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b00
2월 20, 2009, 8:53오전
1
안녕하세요?
저는 리눅스 초보입니다.
혹시나 하는 질문을 드립니다.
우분투에서는 x-windows상에서 다른 Winodw PC를 mstsc로 원격제어 할수 있는데
반대로…Windows PC에서 mstsc로 우분투가 설치된 PC를 원격제어 할수 있을까요?
VNC나 기타 다른 RDP기반의 Util을 사용하지않고 Windows에 기본 깔려있는
mstsc로 Ubuntu PC를 원격제어할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방법을 알고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user1
(강분도)
2월 20, 2009, 7:33오후
2
그놈원격 이나 X vnc 는 따로 어플 설치 해야 가능 한거로 알고 있습니다.
온리 MS XP엔 어플이 없고 부족하죠 …
MS에서 리눅스 원격 어플로는 Tight vnc 추천 합니다.
http://www.tightvnc.com/
네… 제가 아는 한 아직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거는 전혀 없지만 개발중이라는 말은 어디서 들어본듯 합니다.
찾았습니다.
wikipedia의 xrdp 페이지와 프로젝트 홈피이지를 링크합니다.
http://en.wikipedia.org/wiki/Xrdp
http://xrdp.sourceforge.net/
컴파일 하느라 열심히 삽질하던 와중에…
(썰렁한 홈페이지 분위기로는 영원히(?) 안될거 같기도 한데…)
혹시나 해서
[code:3peeqvze]sudo apt-get install xrdp[/code:3peeqvze]
…
…
…
되네요-_-;;;
이럴때는 우분투가 정말 사랑(?)스럽습니다-_-;;
[code:3peeqvze]sudo /etc/init.d/xrdp start[/code:3peeqvze]
gnome 메뉴에서 remote desktop 설정도 해주세요.
(xrdp의 역할이 rtp protocol에서 vnc로 변환인듯 합니다)
저는 console밖에 안되던데
다른것도 되기는 되는듯 하네요.
아무튼 답변 수정합니다.
리눅스도 mstsc로 접속 가능합니다.
전 tightvnc의 viewer(exe 파일 하나)만 가지고 다니면서 실행해서 사용합니다.
파일 이름을 vncviewer.exe.gmail로 바꿔서 제 gmail에 넣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주변 PC의 윈도우즈 바탕화면에 다운로드해서 이름 바꾸고 사용합니다.
한영키 사용을 Ctrl+Space로 해야한다는 사실을 가끔 까먹는 것 빼고는
제 우분투의 원격제어로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ㅎ
[quote="tinywolf":3hd1iot6]전 tightvnc의 viewer(exe 파일 하나)만 가지고 다니면서 실행해서 사용합니다.
파일 이름을 vncviewer.exe.gmail로 바꿔서 제 gmail에 넣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주변 PC의 윈도우즈 바탕화면에 다운로드해서 이름 바꾸고 사용합니다.[/quote:3hd1iot6]
이 과정이 생략 가능하다는건 사실 꽤나 큰 메리트겠지요.
저도 그렇지만 아마도 누구라도 vnc보다는 rdp(mstsc)를 훨씬 좋아하리라 믿습니다.
프로젝트가 잘 진행되어서 rdp를 풀로 지원하게 되던가
좀 더 성능좋은 프로토콜이 만들어지면 참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