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 page 안의 문구가 이해가 안되네요

man page 보다보면

"Mandatory arguments to long options are mandatory for short options too"

라는 문구가 있는데요…

우리 말로 해석 시 "긴 옵션에서 꼭 필요한 인수는 짧은 옵션에도 꼭 필요합니다."

라고 하는데… 이게 대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되네요…

긴 옵션?, 짧은 옵션? 이 뭘 의미하는건지…

사실 전혀 중요한 내용은 아닌데 너무 궁금하네요;;ㅠㅠ

추가로

예를 들면 -a, --all 이런식으로 돼 있는 옵션은 같은 옵션인거죠??

아마도 이게 아닐런지.

–aaa b

여기서 b 가 인수고 꼭필요한 인수라고 하면

-a b

이렇게 짧은 옵션에서도 b를 적어줘야 한다는 얘기일 듯 하네요.

간단히 설명하자면…

아래 내용은 mkdir 명령어의 맨페이지 일부 입니다.

[code:1mberbj6]
-m, mode=MODE set permission mode (as in chmod), not rwxrwxrwx - umask
[/code:1mberbj6]

짧은 옵션은 -m이 되겠고, 긴 옵션은 mode= 이 되겠죠.

이 두 옵션은 같은 기능을 하게 됩니다만
mkdir -m 777 folder
mkdir --mode=777 folder

[code:1mberbj6]
yemharc@ubuntu:~/workspace$ mkdir -m test
mkdir: missing operand
Try mkdir --help' for more information. yemharc@ubuntu:~/workspace$ mkdir --mode test mkdir: missing operand Try mkdir --help’ for more information.
yemharc@ubuntu:~/workspace$
[/code:1mberbj6]

이렇게 긴 옵션이건 짧은 옵션이건 인자를 주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하죠.

즉, "Mandatory arguments to long options are mandatory for short options too" 라는건
긴 옵션에서 인자값이 필요하다면 짧은 옵션에서도 반드시 인자가 필요하다는 말이 됩니다.

반대로 긴 옵션에서 인자값이 필요없다면 짧은 옵션에서도 인자값이 필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