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가 OS로 우월한 점 하나.

예전에 이것과 관련한 글타래가 있었던 것 같은데, 찾다가 못찾아서 새로 올리게 되네요.

저는 전문 프로그래머도 아니고, 그냥 평범한 통계학도입니다.
회사에 들어와서 종종 빡세게 컴퓨터를 고문할 일이 있는데,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똑같이 코딩을 한다고 하더라도 리눅스에서의 퍼포먼스가 확실히 좋습니다.

  1. 노트북 T-5550 CPU(인텔 듀얼코어)에서 멀티쓰레드 슈퍼파이 프로그램을 돌리니 WinXP(SP3; 초기상태)에 비해 연산시간이 14% 줄었습니다.

  2. 데스크탑 셀러론II-250에서 슈퍼파이를 돌렸더니 Win7에 비해 연산시간이 18% 줄었습니다.

  3. 회사의 Q6600에서 시뮬레이션을 돌렸는데 WinXP(SP3; 백신 등 설치되어 있는 상태) 대비 연산시간이 23% 줄었습니다.

3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초기상태에서, 리눅스도 X-Windows 띄운 GUI환경에서 돌렸는데, 연산의 퍼포먼스만큼은 엄청나게 월등합니다. 5% 차이나는 것도 상당한 차인데… 14%~23% 면… 사실 안드로메다의 차이이죠. 6시간 걸릴 작업이 5시간이내로 줄어든다는 얘기이니까요.
게다가 랭킹권에 있는 수퍼컴퓨터들이 죄다 리눅스를 쓰는 것을 보면, 클러스터링 퍼포먼스도 리눅스가 월등할 것 같습니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제 내공이 부족하기에 막연히 추측만 하고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이 보다 군살이 빠져있고, 보다 우수한 BLAS(기본 선형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어서가 아닌가하고 있죠 */

물론 때때로 리눅스가 절 괴롭게 만드는 면이 있긴합니다만(비전공자가 직접 몸으로 부딪혀야 할 때는 꽤 막막합니다), 연산의 수행이라는 점에서는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우사인볼트 같아요. ㅎㅎㅎ

관련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윈도xp나 윈도7에서 지멋대로 하드를 긁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엔 백신이나 뭔가 스케쥴된 컴퓨터 관리작업이 있어서 그러나 싶었는데, 아닌거 같더군요.

어째튼 OS자체는 리눅스가 윈도보다 한단계 가볍게 움직이는 거 같습니다.
compiz니 뭐니 꾸며 놓으면 메모리랑 CPU잡아먹는것도 한도 끝도 없지만 ㅋㅋㅋ;;;

사용하시는 툴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제가 쓰는 전자기장 해석 프로그램의 경우는 WinXP64랑 CentOS4랑
2005년 버전에서는 큰 차이가 났었는데, 요즘은 거의 차이가 안 나더라구요.

그런데 여러명의 사용자가 접속해서 사용하기가 편해서 리눅스에서 쓰고 있습니다.

특수 목적의 용도보다는 영상, 게임 이런 곳에서의 성능이 일반인한테는 더 부각될거 같은게 흠이네요.

[quote="draco":38ob8jrl]관련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윈도xp나 윈도7에서 지멋대로 하드를 긁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엔 백신이나 뭔가 스케쥴된 컴퓨터 관리작업이 있어서 그러나 싶었는데, 아닌거 같더군요.

어째튼 OS자체는 리눅스가 윈도보다 한단계 가볍게 움직이는 거 같습니다.
compiz니 뭐니 꾸며 놓으면 메모리랑 CPU잡아먹는것도 한도 끝도 없지만 ㅋㅋㅋ;;;[/quote:38ob8jrl]

Vista부터 인덱싱 기능과 슈퍼패치기능때문에 하드를 긁는일이 발생합니다
Vista / 7 설치후 이 기능 끄는게 가장 처음하는일이 되어버렸지요 ~_~

[quote="환상경":xo814ln3][quote="draco":xo814ln3]관련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윈도xp나 윈도7에서 지멋대로 하드를 긁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엔 백신이나 뭔가 스케쥴된 컴퓨터 관리작업이 있어서 그러나 싶었는데, 아닌거 같더군요.

어째튼 OS자체는 리눅스가 윈도보다 한단계 가볍게 움직이는 거 같습니다.
compiz니 뭐니 꾸며 놓으면 메모리랑 CPU잡아먹는것도 한도 끝도 없지만 ㅋㅋㅋ;;;[/quote:xo814ln3]

Vista부터 인덱싱 기능과 슈퍼패치기능때문에 하드를 긁는일이 발생합니다
Vista / 7 설치후 이 기능 끄는게 가장 처음하는일이 되어버렸지요 ~_~[/quote:xo814ln3]

XP에도 색인이 동작합니다. 서비스를 꺼버리거나…

윈도우 내장 검색기능을 꺼버리면 됩니다. 그리고 구글 데탑 :)

[quote="미야미야":25b8ehdi]특수 목적의 용도보다는 영상, 게임 이런 곳에서의 성능이 일반인한테는 더 부각될거 같은게 흠이네요.[/quote:25b8ehdi]

OpenGL기반의 퀘이크3는 리눅스가 더 빠릅니다… 그리고 ffmpeg 기반 플레이어도

성능은 더 좋으나 국내 유저에겐 곰플레이어같은 인터페이스가 더 익숙하니…

우선… 닫혀있는 웹을 해방하는 것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quote="lunatine":10lw84kd][quote="미야미야":10lw84kd]특수 목적의 용도보다는 영상, 게임 이런 곳에서의 성능이 일반인한테는 더 부각될거 같은게 흠이네요.[/quote:10lw84kd]

OpenGL기반의 퀘이크3는 리눅스가 더 빠릅니다… 그리고 ffmpeg 기반 플레이어도

성능은 더 좋으나 국내 유저에겐 곰플레이어같은 인터페이스가 더 익숙하니…

우선… 닫혀있는 웹을 해방하는 것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quote:10lw84kd]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는 당장 리눅스 & 오픈소스계열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일 아쉬운 부분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좋아지는것 같습니다.

[quote="미야미야":mu2tle8p]특수 목적의 용도보다는 영상, 게임 이런 곳에서의 성능이 일반인한테는 더 부각될거 같은게 흠이네요.[/quote:mu2tle8p]

매년마다 리눅스의 발전을 지켜 보면 그날도 머지 않은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