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fconfig eth0 down "에 대한 질문입니다

저는 E125를 사용합니다. 무선랜이 안되던중 우연히 윈도우에서 무선랜을 on한 상태에서 다시 리눅스로 부팅중 접속이 가능하다는 걸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핫키가 별도로 기기를 on/off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오스에게 요청하는 것인가 봅니다. 이걸 모르고 드라이버를 잡혔는데 왜 안되나 고민하다가 유선랜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걸 잘 모르고 제가 애매하게 질문하고 말았습니다. (이런 무지함…) 그래서 찾아봤는데 우분투 12.04에서 무선랜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우분투 12.04에서는 제가 사용하는 기종의 핫키나 별도의 on/off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건 제조사의 몫이지만…)

그러나 리눅스이므로 ifconfig를 이용해 랜을 사용 및 사용정지 할 수 있기에 필요없다는 생각도 듭니다. 질문은 " ifconfig eth0 down "을 하면 랜카드가 off가 되는 것이 아니죠? 랜카드의 전원과는 상관없이 단지 사용정지만 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맞는지요?

두번째 질문은 우분투에서 랜카드 및 네임서버 설정하는 것이 좀 다릅니다. " /etc/sysconfig/~~ "같은 것이 없네요. 검색을 통해 일단 급한 문제는 해결했는데 랜카드와 네임서버 설정을 가르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랜카드 설정파일 위치와 기입할 내용 그리고 네임서버는 네임서버 설정파일 위치와 기입할 내용정도만 가르쳐주시면 좋겠습니다.

덧붙여 무선랜으로 접속한 뒤 네임서버주소를 보니 KT로 된 걸 보고 감짝 놀랐습니다. 원래는 제가 설치한 bind9를 통해서 접속하도록 설정했는데… 학습을 레드헷으로 해놔서 " /etc/sysconfig/~~ "가 없으니 영 감을 못 잡겠습니다.

무선랜카드의 전원버튼은 드라이버와 관련이 있습니다.
드라이버에서 해당 버튼을 인식하게 해줘야 합니다.

그렇지만, 만일 하드웨어 적으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라면,
rfkill 명령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커널로 하여금 그 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무선랜 설정은
우분투는 네트워크관리 프로그램을 NetworkManager를 사용하기에,
우측상단 안테나 모양을 눌러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의 이름은 nm-applet입니다.
각 연결 설정은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로 저장됩니다.

시스템 전역 네트워크 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하시려면 ifconfig와 iwconfig를 참조하세요.
iw와 iwconfig는 무선랜을 설정하는 명령입니다.

startx등을 사용하여 세션에서 NetworkManager이 시작되지 않을 경우
sudo service NetworkManager start 명령을 사용하실 수 있고,
콘솔명령으로 사용하시려면 nmcli 명령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외, wicd를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사용 시작/중단은
sudo service networking stop 혹은, start 명령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고수분들이 많고 리눅스는 정말 잘 만들었습니다. 비록 한국에선 0.5%밖에 사용하지 않지만 OS가 재미있는 건 저에게는 리눅스입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전원 on/off 할 수 있는 걸 저는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제 시스템에서 되는 지 안되는지 궁금하네요.

정말 제가 원하는 이상의 답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