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g100um(ralink rt2870)usb 무선랜 이놈때문에 죽겠네요

우리 동서가 팬3 램1기가 놋북을 버리려고 하길레 낼롬 받아다가, 우분투를 샥 깔아버렸습니다.

그런데 이놈이 구식이라 무선랜이 없는 놋북… 하도 안써서 베터리는 그런데로 살아는 있는데,

인터넷에서 잴로 싼놈으로다가 iptime g100um 이라는 놈을 덜컥 사버렸죠.

광고문구 "Windows,Mac, Linux 완벽지원!!!" 이 한마디에…

만원짜리입니다. ㅡㅡ;;;

일딴 윈도우에서는 잘 동작합니다.

우분투에 꼽으니, 드라이버도 로드되고, LED도 껌뻑거립니다. 그런데, 주변 AP 하나도 못잡네요.

우선 구글링, 포럼링을 통해, 아하~! /etc/modprobe.d/balcklist.conf 에다가 rt2800usb, rt2x00usb를 추가해주면 된다는군요!!

해놓고 리붓~~ ㅡㅡ;; 드라이버하나 로드안되고, 아예 인식자체가 안됩니다. 그전엔 rt2800usb, rt2x00usb가 로드됬었죠.

다시 구글링, 포럼링… ralink사에가서 rt2870sta 드라이버를 다운받고, 컴파일하고, 설치하고, 안됩니다.

어느분이 자신의 블로그에 g100um은 rt3070sta라고 하셔서 그것도 받아서 컴파일, 설치… 역시 드라이버로드도 안되고요.

우선 이놈의 칩셋이 뭔지부터 명확히 하자 하고 다시 윈도우 부팅 드라이버를 보니 rt2870sta가 맞더군요.

똑같은 제품 다른분들은 blacklist 수정 하나로 잘쓰신다는데…

아주 드러운놈 걸린거 같다는 예감에… 글로벌 우분투 포럼을 뒤지기 시작했는데,

거기서 희망을 발견했습니다. 드라이버가 로드되지 않은 이유가 있더군요. 이놈들이 usb device id가 다른 제품들도 내놓는다고…

그래서 거기서 시키는데로, 드라이버 소스파일에 제 usb device id를 추가 해주고 다시 컴파일하고 설치를 했습니다.

짜잔~~ 리붓하고 나니 드라이버를 옳게, 이쁘게 로드해놨고, LED도 깜빡거립니다.

허나!!! 처음처럼… rt2800usb 드라이버를 로드했을때 처럼, 동작은 하는데, 주변 ap를 하나도 못찾습니다.

원래는 해놓고 자자였는데, 이건 내 공력을 넘는 문제인듯 싶어 오늘 포럼에 이글 쓰기로 하고 늦은 잠을 잤습니다.

광명을 주소서~~~~~~

같은 모델을 사용중이라 저도 관심 집중입니다.

[quote="세모시":407as5hu]같은 모델을 사용중이라 저도 관심 집중입니다.[/quote:407as5hu]
성공하면, 팁게시판에 꼭 올려놓을게요~~ 이번주 안으로 어떻게 해서든지간에 무조건적으로다가 함 띄워봐야죠~ ^^v

linux-backports-modules-karmic 패키지를 설치해보세요.

[quote="gweere":abbk9yj1]linux-backports-modules-karmic 패키지를 설치해보세요.[/quote:abbk9yj1]

설치해봤지만, 별 변화가 없네요… 감사합니다.

가지고 계신 g100um 장치가 rt2870 칩을 사용하는지 rt3070을 사용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다음 순서대로 실행해주세요.

  1. g100um을 PC에 연결합니다.
  2. 설치하신 우분투로 부팅합니다.
  3. 쉘에서 lsusb 명령을 실행합니다.
  4. 출력 메시지 가운데 g100um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아마도 ralink 칩셋을 사용할 것이므로, ralink와 관련된 메시지가 있다면 그것을 남겨주세요.

그리고 설치하신 우분투 버전도 함께 남겨주세요.

[quote="dodamn":3pb4t9ag]가지고 계신 g100um 장치가 rt2870 칩을 사용하는지 rt3070을 사용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다음 순서대로 실행해주세요.

