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갑자기 Low graphic 상태라며 부팅이 안됩니다." 글 이후 상황입니다.ㅠ

안녕하세요?

여러분들 답변과, 구글링으로 얻은 답변으로 어찌어찌 여기까진 왔습니다.(http://askubuntu.com/questions/141606/h … mode-error) 이 이상은 용어도 어렵고(xorg, lightdm 등등…ㅠㅠ)해서 다시 질문글을 올립니다.

일단 3D 유니티로는 진입을 못하고, 2D로는 진입이 가능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런지 아방트 네비게이터는 실행이 안되고, Docky만 작동합니다.

그리고 스샷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스템 정보에는 그래픽카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모습이지만,
터미널에서 그래픽카드 정보를 보는 명령어(맞는지 모르겠네요, lspci -nnk | grep VGA) 쳐보니 제 그래픽카드 정보가 나오네요,
게다가 이미 시스템에 필요한 업데이트는 다 했습니다.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reinstall ubuntu-desktop 둘다 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그래픽카드(인텔 내장 그래픽카드. 인텔 내장인데 안잡히다니!)가 안 잡힙니다. 그런데 재밌는 점은 해상도는 제대로 잡히네요;;

고장나기전에는 아~~무런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메모리 청소를 위해 로그아웃을 하고 나니 갑자기 그래픽카드를 못 잡더라고요. 굳이 짐작가는 원인이 있다면, 해당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루트 권한으로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혹시 해결방법을 아시는 분들 계시나요?ㅠ

xorg-edgers의 그래픽 드라이버를 사용해 보세요.

sudo apt-add-repository ppa:xorg-edgers/ppa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xserver-xorg-video-intel libgl1-mesa-dri libgl1-mesa-glx

[quote="protochaos":15lyt1y0]xorg-edgers의 그래픽 드라이버를 사용해 보세요.

sudo apt-add-repository ppa:xorg-edgers/ppa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xserver-xorg-video-intel libgl1-mesa-dri libgl1-mesa-glx[/quote:15lyt1y0]

protochaos님, xorg 설치는 이미 최신버전이라고 나오네요ㅠ 구글링등에서 발견한 답변을 다 따라해서 그런지 이미 설치되었는 것 같습니다ㅠㅠ

제가 xorg-edgers ppa 쓰셨는지 물었던건 보통 그런 계열의 ppa를 쓰면
업데이트 후에 불안정해질 확률이 높아서 그런거였지요 :D
그걸 한번 꺼보세요

[code:1t83rn1u]sudo apt-get install ppa-purge;
sudo ppa-purge xorg-edgers;[/code:1t83rn1u]

그리고 synaptic에서 xserver-xorg-video를 검색해보면 여러개 나올텐데
xserver-xorg-video-intel을 제외한 다른 나머지는 모두 지워보세요.
예전에 그렇게 했더니 해결되더라고요. 이게 안먹히면 다른 분들께 패스 :oops:

[quote="nike984":3kj0260r]제가 xorg-edgers ppa 쓰셨는지 물었던건 보통 그런 계열의 ppa를 쓰면
업데이트 후에 불안정해질 확률이 높아서 그런거였지요 :D
그걸 한번 꺼보세요

[code:3kj0260r]sudo apt-get install ppa-purge;
sudo ppa-purge xorg-edgers;[/code:3kj0260r]

그리고 synaptic에서 xserver-xorg-video를 검색해보면 여러개 나올텐데
xserver-xorg-video-intel을 제외한 다른 나머지는 모두 지워보세요.
예전에 그렇게 했더니 해결되더라고요. 이게 안먹히면 다른 분들께 패스 :oops:[/quote:3kj0260r]

nike984님, 님이 말씀하신데로 인텔 드라이버 외의 드라이버들 다 지워도 안되더라고요. 게다가 intel-quantel? 이라는 드라이버가 있길래 기존의 intel 드라이버 삭제후, intel-quantel(?, 정확한 이름은 기억나지 않네요. 단지 intel-qua~어쩌고였습니다.)만 설치 했더니만…

이젠 아예 그래픽카드를 못 잡더라고요. 콘솔로만 부팅이되고… 지금 맨붕입니다. ㅠㅠㅠ 다시 설치해야하나…ㅠㅠㅠㅠ

그냥 속 편하게 클린 설치 하세요.
그게 정신 건강에 좋은 것 같아요.

저도 비슷한 문제로 엄청 고생했는데
저야 어차피 왕초보라서 선택의 여지 없이 아이디를 달리해서 클린 설치로 갔지요.
컴피즈만지다가 또 문제 생기길래 지금은 아예 컴피즈를 설치하지 않고 기냥~~~ 쓰고 있습니다.
차라리 이게 더 편하네요. 에러도 별로 없구요 ^^

단지 제 생각일 뿐입니다.

[quote="cklove":2dgt12nv]그냥 속 편하게 클린 설치 하세요.
그게 정신 건강에 좋은 것 같아요.

저도 비슷한 문제로 엄청 고생했는데
저야 어차피 왕초보라서 선택의 여지 없이 아이디를 달리해서 클린 설치로 갔지요.
컴피즈만지다가 또 문제 생기길래 지금은 아예 컴피즈를 설치하지 않고 기냥~~~ 쓰고 있습니다.
차라리 이게 더 편하네요. 에러도 별로 없구요 ^^

단지 제 생각일 뿐입니다.[/quote:2dgt12nv]

조금만 더 풀어보고 안되면 재설치 할려고요…ㅠㅠ
그런데 문제는… 아직 데이터들 제대로 백업을 못했는데 어떻게 임시적이라도 GUI모드 진입해서(text모드에선 한글이 깨지더라고요. 게다가 외장하드도 인식 문제등 아직 초짜라서…ㅠㅠ) 데이터를 백업 할 수 있는 방법 아시거나, 아시는 분 계시나요?

