 여기에서 hwp viewer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www.thinkfree.com/ (http://nosyu.pe.kr/1938 http://ypshin.com/2690673 http://thinknow.tistory.com/275 참고)하지만 몇 개를 테스트해 보니 hwp 파일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난감하네요. 한컴에서 만든 linux 2008이 5만원쯤 하는데, 하나 지르는 게 나을 것 같기도 합니다…[/quote:3bf9vs1b]
리눅용 한글 2008 구매도 좋으나
Wine(와인)으로 MS 용 hwp뷰어나 hwp2007설치 잘 됩니다. 활용해보십시요
뭐라 설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만,
조금 버벅대는 느낌입니다.
우분투 9.10에 설치해서 사용중이거든요.
제가 좀더 써보고 느낌을 한번 올려보도록 할께요.
와인이 설치되어 있다면 그곳에서 열립니다.
아주 잘 열리고 잘 보입니다.
지금은 지웠지만, 잘 썼었습니다.^^
버박에서 봅니다. ㅋ;;
저는 버박에서 보기도 하고, 또 네이버 N드라이브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씽크프리도 이용했지만 실패율이 저용량도 30%는 넘는 거 같더군요.)
그런데 문득 N드라이브를 이용하다 문득 화가 나더군요.
한글 파일 하나 읽으려고 이렇게 힘들다니.
리눅스용 한글 뷰어는 안 나오는 걸까요?
네이버 N드라이브를 이용하면 미리보기가 가능하고
베타 서비스중인 네이버 워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수정도 가능합니다.
(단, hwp 형식으로 저장되지 않고 자체 형식(*.ndoc)으로 저장된다는 맹점이 있습니다)
미리보기 기능만 제공됩니다.
설치
사용법
$ ruby hwp.rb test.hwp
[code:2v5z6qpw]# coding: utf-8
require ‘ole/storage’
require ‘iconv’
ole = Ole::Storage.open ARGV[0]
prv = ole.file.read(‘PrvText’)
puts Iconv.iconv(‘UTF-8’, ‘utf-16’, prv)[/code:2v5z6qpw]
HWP 스펙 함께 분석해서 함께 HWP 뷰어, hwp2pdf 만듭시다.
구글에 메일링리스트 만들었습니다.
참여하고픈 사람은 아래 구글 그룹스를 방문해주세요.
터미널에서 한글 문서의 일부가 보이기는 하네요.
좋은 성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hwp 파일 내의 전체 본문 텍스트가 출력됩니다.
이거라도 있으면 인터넷으로 다운받은 hwp 파일 확인하는데에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wp 스펙 문서를 참고하여 만들었지만 그 문서내에 있는 tag 이름이라던가…
그런 거는 모두 소스에서 제거했습니다.
para text 라던가…이런 명칭들은 워드퍼팩트 스펙 문서에도 나오는 내용
bodytext, section 은 ole.dir.entries 하면 나오는 명칭
따라서 hwp 스펙 문서에 있는 문자열이 이 소스에는 없다고 보셔도 무방.
[code:369e0hz0]
require ‘iconv’
require ‘ole/storage’
require ‘zlib’
require ‘stringio’
class Header
attr_accessor :id, :size
def initialize lsb_first=nil
if lsb_first
@id = lsb_first[0..9].reverse.to_i(2) # 9~0
@size = lsb_first[20..31].reverse.to_i(2) # 31~20
end
end
end
class ParaTextData
def initialize data
for c in 1..31
# FIXME 상당한 속도 저하
data.gsub!(eval("/\x#{c.to_s(16)}\x00.+?\x#{c.to_s(16)}\x00/"), ‘’)
#data.gsub!(/\v\x00.+?\v\x00/, ‘’)
end
puts @utf8_text = Iconv.iconv("utf-8", "utf-16", data)[0].chomp
end
end
if ARGV.length == 0
puts "Usage: $ ruby hwp.rb filename.hwp"
exit
end
ole = Ole::Storage.open(ARGV[0], ‘r’)
file_header = ole.file.read(‘FileHeader’)
property = file_header[36..39].unpack("b*")[0]
if property[0] == "1"
gzipped = true
else
gzipped = false
end
DWORD = 4
def read_record file
bytes = file.read(DWORD) # 레코드 헤더를 읽는다
if bytes != nil
lsb_first = bytes.unpack("b*")[0] # 이진수, LSB first, bit 0 가 맨 앞에 온다.
header = Header.new(lsb_first)
data = file.read(header.size)
para_text_data = ParaTextData.new(data) if header.id == 67
return true # 루프문을 위해 임시로 넣었다
else
nil
end
end
ole.dir.entries(‘BodyText’).each do |f|
if f.start_with? "Section"
section = ole.file.read("BodyText/#{f}")
if gzipped
z = Zlib::Inflate.new(-15)
buf = StringIO.new(z.inflate section)
z.finish
z.close
else
buf = StringIO.new(section)
end
while(read_record buf); end
end
end
ole.close
[/code:369e0hz0]
저는 오픈오피스로 옮겼습니다. 그래도 메일로 아래한글 문서가 와서 어쩔 수 없더군요…
최근에 와인에 한글2007 뷰어 설치했습니다. 잘 실행되고 잘열리더군요… 한글뷰어가 되니 와인으로 계속 도전해보게 되더군요… 떠돌이님의 블로그에서 jwbrowser 다운하여 사용해보니 익스플로러도 왠만큼 돌아가더군요…
하지만 역시 와인은 와인일 뿐이라는 생각에 다시 버박을 깔았습니다.
한글뷰어로는 간단히 메일 열어볼 때 쓰고, 인터넷에서 카드 사용은 버박으로 할 수 밖에 없네요…
ruby 소스를 https://github.com/cogniti/libhwp 에 넣어놓았습니다.
README, TODO 문서 꼭 읽어보세요.
버그 및 개선 사항 보고
https://github.com/cogniti/libhwp/issues위키
https://github.com/cogniti/libhwp/wiki메일링 리스트
http://groups.google.com/group/libhwp?hl=komete0r 님의 python hwp 뷰어
https://github.com/mete0r/pyhwp개인적으로 hwp 개발하시는 분 또는 개발에 관심있는 분은
위의 메일링리스트 가입하여 개발 역량을 합치고 개발 자료를 공유합시다.
[quote="cogniti":1pwe4hd6]개인적으로 hwp 개발하시는 분 또는 개발에 관심있는 분은
위의 메일링리스트 가입하여 개발 역량을 합치고 개발 자료를 공유합시다.[/quote:1pwe4hd6]
와… 대단하십니다~
hwp2odt 같은게 나오면 대박이겠는데요~
실험 소스 위치 변경했습니다.
https://github.com/cogniti/ruby-hwp https://github.com/cogniti/ruby-hwp/issues https://github.com/cogniti/ruby-hwp/wiki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