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 96버전에 대한 질문 입니다

저는 우분투 초보 사용자 입니다.

시스템 : Toshiba Satellite 5205-S506
CPU : Mobile Intel Pentium 4-2.2GHz
Mem : 512MB
HDD : 20GB
Video : Nvidia GeForce 460 Go
OS : Ubuntu 10.04 한글
테마 : 윈7 with DockBarX, Compiz, 에메랄드

현상은 이렇습니다.

1.nVidia Driver 96버젼을 xorg.config를 설정하는 우여곡절 끝에 깔긴 했는데, 해상도가 1280x1024, 840x525, 640x512이 세가지 밖에 조절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nvidia setting 화면에서 조차 해상도를 조절하려면 에러메시지가 나오는것이 아니라 아예 세팅화면이 없어져 버린다는 점입니다. 사용에는 문제가 되질 않아 그냥 1280x1024로 쓰고는 있습니다.

2.두번째는 첨부한 스샷 화면처럼 사용하고 있는데, 컴피즈의 효과가 작도하질 않는 다는 것입니다. 컴피즈 엑스트라도 깔아봤지만, 효과를 액티브 시키면 화면 왼쪽 위의 아이콘들이 사라지거나 아래쪽의 패널이 사라지고 기능도 없어져 버린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질문드리는 것은,

1.이 현상의 문제가 nvidia 96버전의 문제인지, 아니면, 컴피즈의 문제인지, 아니면 제 xorg.conf의 문제인가 하는 점입니다.

참고로 저의 xorg.conf를 첨부하오니, 우분투 전문가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nvidia-settings: X configuration file generated by nvidia-settings

nvidia-settings: version 1.0 (buildd@palmer) Fri Apr 9 10:35:18 UTC 2010

Section "ServerLayout"
Identifier "Layout0"
Screen 0 "Screen0" 0 0
InputDevice "Keyboard0" "CoreKeyboard"
InputDevice "Mouse0" "CorePointer"
Option "Xinerama" "0"
EndSection

Section "Files"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 generated from default
Identifier     "Mouse0"
Driver         "mouse"
Option         "Protocol" "auto"
Option         "Device" "/dev/psaux"
Option         "Emulate3Buttons" "no"
Option         "ZAxisMapping" "4 5"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 generated from default
Identifier     "Keyboard0"
Driver         "kbd"

EndSection

Section "Monitor"

# HorizSync source: edid, VertRefresh source: edid
Identifier     "Monitor0"
VendorName     "Unknown"
ModelName      "TOSHIBA Internal Panel"
HorizSync       63.0 - 65.0
VertRefresh     60.0
Option         "DPMS"

EndSection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1"
VendorName "Unknown"
ModelName "TOSHIBA Internal Panel"
HorizSync 63.0 - 65.0
VertRefresh 60.0
EndSection

Section "Device"
Identifier "Device0"
Driver "nvidia"
VendorName "NVIDIA Corporation"
BoardName "GeForce4 460 Go"
EndSection

Section "Device"
Identifier "Device1"
Driver "nvidia"
VendorName "NVIDIA Corporation"
BoardName "GeForce4 460 Go"
BusID "PCI:1:0:0"
Screen 1
EndSection

Section "Screen"

Removed Option "TwinView" "1"

Removed Option "metamodes" "CRT: nvidia-auto-select +0+0, DFP: 1280x1024 +0+0"

Removed Option "TwinView" "0"

Removed Option "metamodes" "1280x1024 +0+0"

Removed Option "TwinView" "1"

Removed Option "metamodes" "CRT: 1280x1024 +0+0, DFP: 1280x1024 +0+0"

Removed Option "metamodes" "CRT: 1280x1024 +0+0"

Identifier     "Screen0"
Device         "Device0"
Monitor        "Monitor0"
DefaultDepth    24
Option         "TwinView" "0"
Option         "TwinViewXineramaInfoOrder" "DFP-0"
Option         "metamodes" "DFP: 1280x1024 +0+0"
SubSection     "Display"
    Depth       24
EndSubSection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Screen1"
Device "Device1"
Monitor "Monitor1"
DefaultDepth 24
Option "TwinView" "0"
Option "TwinViewXineramaInfoOrder" "DFP-0"
Option "metamodes" "DFP: 1280x1024 +0+0"
SubSection "Display"
Depth 24
EndSubSection
EndSection

[attachment=0:1qf9795o]스크린샷.png[/attachment:1qf9795o]

해결책은 아니지만, nvidia 사용자로 경험담입니다.

우분투에 Nvidia 9600 GT LP과 7100/630i를 사용해본 결과 9.04까지는 별문제 없이 잘 돌아갔지만
9.10, 10.04부터 그래픽 카드 인식에 대해서 문제가 자주 발생 했습니다.

현재 쓰는 10.04에서는 DVI(카드)->Analog(모니터)로 연결 할 때 자동감지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설정 파일을 직접 만져서 옵션을 더 추가해야지 감지가 될 때가 많습니다.

Analog->Analog로 비디오 카드와 모니터를 연결 할 때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제 경우 제대로 작동 안할 확률 10~20%)
부팅시 그래픽 카드 감지를 못해서 에러가 뜨거나 텍스트 모드로만 작동되거나 최저 해상도로 임시로 우분투를 사용 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격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visual effect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마음 편히 쓰고 있습니다.

Nvidia 관련글:
[url:3k6sy4j5]http://www.ubuntu.or.kr/viewtopic.php?p=61389[/url:3k6sy4j5]
[url:3k6sy4j5]http://ubuntu.or.kr/viewtopic.php?f=20&t=11114[/url:3k6sy4j5]
[url:3k6sy4j5]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18&t=11383[/url:3k6sy4j5]

우선 저 같은 초보의 우문에 답해 주신 것, 감사드립니다.
답변해 주신 것과 관련글들을 살펴보니, 아무래도 nvidia 드라이버의 문제라고 보이네요.
우분투 권장 드라이버를 노트북에 깔고, 시스템이 먹통이 되었다고 생각해서
재인스톨을 몇번을 했는지 모르는데…
외부 모니터를 연결해보니 말짱해 진걸 보고 얼마나 열받았던지…
DFP조정을 xorg.conf파일에서 조정해서 여기까지 왔는데, 너무 허무하네요.
하긴 OS를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옛것을 버려야 하는 시점이 반드시 도래한다는
속설이 있긴 하지만, 사용자 측면에서 서운한 것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그저 영어에 있는 표현처럼 ‘Just live with that.’ 그냥 그리 살 수 밖에 없나 봅니다.
답변해 주신 것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