  1. g100um을 PC에 연결합니다.
  2. 설치하신 우분투로 부팅합니다.
  3. 쉘에서 lsusb 명령을 실행합니다.
  4. 출력 메시지 가운데 g100um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아마도 ralink 칩셋을 사용할 것이므로, ralink와 관련된 메시지가 있다면 그것을 남겨주세요.

그리고 설치하신 우분투 버전도 함께 남겨주세요.[/quote:3pb4t9ag]

우선, lsusb를 하면 [ Bus 002 Device 003: ID 148f:2070 Ralink Technology, Corp. ] 라고만 나오고 칩셋은 나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윈도우 피씨에서 확인을 해보니, 윈도우에서는 rt2870 이라고 나옵니다.

추가로 더 말씀드리면, ralink 사이트에서 드라이버 소스 받아다가, 컴파일 설치 해보고, 소스파일에 USB DEVICE ID 가 제가 갖고있는

제품 ID가 없어 그것도 추가해서 컴파일해서 설치도 해봤습니다. (두번째 경우만, 드라이버가 로드되더군요)

우분투 버전은 9.10입니다.

감사합니다~

lsusb 결과를 보면, 148f:2070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148f는 vendor id로 ralink를 뜻합니다. 2070은 product id입니다. product id를 가지고 어떤 칩을 사용하고 있고, 어떤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ralink 웹사이트를 확인해본 바, 윈도우즈의 경우는 rt2070, rt2870, rt3070은 동일한 드라이버 패키지를 내려받도록 되어 있네요. 하지만 리눅스 경우는 rt2070에 관해서 어떤 드라이버를 내려받아야 하는지 명시해 놓지 않았네요. iptime 윕사이트를 확인해봐도 g100um의 리눅스 드라이버는 찾을 수 없습니다.

정확히 하시려면 iptime, ralink에 연락 하셔서 어떤 드라이버 패키지를 내려받아야 되는지 알아보세요.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285828

이곳에 동일한 usb device와 우분투 버전을 사용하고 계신 분의 포스팅이 올라와 있습니다. 참고해보세요.

제가 대충 읽어 본 봐, 다음과 같이 해보면 어떨까요? 아래 글은 위 포스팅과 차이가 있습니다.

ralink 웹사이트에서 rt3070 드라이버를 내려받아서 사용한다. 단, 2070에 대한 device id가 코드에 누락되어 있으니 추가한다.
빌드한다. 빌드할 때엔 make 명령까지만 실행합니다. make install은 실행하지 않습니다.
위 포스팅에는 karmic이 사용하는 커널에서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ralink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 rt3070 드라이버의 최신 버전은 2.1.2.0 입니다. 이 버전의 release note를 읽어 보면, 커널 2.6.31에서의 빌드 오류를 해결했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위 포스팅에서 언급된 빌드 오류를 해결하는 섹션은 건너뛰어도 될 듯 합니다.
빌드가 성공적으로 되었다면, rt3070sta.ko 파일이 어딘가에 생성되어 있을 겁니다. 아마도 드라이버 소스 코드가 풀려진 경로에서 os/linux 디렉토리에 존재할 겁니다. 이 파일이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karmic은 rt3070 드라이버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파일을 지우지 않았다면, 쉘에서 modinfo rt3070 명령을 통해서 rt3070sta.ko 파일의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해당 위치로 가서 rt3070sta.ko 파일을 rt3070sta.ko.bak 로 이름을 변경하세요.
빌드한 rt3070sta.ko 파일을 기존 rt3070sta.ko 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복사하세요.
쉘에서 depmod -a uname -r 명령을 실행하세요.
rt2800, rt2870, rt2x00과 관련된 모듈을 블랙리스팅 하세요.
rt3070 드라이버 소스 코드가 풀려진 곳을 보면 RT2870STA.dat 파일이 있을 겁니다. 이 파일을 /etc/Wireless/RT2870STA 디렉토리 밑에 위치시키세요. 만약 이 디렉토리가 만들어져 있지 않다면, 만드세요. 따라서 RT2870STA.dat 파일의 절대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etc/Wireless/RT2870STA/RT2870STA.dat
우분투를 재부팅하세요.
부팅된 후에 g100um 장치를 PC에 연결하세요. 이미 연결되어 있다면 연결하지 않아도 됩니다.
쉘에서 lsmod 명령을 통해서 rt3070sta 모듈이 올바로 로드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올바로 로드되어 있다면, AP를 올바로 scan하는지 확인하세요. 만약 scan할 수 없다면 쉘에서 dmesg 명령을 실행했을 때 출력되는 메세지와 /var/log/syslog 파일을 함께 압축해서 댓글에 남겨주세요.

dodamn님 정말 감사합니다.

