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 카드에서의 설치 불가 상황

nvidia 7600GT 21인치 와이드(1680x1050)모니터- 에서의 설치 상황입니다.

ubuntu , xubuntu 둘다 9.10 설치 시 초기 선택화면은 뜨나 로딩 후 설치/라이브 화면에서의 오류 입니다.
모니터 상에서 ‘범위탈출’ 메시지를 띄우며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이 됩니다.
이전 8.04 8.10 에서는 정상적으로 설치/라이브 화면으로 이동되었으나 9.10 에선 모니터 자체가 꺼지는군요.
ubuntu-alternate 9.10 으로 콘솔설치를 시도했습니다. 물론 콘솔이라 설치는 완료되었습니다.
허나 재부팅 후 gdm이 떠야함에도 다시 ‘범위탈출’ 메시지를 띄우며 모니터가 사망하십니다.
"안전그래픽모드" 에서도 똑같은 상황이 뜹니다.

콘솔로그인은 가능하며 X 는 정상적으로 떠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nvidia 최신 드라이버 스크립트를 실행했으나 X가 활성화 되었다는 이유로 스크립트는 죽습니다.

/etc/X11/xorg.conf 파일 임의생성 후 재부팅 시 콘솔상의 프롬프트는 별빛 반짝이듯 깜박거리고 키보드 입력 또한 딜레이 되서
콘솔로그인자체도 못하게 됩니다.

8.04 에서 정상적으로 떠있는것을 확인. 문제는 9.10 소프트웨어 자체 문제로 판단되구요.

grub 메뉴에서 리커버리모드로 들어갑니다.
root 프롬프트를 싱글모드로 불러와서 nvidia 드라이버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init 1 이라서 어쩌고 하는 소리는 스킵하고 설치모드로 들어갑니다.
설치 완료후 재부팅.
gdm 은 정상적으로 뜨고 이 글도 작성을 합니다.

참 애매하다는 생각만 듭니다…
참고로 via unichrom 내장 그래픽에선 아무 문제없이 설치 되었습니다.
좀 더 삽질을 해봐야겠습니다.

끈기가 대단하시네요…대부분 못알아 들었지만 어쨌든 같은 증상으로 설치 포기한 1人.

전에 어떤분은 CRT모니터를 연결해보니 보여서 그걸로 로그인해서
해상도와 주파수를 다시 설정을 하신다음 LCD를 끼우셨다고 하든데…

제 생각에는 우분투 배포판에 포함된 nvidia 드라이버가 간혹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조금더 깊이 말하면 nvidia linux 드라이버가, 버젼별로 문제점이 바뀌면서 발생합니다.

30" 와이드 모니터 사고 한달은 삽질을 한거 같습니다. 8.10 이었나 그때도 기본 포함된 드라이버랑 커널 드라이버를
지우고 nvidia 사이트 에서 받은 스크립트로 설치를 해줬던거 같습니다.

그때는 /etc/rc3.d 에 gdm 이나 X11 같은것들 시작되는걸 막아버리고, init 1 으로 부팅한 다음에 init 3 로 넘어가고
(X-window 를 막았음으로) 콘솔상태에서 드라이버 깔고, "startx – -logverbose 6" 와 같은 명령으로 X 띄웠었습니다.

nvidia 로고만 나오고 화면은 안나오거나 이상하게 나오면 ctrl + alt + BackSpace 로 X 를 끄고 ,
/var/log/Xorg.?.log 를 보고 또 설정 바꿔서 X-window 시작해 보고 또 ctrl + alt + BS …

아무튼 어찌 저찌 해서 설치하신걸 축하드리며, 지금의 삽질은 나중의 삽질의 밑바탕이 될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ㅎㅎ

[quote="draco":16jg7kqc]전에 어떤분은 CRT모니터를 연결해보니 보여서 그걸로 로그인해서
해상도와 주파수를 다시 설정을 하신다음 LCD를 끼우셨다고 하든데…[/quote:16jg7kqc]

네 CRT 라면 문제없었을것입니다.
CRT를 회사에서 공수할까 고민도 했었지요…

예전 redhat9 에선 CRT 사용시 X 화면이 한쪽으로 살짝 치우쳐 나왔었죠…
모니터 문젠가 해서 모니터 위치를 변경하면 나중에 XP 에서 반대로 치우쳐서 참 그랬었죠…
xev 로 살짝 옮기면 되긴 했었지요…
물론 lcd 에선 치우침 현상이 나타나질 않았었구요…
것도 참 애매하죠…

모를땐 정말 막막하고 벽에 부딛힌것 같은 느낌이지만
한번 알고 나면 별일도 아닌게 언제 그랬냐는듯 하죠…
알때 까지의 그 삽질이 무색하리만큼 …

다른 PC를 쓸 수 있다면 SSH 이용해서 문제 PC에 접속해서 문제 해결~ 도 가능할 것 같네요. :)

[quote="pcandme":n9j0nk3f]다른 PC를 쓸 수 있다면 SSH 이용해서 문제 PC에 접속해서 문제 해결~ 도 가능할 것 같네요. :)[/quote:n9j0nk3f]

그렇겠네요… 방법이군요…
X윈도는 먹통이지만 콘솔로긴은 가능하다면 네트웍 이랑 ssh 설정은 가능할테니까요…
단지 레드햇 같은 경우는 init3 으로 즉각 런레벨 돌리면 X 없이 작업 가능하지만
우분투라면 런레벨 편집을 해줘야 하겠군요…
넷에 물린 pc 도 있어야하고…

자잘한 문제…
여분의 crt모니터가 있던가… 다른 pc가 있던가…
물론 기존 ms윈도도 깔려있는게 좋겠고…
지속적인 삽질 및 더 나은 방법을 찾을 시간여유 및 끈기도 있어야겠고…
이 삽질을 종합해줄 지식도 있어야겠고…
초보의 길은 여전히 long and winding road 군요…
(힘들게 idc 갔는데 이런문제 생기면 바로 걷어차고 예전버전으로 빽 하겠지만…)

리눅스를 현업으로 해서 밥먹고 살고는 있지만
아직 저는 초보 인거 같습니다…(맨날 까만 화면에 프롬프트만 보고 또 일 보단 땡땡이 치러 idc 가는 저로서는 …ㅎㅎㅎ)

– 필리핀 세부막탄공항에 가면 공용pc에 우분투가 깔려있어요… 반갑 ㅎㅎ

별로 중요하거나 그런예기는 아닙니다만. 그냥 적어봅니다.

geforce 2 mx 400 달린 서브컴에 9.10 베타를 깔아두었다가 9.10 으로 배포판 업그래이드를 하고, 업데이트도 하고 났더니

덜컥 X 가 안뜨면서 콘솔 화면도 깜빡거리는겁니다. 뭐 이런 경우가 있나싶었습니다. 그리고나서 grub 항목의 새로 설치된 커널 말고 직전에 잘 쓰이던 커널로 부팅을
하니깐 정상적으로 X 가 구동이 되었습니다.

새 커널에 드라이버랑 기타 작업을 해보진 않았지만, 뭔가 방법은 있을것으로 추측되구요, 아무튼 저는 급한데로? (귀차니즘으로 인해서 아직도…)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아마 9.10 시디로 깔았을때는 정상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nvidia 드라이버가 먼저 깔리고 커널업이 되면서 커널모듈과 문제가 생기는건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