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을 읽고서 리눅스커널의 저전력모드에 관한 잠시 서적이나 문서를 읽어봤지만, 방법이 저전력 모드를 사용안하는것밖에 안보여서 원하는 내용이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전력모드를 꼭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하드디스크가 아니라 USB/SD Card같은 저장장치를 rootfs를 사용하는게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것도 생각해보신 방법이라면 할말이 없고요;;; 제가 생각한 방법은 이상이 다입니다;;; 리눅스가 아니더라도 리눅스커널을 사용하여 NAS용으로 나온 free OS들도 존재합니다.
몇가지 특정한 기능만 필요하시다면 그것도 방법일거 같네요;;;
컴퓨터 켜놓고 가만히 놔두면 아이들 상태가 되고 전력 소모가 줄어듭니다. 이 상태도 전원 절약 상태입니다.
그보다 더 전원을 절약하는 상태는 컴퓨터가 거의 꺼져있는 상태가 되어 접속 요청을 받지를 못합니다.
따라서 접속 대기를 해야하는 NAS라면 24시간 켜놓는 것이 정답이고…
아이들(idle) 상태일 때 HDD 모터를 정지시키는 기능이
메인보드
OS 또는 소프트웨어 방법이 있긴 한데
HDD 모터가 on / off 반복하면 수명이 줄어듭니다. HDD도 그냥 켜놓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방법 이외에는(거의 꺼저있는 절전 상태에서는) WOL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랜카드에서 지원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 모로 전기세가 부담되시면,
J1800, J1900 같은 저전력 CPU를 탑재한 메인보드를 추천드립니다.
실제 측정한 벤치마트를 보면 아이들 상태일 때 10~30W 정도의 전력(형광등 1개 정도)을 소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