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이렇게 사용할 사람이 국내에 얼마나 될까… 싶습니다. 국내에선 거의 자료를 못 찾았거든요.
그래도 첨으로 팁하나 올려봅니다. (__)
원문링크 : [url:12semjxx]http://readytoact.gnukorea.com/base/36[/url:12semjxx]
원문에는 설명을 돕는 스샷도 같이 올라와 있습니다-
몇개월 만일까? 드디어 성공했다.
리눅스에서 Windows Mobile6 장치 Sync하기
OS : Ubuntu 8.10
WM Device : Samsung SPH-M4650 (WM6)
PIMs : Evolution 2.24.3
1.준비
작 업을 하기전에 기존 PDA의 데이터를 SPB백업이나 기타 백업도구로 백업 받아 놓을 것을 권장한다. 에볼루션을 이용한 동기화 시, 에볼루션에 아무런 데이터도 없는 상태라면… 당신의 PDA는 깨끗해 질 것이다. 그 책임은 나에게 묻지 마라
-
PDA설정
장치(PDA)의 시작-설정-연결- USB-PC연결 에서 ‘고급 네트워크 기능 사용’ 을 체크한다. -
패키지 다운로드
다음의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 synce-sync-engine
- synce-hal
- multisync-tools
- multisync0.90
- opensync-plugin-evolution
- opensync-plugin-synce
$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
- synce-sync-engine 실행
$ synce-sync-engine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장치 연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치를 연결하면 synce-sync-engine 실행창에서 연결정보가 표시되며 화면이 스크룰된다
- 파트너쉽 생성
$ synce-create-partnership "파트너쉽이름" "동기화항목"
동기화 항목은 아래와 같이 구분되며, 입력시 " " 로 묶고 안의 내용은 공백없이 콤마(,)로 구분한다- Contacts
- Calendar
- Tasks
- Files
$ synce-create-partnership "readytoact" "Contacts,Tasks,Calendar"
Creating partnership…
Partnership created
파트너쉽이 생성되면 아래의 명령으로 파트너쉽을 확인할 수 있다
$ synce-list-partnerships
AVAILABLE DEVICE PARTNERSHIPS
Index Name Device Host SyncItems
0 readytoact BTJ-M4650 readytoact-laptop [Contacts Tasks Calendar ]
주의 : "error: org.synce.SyncEngine.Error.Disconnected" 메세지가 나온다면 장치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 multisync 플러그인 설정
동기화에 사용될 플러그인의 설치 여부 확인
$ msynctool --listplugin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약 플러그인이 보이지 않는다면 apt-get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된다. 패키지 명은 아래와 같다.
- opensync-plugin-evolution
- opensync-plugin-synce
- Sync 그룹 생성
$ msynctool --addgroup synce-sync
$ msynctool --addmember synce-sync synce-opensync-plugin
$ msynctool --addmember synce-sync evo2-sync
multysnc에서 사용될 동기화 그룹 및 멤버(플러그인)을 구성해 준다
- multisync0.90 실행
$ multisync0.90 &
사용자 삽입 이미지
multisync실행화면
- PDA와 동기화 실행
$ msynctool --sync synce-sync
또는
multisync0.90의 ‘새로고침’ 을
실행을 하면 에볼루션의 PIM과 동기화 작업이 진행된다. 본인은 이렇게 하여 500건의 주소록을 동기화 하였다.
아래 링크된 문서들이 도움이 되긴 하였으나 문서대로 할 경우, 패키지 충돌이 발생한다. 정확하게는 모르겠으나
참조사이트에서 동기화에 사용되는 synce-pls와 synce-sync-engine, synce-hal 은 각각 동기화를 위해 dccm, vdccm,
odccm등을 사용하는데 어플리케이션간의 간섭이 있는 듯하다. 실제로 synce-pls를 설치하면 synce-hal이 삭제되며
synce-hal의 경우도 그와 같다. 그래서 본 과정에서는 synce-pls를 사용하지 않았다. 적어도 본인이 검색해본 바로는
synce-pls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의 동기화 방법은 찾을 수 없었다.
참조 :
http://www.synce.org/moin/SynceInstalla ... dernDevice http://hecaton42.ft.co.kr/tc/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