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dnet.co.kr/Contents/2010/02 … 205243.htm
ㅎㅎㅎ
국내 업체가 저런거 했으면
OO 국산 OS 시대 개막, 신기술 특허출원
뭐 이딴 제목이 되지 않았을까 싶네요 ㅎㅎ
…그러고보니 티맥스는 요즘 무슨 삽질을 하지…
그러고보니 소리 소문없이 티맥스가 묻혔네요.
zdnet은 무슨짓을 했기에 공격사이트로 지정됐을까요…
우분투를 쓴 이후로 ZDNet을 볼 수가 없군요. 공격 사이트로 나와서… 물론 뭐 무시 때리고 보면 됩니다만, 그 시뻘건 화면을 보고 있자면 별로 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는 않는 것 같아요. 어차피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을테니까요…
아무튼 뭐 이로써 구글도 OS 대전을 본격화 하는군요. 아니지, 본격화 한지는 좀 된 것 같고 포문을 열었다고 해야 하나요… 구글 디펜던트한 삶을 살고 있는 저로서는 어찌보면 굿 뉴스라고 할까요… 아아… 구글에 구속되고 싶어… (-_-;
그나저나 티맥스는 뭐하나요. 요새 티맥스하면 김준이 속해 있는 아이돌 그룹 티맥스가 먼저 떠오르네요…;;;;
글 내용이 조금 난해하게 써있는데요…(너무 그대로 번역체…)
여하튼 이 부분에서 리눅스는 공생관계(혹은 상대로 생각지도 않는다는)로 보는 것 같네요.
우분투에서 빌드한다는 점도 그렇고…
[quote:27cf3q7f]라이너스 업슨 크롬브라우저/OS담당 엔지니어링이사는 “네이티브 클라이언트는 지금까지 어떤 표준과도 달랐다. 구글의 크롬브라우저는 주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터넷익스플로러(IE),애플의 사파리, 모질라의 파이어폭스와 경쟁하고 있다”고[color=#FF0000:27cf3q7f] jf[/color:27cf3q7f]밝혔다. [/quote:27cf3q7f]
p.s. 오타도 있어요
[quote="pcandme":1df7118b]우분투를 쓴 이후로 ZDNet을 볼 수가 없군요. 공격 사이트로 나와서… 물론 뭐 무시 때리고 보면 됩니다만, 그 시뻘건 화면을 보고 있자면 별로 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는 않는 것 같아요. 어차피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을테니까요…[/quote:1df7118b]
그것도 한번만 뜨는 게 아니라 연속해서 떠요;;
파이어폭스에서 차단하는 것 같습니다.
[quote="pepsirian":nom6bvgs]파이어폭스에서 차단하는 것 같습니다.[/quote:nom6bvgs]
구글 크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야심은 무슨… 새로운 컴퓨팅 환경의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할수는 없는걸까요?
[quote="dongvil":2k3q7f9h]야심은 무슨… 새로운 컴퓨팅 환경의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할수는 없는걸까요?[/quote:2k3q7f9h]
특허 내용을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새로운 패러다임을 자기들만 쓸 생각으로 낸 것이라면 야심으로 보일 수도 있지요.
전 구글이 '누군가가 특허를 미리 내서 독점하지 못하도록, 자유롭게 허락하기 위해 특허를 낸 것’이라고 생각하고 싶지만요.
[quote="tinywolf":10seavwt][quote="dongvil":10seavwt]야심은 무슨… 새로운 컴퓨팅 환경의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할수는 없는걸까요?[/quote:10seavwt]
특허 내용을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새로운 패러다임을 자기들만 쓸 생각으로 낸 것이라면 야심으로 보일 수도 있지요.
전 구글이 '누군가가 특허를 미리 내서 독점하지 못하도록, 자유롭게 허락하기 위해 특허를 낸 것’이라고 생각하고 싶지만요.[/quote:10seavwt]
크음 슬프게도 그렇지는 않을 것 같군요(…) 뭐 구글이니까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쓰도록 허락을 해줄지도 모르겠지만 애플이나 MS가 쓰도록 할 것 같지는 않군요.
사실 크롬OS가 아이디어적으로는 그리 참신한 OS가 되지 못합니다.
부팅빠른 OS야 여러가지 있고, 노트북에 빠르게 부팅해서 인터넷 쓰는 기능이야 이미 오래전에 추가되어 있고
웹기반OS라는것도 다른 OS에서 구글 웹서비스만 연결되게하면 기능상으로 차이도 없죠.
게다가 핵심인 크롬 웹브라우저와 리눅스 커널은 오픈소스로 있어서 누구든 비슷한걸 만들 수 있죠.
아마 저렇게 갑자기 특허 타령하는건,
비슷한 제품 만들 가능성이 별로 없는 MS나 애플보다는
PC/노트북 제조업체나 관계된 회사들이 비슷한거 만들어서 크롬OS의 뒤통수를 치는 걸 견제하거나
크롬OS를 탑재시키기 위해서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