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layer 명암 설정 어떻게 하나요?

인터넷에 있는 w32codecs와 한글자막 설정에 대해서는 어찌어찌 하다보니 되던데…

골치1

[attachment=1:192q9p1q]스크린샷.png[/attachment:192q9p1q]

설정(preferences) 메뉴를 선택하면
"Please remember that you need to restart playback for some options to take effect!"
라는 경고가 뜨네요.

영화 보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요.

혹시 비디오 설정을 바꿔줘서 그런가 싶어서
x11을 원래대로 고치니 위의 경고는 그대로 뜨고 동영상은 재생이 되지 않아 다시 x11로 변경했어요.

골치2

화면이 어두워 화면 밝기를 조정하려 해도 메뉴를 찾을 수 없네요.

[attachment=0:192q9p1q]스크린샷-1.png[/attachment:192q9p1q]
Equalizer의 video에서 작대기를 이리 저리 움직여봐도 어떤 반응도 없고요.

임시방편으로 NVIDIA의 설정에서 밝기, 대비 등을 간접적으로 고치긴 했지만…

뭔가 mplayer의 설정이 잘못 된 것 같네요.

궁금증1

.mplayer/config
이 파일이 위치한 곳은 어딘가요?
위치>파일검색 에서 'config’와 ‘mplayer’, '.mplayer’로 검색해봤지만 못찾았거든요.

그리고 ‘~/어쩌구저쩌구’ 경로는 그냥 ‘어쩌구저쩌구’ 라고 터미널에서 입력해도 되는 것 같던데
‘~/’ 이 의미는 뭔지 궁금해요…

주저리

겨우 3일차 우분투 사용자라…

몇몇 글을 읽어보긴 했지만 리눅스 시스템 구성에 대해 감을 잡지 못하고 헤매네요…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 땜 xp 뒤집고, 우분투 써보자 깔아보고…

우분투 자료 찾다가 마우스 왼쪽으로 쓰는 것이 자세에 좋다고 해서 왼쪽으로 바꾸고…

이번참에 세벌식으로 갈까 생각 중이예요…

너무 단기간에 바뀌는게 많네요…

오래전 부터 로망이었던 리눅스와 세벌식… 므흣…

먼저 바탕화면에 우클릭한 후 open in terminal 선택하세요

[code:1ffe5ne3]pwd[/code:1ffe5ne3]
라고 열러진 터미널 창에 입력하세요 그리고

[code:1ffe5ne3]cd ~[/code:1ffe5ne3]라고 한 다음에

[code:1ffe5ne3]pwd[/code:1ffe5ne3] 해보세요

[code:1ffe5ne3]cd ~[/code:1ffe5ne3]는 어디에 있더라도 바로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갈 수 포탈 명령어입니다 :)

[quote="bartsesang":nz9blq1o]설정(preferences) 메뉴를 선택하면
"Please remember that you need to restart playback for some options to take effect!"
라는 경고가 뜨네요.
[/quote:nz9blq1o] 어떤 설정들은 변경된 사항이 다시 재생(플레이) 할때 적용 된다는 말이고요

[quote="bartsesang":nz9blq1o]# 궁금증1

.mplayer/config
이 파일이 위치한 곳은 어딘가요?
위치>파일검색 에서 'config’와 ‘mplayer’, '.mplayer’로 검색해봤지만 못찾았거든요.[/quote:nz9blq1o]
느림보님이 말하신 대로 ~/.mplayer/config 입니다. 즉 /home/bartsesang/.mplayer/config

[quote="bartsesang":nz9blq1o]

골치2

화면이 어두워 화면 밝기를 조정하려 해도 메뉴를 찾을 수 없네요.

Attachment:
스크린샷-1.png
스크린샷-1.png [ 500.43 KiB | 38 번 봄 ]

Equalizer의 video에서 작대기를 이리 저리 움직여봐도 어떤 반응도 없고요.

임시방편으로 NVIDIA의 설정에서 밝기, 대비 등을 간접적으로 고치긴 했지만…

뭔가 mplayer의 설정이 잘못 된 것 같네[/quote:nz9blq1o] 그곳에서 조정이 되야 정상 입니다.
혹시 root 권한으로 mplayer를 실행한적이 있어 그런거 아닌가 의심 되니
sudo chown -R bartsesang.bartsesang ~./mplayer 하고 나서 엠플레이어 실행 하여 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배운 것이 많네요…

‘~/’ 는 현재 사용자를 의미하는 경로가 맞는지요?
리눅스의 슈퍼유저, 사용자 개념에 대한 경험이네요.

그리고 ‘.mplayer’ 에서 '.'은 숨겨진 파일이라는 것과
노틸러스에서 Ctrl+H 로 볼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sudo chown 명령어는 권한을 주는 것도 알게 되었는데…
[color=#FF8000:2qykdzuq]http://hisjournal.net/6l0g/?p=209[/color:2qykdzuq]

[color=#008000:2qykdzuq]sudo chown -R bartsesang.bartsesang ~./mplayer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color:2qykdzuq]
이렇게 해봤는데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없다고 하네요

그래서
[color=#00BF00:2qykdzuq]sudo chown -R bartsesang.bartsesang ~/.mplayer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color:2qykdzuq]
로 하니 어떤 반응도 없이 엔터친 것 처럼 다름 커서로 넘어갑니다.