이거 한번 살펴보세요.

[url:2mjsayee]http://www.webupd8.org/2013/04/how-to-use-intel-linux-graphics-drivers.html[/url:2mjsayee]

[quote="floor":1dnw9l6u]이거 한번 살펴보세요.

[url:1dnw9l6u]http://www.webupd8.org/2013/04/how-to-use-intel-linux-graphics-drivers.html[/url:1dnw9l6u][/quote:1dnw9l6u]

이것도 소용이 없네요ㅠ

콘솔에서 xserver-xorg-video-intel 를 제외한 나머지 패키지들을 삭제해도 상황은 같네요… 여전히 부팅 안되고 복구모드에서 콘솔로만 부팅합니다.

아무래도 다시 설치해야될 것 같습니다만…

이제 문제는 복구모드에서 어떻게 제 리눅스 계정으로 접근을 해서 데이터를 백업해야할지…

데이터 백업 … 의외로 간단하지 않나요?
USB부팅해서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기로 들어간 다음
외장하드 연결하고
유니티에 보이는 내장 하드에 들어가서 해당 부분을 외장하드에 복사하면 되지 않나요?
내 정보 세부 설정까지 전체 복사가 필요하다면
/home 폴더 아래의 내가 로그인 하는 아이디를 복사해버리면
그 안에 있는 모든 설정도 함께 저장되니 그 방법이 편하지 않나요?

아니면 더 좋은 방법은 클린 설치 하실 때 …

/home를 포맷하지 않고 재 지정만 해 주면서, 로그인 아이디만 달리해서 설치하면 (나의 과거 계정이 /home에 있다는 전제 하에서)
모든 데이터는 과거 계정아이디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지요.
즉 전에 아이디가 cklove이고 새 아이디가 choi라면 /home 폴더 아래에는 cklove와 choi가 있게 되지요. )
[color=#FF0000:k3toz0gn](물론, 실수로 여기서 포맷을 체크하면 모든 데이터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답니다.)[/color:k3toz0gn]
다 설치를 마친 후에, 이전 아이디 폴더에 있는 데이터들을 새로운 아이디 폴더로 복사만 하면 되지요.
(예를들어 파이어폭스에 즐겨찾기 해 놓은것 가져 오시려면… ctrl +h 하시면 히든 폴더들이 나타나는데,
이 때 [ .mozilla ] 폴더를 복사해다가 놓으면 즐겨 찾기 해 놓은 것이나 파이어 폭스 기타 셋팅 내용이 다 살아나잖아요?

저는 비상시에 그렇게 하거든요.

[quote="cklove":2thd8jfs]데이터 백업 … 의외로 간단하지 않나요?
USB부팅해서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기로 들어간 다음
외장하드 연결하고
유니티에 보이는 내장 하드에 들어가서 해당 부분을 외장하드에 복사하면 되지 않나요?
내 정보 세부 설정까지 전체 복사가 필요하다면
/home 폴더 아래의 내가 로그인 하는 아이디를 복사해버리면
그 안에 있는 모든 설정도 함께 저장되니 그 방법이 편하지 않나요?

아니면 더 좋은 방법은 클린 설치 하실 때 …

/home를 포맷하지 않고 재 지정만 해 주면서, 로그인 아이디만 달리해서 설치하면 (나의 과거 계정이 /home에 있다는 전제 하에서)
모든 데이터는 과거 계정아이디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지요.
즉 전에 아이디가 cklove이고 새 아이디가 choi라면 /home 폴더 아래에는 cklove와 choi가 있게 되지요. )
[color=#FF0000:2thd8jfs](물론, 실수로 여기서 포맷을 체크하면 모든 데이터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답니다.)[/color:2thd8jfs]
다 설치를 마친 후에, 이전 아이디 폴더에 있는 데이터들을 새로운 아이디 폴더로 복사만 하면 되지요.
(예를들어 파이어폭스에 즐겨찾기 해 놓은것 가져 오시려면… ctrl +h 하시면 히든 폴더들이 나타나는데,
이 때 [ .mozilla ] 폴더를 복사해다가 놓으면 즐겨 찾기 해 놓은 것이나 파이어 폭스 기타 셋팅 내용이 다 살아나잖아요?

저는 비상시에 그렇게 하거든요.[/quote:2thd8jfs]

cklove님, 아 그렇게 하면 되는건가요?? 우분투 부팅 USB제작후, 사용하기로 들어가서 외장하드로 연결 그리고 home 폴더에 있는, 문서, 그림, 비디오 등등을 복사 붙여넣기하면 되는건가요?? 무척 쉽네요!

네 저도 그렇게 파티션 지정해주는 것이 좋다고 들었는데 리눅스면 안정적인데 뭘 그렇게까지 하고, 게다가 12.04는 LTS버전이니 굳이 나중에 전체 포맷하지뭐~ 라는 마음가짐으로 했기에…ㅠ

초보 리눅서는 이렇게 또 하나를 배워 나갑니다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