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트북이 있습니다. 레노보 아이비엠 R51 입니다.
우분투8.10 이미지를 다운받아 씨디에 구워 노트북의 데몬으로 불러다 설치를 시작했습니다.
일단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기로 들어갔습니다.
잘 나가다가, 약 절반정도 진행되었다 싶을 때 설치가 멈추는가 싶더니 갑자기 인터넷을 통해 700메가에 육박하는 설치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받기 시작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
윈도우 거치지 않고 파티션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 보려는데,
너무 당연해서 그런지 의외로 그 방법 찾기가 쉽지가 않네요.
전 리눅스 자체를 잘 모르는 사람이구요, 그런데 컴퓨터 사용자로서 어떤 자각이 있은 후 반드시 리눅스를 배워야겠다 싶어 입문하려는 사람입니다.
어디로 가야 왕초짜가 우분투8.10을 파티션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 지금 완전히 우분투10깔기 실시간 중계같습니다만…
Live CD? 방식으로 설치하니 가슴설레는 우분투 캐릭터 아래로 횡방향으로 윙윙 거리며 왔다갔다하는 오랜지색 막대기…
그러다가 갑자기 BusyBox v1.10.2, Ubuntu 1:1.10.2-lubuntu6) built-in shell (ash)가 뜨네요.
이것은 또 당췌…ㅜㅜ.
다들 우분투는 설치와 사용이 쉽고 간편하다고 자랑이 만만찮던데 어째서 전 이렇게 어렵죠?
[quote:3jp8hws6]1.
노트북이 있습니다. 레노보 아이비엠 R51 입니다.
우분투8.10 이미지를 다운받아 씨디에 구워 노트북의 데몬으로 불러다 설치를 시작했습니다.
일단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하기로 들어갔습니다.
잘 나가다가, 약 절반정도 진행되었다 싶을 때 설치가 멈추는가 싶더니 갑자기 인터넷을 통해 700메가에 육박하는 설치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받기 시작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일까요?[/quote:3jp8hws6]
윈도우즈 상에서 씨디로 설치하기로 들어가면…
우비로 설치가 되어버립니다
윈도우즈 씨디 넣고 설치하는 것처럼
컴터 첨에 부팅할때 이미 시디를 넣으셔야 하고요
부팅과 함께 씨디를 읽도록 하세요~.
아마 인터넷 이곳저곳에 리눅스 까는 방법은 나와있을거예요.
http://cafe.daum.net/comsanasa/6q0y/54
http://cafe.daum.net/easynetwork/3Ahd/2
참고하시고요.
시디를 처음 넣으시고 부팅하시면… 언어에서 한국어로 하시고요
그 다음에 씨디로 우분투를 사용하기가 있을거예요. (5개 선택 중 가장 위쪽에 있습니다)
그리로 들어가시면 좀 이따가 씨디로 부팅된 우분투가 나올거예요.
그 다음에 설치라는 이름의 디스크가 나오면 그걸 클릭하시면 설치가 됩니다
(윈도 설치하는 것보다 쉬워요 ^^) 단 주의할 점은 파티션 나누는 건데요
저도 우분투 초보인데 그간 wubi로 우분투를 쓰다가 요번에 씨디로 우분투를 깔았거든요.
앞서 제가 질문한 글을 보심 파티션에 대한 부분은 많이 나와있을겁니다.
우분투 파티션을 미리 만들어 놓으셨다면 걱정없겠지만
안만드셨더라도 그리 걱정할 건 없습니다.
파티션이 C드라이브 하나만 있다면 아까 말했던 파티션 설정 부분에서… 수동 말고… 자동으로 파티션 설정으로
윈도와 우분투의 공간을 설정할 수 있거든요.
[quote:3jp8hws6]2.
윈도우 거치지 않고 파티션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 보려는데,
너무 당연해서 그런지 의외로 그 방법 찾기가 쉽지가 않네요.
전 리눅스 자체를 잘 모르는 사람이구요, 그런데 컴퓨터 사용자로서 어떤 자각이 있은 후 반드시 리눅스를 배워야겠다 싶어 입문하려는 사람입니다.
어디로 가야 왕초짜가 우분투8.10을 파티션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quote:3jp8hws6]
일단은 wubi로 가상의 공간에 우분투를 설치하시고 사용하신후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직접 설치하시는 걸 권합니다.
우분투의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지면 직접 설치하더라도 어려움은 반감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