[color=#0040FF:2qykdzuq]bartsesang@bartsesang-desktop:~$ sudo chown -R bartsesang.bartsesang ~/.mplayer
bartsesang@bartsesang-desktop:~$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
bartsesang@bartsesang-desktop:~$ [/color:2qykdzuq]

이렇게요…

동영상 조작은 여전히 아무런 반응이 없고요.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와 호기심, 오기가 생기지만…
뭔가 알지못하는게 있다는 답답함도 크네요… ㅜㅜ

예전에 프로그래밍 잠깐 배울 적 맨페이지라는 말을 몇 번 들었는데…
오늘 맨페이지가 뭔지 알았네요…

[quote="bartsesang":1r32u5f5]sudo chown -R bartsesang.bartsesang ~./mplayer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quote:1r32u5f5] 3개다 경로가 틀렸습니다. ~/.mplayer 입니다.

[quote="bartsesang":1r32u5f5]그래서
sudo chown -R bartsesang.bartsesang ~/.mplayer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
로 하니 어떤 반응도 없이 엔터친 것 처럼 다름 커서로 넘어갑니다.

bartsesang@bartsesang-desktop:~$ sudo chown -R bartsesang.bartsesang ~/.mplayer
bartsesang@bartsesang-desktop:~$ sudo chown -R bartsesang ~/.mplayer
bartsesang@bartsesang-desktop:~$

이렇게요…[/quote:1r32u5f5] 제가 적은 대로 하여 [b:1r32u5f5]엔터친 후 아무 메세지가 없다는 건 컴에서 잘 수행 했다는 것[/b:1r32u5f5]입니다. (참 잘했어요 입니다.)

비디오 이퀄라이징은 두 가지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하드웨어(비디오 카드)에서 처리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사용하시는 mplayer(gtk)는 하드웨어 이퀄라이저만 포함되어 있는데
어떤 비디오 출력은 단계상 특정 부분을 건너뛰기 때문에 하드웨어 이퀄라이저에서 아무리 조절해도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하드웨어 이퀄라이징이 적용되는 비디오 출력을 찾아 해당 비디오 출력으로 바꾸거나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이퀄라이징을 할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사용하시는 겁니다.

몇가지 해봤는데 저의 경우는 gl(fast)가 하드웨어 이퀄라이저의 영향을 받네요.
소프트웨어 방식의 이퀄라이저를 사용해보고자 하시면 smplay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많은 편리함 때문에 smplayer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혹 smplayer를 사용하게 되시면 엔디비아 그래픽카드 사용자시니 비디오 출력을 vdpau으로 해보세요.
아마 하드웨어 이퀄라이징도 되고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줄겁니다.

덧글.
"Please remember that you need to restart playback for some options to take effect!" 메시지는
경고라기 보단 몇몇 옵션은 mplayer를 재시작해야 적용이 된다는 안내 문구입니다.

smplayer를 설치해보니 mplayer보다 훨씬 그래픽인터페이스가 좋네요.
-감사합니다 꾸벅~ (__)

mplayer의 프론트엔드라고 하던데…

  • 프론트엔드라는 말을 몇 번 봤지만…
  • 이 뜻이 그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만든 프로그램이란 말이겠죠?

mplayer에서는 설정파일을 수정하는 방식인지 메뉴나 단추를 클릭하는 것으로는 설정이 몇 안보이더군요.

윈도우의 kmplayer의 경우에 화면 조정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나뉘어져 있고
어떤 경우에는 하드웨어 설정이 안되는 경우도 있었는데(소프트웨어였던가? 헷갈리네요…)

어떤 동영상이 하드웨어 설정으로도 화면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인지 몰라 몇 개 실행해봤지만

[attachment=0:3kk69ro0]스크린샷.png[/attachment:3kk69ro0]

여전히 화면 조정은 안되네요.

참고로 그래픽카드는 NVIDIA이고
mplayer, smplayer 모두 비디오 출력은 x11로 맞춰놨습니다.

하드웨어 이퀄라이저의 영향을 받는 비디오 출력을 찾으시려면 x11, xv, vdpau, gl, gl2 등으로 바꿔가면서 찾아보셔야 합니다.
콕 찝어 어느 출력이 영향을 받는지 알려드리고 싶지만 평소 사용하지 않는 기능인지라 확실한 도움은 드릴수가 없네요.

smplayer를 설치하셨고 소프트웨어 비디오 이퀄라이저를 사용하고자 하신다면
smplayer에서 옵션 -> 환경 설정 -> 일반 분류 -> 영상 탭 -> User software video equalizer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비디오 출력은 x11이 성능이 제일 떨어집니다. 100% 동작은 보장되지만 느려요.
엔비디아 유저라면 요즘은 동영상 가속이되는 vdpau를 많이 사용하는것 같고 vdpau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보통은 xv나 gl을 사용합니다.

옵션 -> 환경 설정 -> 일반 분류 -> 영상 탭 -> User software video equalizer
에서 설정해주니 이제 화면 조정을 할 수 있네요!

이 설정(이퀄라이져)도 영상에 따라서 되는 것이 있고 아예 선택이 불가능한 것이 있네요.
이런건 어쩔 수 없이 NVIDIA의 설정을 조절해주는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가 더 생겼는데…

소리가 안나와요. [color=#FF0000:2hlw4mgg]OTL[/color:2hlw4mgg]

음성 관련 옵션을 이리 저리 바꿔주고 출력도 바꿔주고…
smplayer 소리 안나와요 검색도 해보고…
혼이 빠져나갈 무렵…

음소거를 누르니 소리가 나오는군요. 헉!!!

[color=#8000FF:2hlw4mgg]감사합니다.[/color:2hlw4mgg]

  • 이젠 mplayer는 필요 없어! 라고 외치며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mplayer가 들어가는 프로그램은 모조리 삭제했습니다.

앗?! smplayer까지 지워졌더군요…

다시 smplayer를 설치하니 지웠던 mplayer 세트들이 모두 설치되었네요.
다행이 설정도 그대로입니다.

우분투의 경우에도 (레지스트리처럼) 삭제시 설정파일은 남아있는가봐요?
혹시 꼬이고 이런 문제는 없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