경과를 보고 드립니다~ ^^v

알려주신 방법과 링크를 참조해서 여러번의 삽질 끝에 드라이버 로드 했고, 주변 ap 까지 스캔되었습니다.

우선 부팅을 하면, usb 무선랜이 동작하지는 않습니다. 드라이버는 올라가 있고요.

sudo ifconfig ra0 up 을 하면 usb 무선랜의 램프가 깜박거리며 동작을 시작합니다.

iwlist ra0 scan 을 하면 주변의 ap들을 잘 스캔합니다.

여기서 부터가 문제입니다.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도 하고 sudo restart network-manager 도 해도

네트워크 메니저에는 무선랜이 나오지를 않습니다.

콘솔상에 무선랜을 ap 에 접속시키는 방법을 몰라 더이상의 진전이 없습니다.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성공했습니다~ ㅠㅠ

os/linux 에 있는 config.mk 내용을 수정하고 컴파일해서 설치 하니 네트워크 메니저에 바로 뜨는군요.

[quote:3cvme8g6]

Support Wpa_Supplicant

HAS_WPA_SUPPLICANT=n
#endif // WPA_SUPPLICANT_SUPPORT //

#ifdef NATIVE_WPA_SUPPLICANT_SUPPORT

Support Native WpaSupplicant for Network Maganger

HAS_NATIVE_WPA_SUPPLICANT_SUPPORT=n
#endif // NATIVE_WPA_SUPPLICANT_SUPPORT //
[/quote:3cvme8g6]
이부분 두개를 y로 바꿔주고 컴파일해서 설치하니 바로 인식합니다.
그리고 ap에 연결도 되고 인터넷도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한가지 문제라면, 제가 갖고 있는 무선 ap가 hidden ssid 에 wep 를 사용하는데, 여기에 연결을 못한다는 겁니다.
일단 오늘은 자고 내일 또 삽질해야겠습니다.

축하드립니다.

config.mk 를 적당히 수정하는 것은 위에서 알려드린 링크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ralink에서 제공하는 소스 코드의 README에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차후에 다른 문제가 발생하면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hidden ssid에 접속하는 작업에 관해선 제가 아는 바가 없어 도움을 드릴 수 없습니다. 다른 분이 도움 주시길 기대합니다.

우분투를 쓰다가, 코분투 10.04를 쓰게 되었습니다.
사무실이 바뀌어 혼자 리눅스 쓰는 상황에, 진땀깨나 흘렸습니다
(무선랜인지 상상이나 했나요 -_-;:wink:

전체적인 내용은 [url=http://blog.naver.com/websori/80106993090:3asa76d1]이 분의 글[/url:3asa76d1]을 따라했습니다만,
모듈은 올라간 상황에서 AP스캔이 되질 않아, 고심하던 중… 우연찮게 /var/log/syslog 를 보다가…
dat 파일의 경로가 다르다는걸 알고, 수정해보니 스캔이 되는군요. 아 내 주말…ㅜ_ㅜ

일단, 현재 ralink에서 제공하는 rt3070버전(2010-06-04일자)에서는
[list:3asa76d1] [:3asa76d1]config.mk 파일 수정
[/
:m:3asa76d1][:3asa76d1]MODULE_LICENSE("GPL") 추가
[/
:m:3asa76d1][:3asa76d1]{USB_DEVICE(0x148F,0x2070)} 추가[/:m:3asa76d1][/list:u:3asa76d1]
기본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냥 make 하면 됩니다

그리고, 아르뜨르 님께서 /etc/Wireless/RT3070STA/RT3070.dat 위치에 집어넣으면 잘될거라고 쓰셨는데, 제쪽에선 /etc/Wireless/RT2870STA/RT2870.dat 위치에 계속 접근하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그 쪽으로 이름을 바꾸고, 리붓을 하니 AP스캔을 하더군요 휴…

혹시나 저처럼 10.04에서 어려움 겪으실 분이 계실까봐 글 남겨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