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탑pc에 설치후 터미널 창으로"만" 로그인 가능합니다.(제목 일부 수정했음)

안녕하세요?
저는 노트북 Sens P28모델에서 우분투8.10버전부터 아주 고맙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와 비슷한 사례가 있는지 검색을 해봐도 좀처럼 찾을수가 없어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예전부터 데스크탑에서도 설치를 해서 써보고 싶었고 (설치중 네트웤을 수동으로 잡아주었고, 설치중 오류나 경고메시지 없이) 설치까지는 잘 마쳤는데 그 특정 데스크탑에서만은 부팅후 늘 터미널창으로만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 이상 어떠한 작업도 해 보질 못했습니다.
참, USB Live 모드로도 사용은 가능한데, 제 설정을 저장하는 법을 몰라서 매번 설정을 잡아주면서 쓸 수도 없는 노릇이고…그래서 데스크탑에서만 사용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제 생각엔 HDD (0,1,0)과 (0,0,0) 쪽의 설치 우선 순위를 잘못한 것 같은데 선생님들의 지도을 바랍니다.

아래는 제 컴’의

  1. 윈도우에서 본 시스템 속성
    [attachment=0:2er535sr]spec.JPG[/attachment:2er535sr]
  2. 윈도우에서 본 하드디스크 파티션 테이블
    [attachment=1:2er535sr]partion.JPG[/attachment:2er535sr]
  3. 바이오스셑업 화면중 하드디스크 설정
    [attachment=2:2er535sr]P090424001.jpg[/attachment:2er535sr]
  4. 우분투 부팅화면 등 입니다.
    [attachment=3:2er535sr]P090424002.jpg[/attachment:2er535sr]
    [attachment=4:2er535sr]P090424003.jpg[/attachment:2er535sr]
    [attachment=5:2er535sr]P090424004.jpg[/attachment:2er535sr]
    위 마지막 화면부터 x-window로 (? 라고 하나요? ) 자동으로 진입을 할 수는 없는지? 다른 무었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090426일 18:40분에 제목 일부 수정했습니다.
데스크탑 설치후 터미널 창으로"만" 로그인 가능합니다. 에서
데스크탑PC에 설치후 터미널 창으로"만" 로그인 가능합니다.로

곧 바로 오타 수정했음.

grub 화면을 보면 서버 버전이 설치 되어있는 것같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서버 버전은 기본이 텍스트 모드입니다.

다시 데스탑버전으로 설치해 보십시오.

간단합니다. 서버버젼을 까셔서 그렇습니다.

데스크탑 버젼을 설치하시면 기본적으로 x-window(gdm)으로 뜹니다!

그리고 서버버젼도 x-window설치하는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만,

전 모르므로 그 부분은 다른 분들께…

제가 잘못 보았네요.
데스크탑버전을 설치하고 나서
서버 버전을 설치하신 것이군요.

그렇네요…

x-window를 따로 설치해야 되나요/

터미널창에 init 5 한번쳐보세요
런레벨이 3으로 되어있어서 그럴수도 있잖아요 ?!

sudo apt-get install ubuntu-desktop

으로 데스크탑 관련 패키지들을 설치해 보세요~ 실험은 안해봐서 모르겠으나… 될지두요 :)

[quote="dudndkqk":3ib3je7a]제가 잘못 보았네요.
데스크탑버전을 설치하고 나서
서버 버전을 설치하신 것이군요.[/quote:3ib3je7a]
예, (물론 같은 데스크탑 컴퓨터로) 과거 8.10때는 데스크탑 버젼을 설치했는데도 거의 똑같이 '터미널창’이 먼저 나왔고요, 최근 9.04버전이 나왔길래 (이번에는 서버 버젼으로) 다시 시도해 봤는데도 역시 같은 결과 였습니다.

다른 분들의 조언도 시도해 보고 결과 '보고’하겠습니다.

그림으로 확인해보니 첫번째 부팅 옵션이 서버 버전이네요.

부팅 시스템 고르는 grub 화면에서 키보드 방향키로 데스크탑 부팅을 선택하세요.(xxx-generic).

이렇게 했는데도 엑스-윈도우 (ms windows 는 이 이름에서 따 온 겁니다.)가 안 뜬다면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엑스-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엑스윈도우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 보단 xxx-desktop 요런 형식의 패키지를 설치해 보세요.(ubuntu-desktop 등).

서버버전을 설치하면서 부팅시에 무조건 텍스트모드로 부팅하도록 설정되었다:
이건 어디에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 모르니 그냥 startx 나 sudo /etc/init.d/gdm start 등 명령을 타이핑해 보세요.

gdm 패키지가 없다는 메세지가 나오면 gdm 패키지를 설치하세요.

시스템 그래픽카드를 지원 못한다:
이건 조금 이해하기 어려운 게 그래픽카드를 지원 못하면 보통 그런 에러 메시지가 뜨고 난 후에 터미널로
들어가거든요.

그리고 라이브씨디 상태에서는 그래픽환경이 되셨다니 더 아리송하네요.하긴 가끔가다가 라이브씨디와 설치상태에서 그래픽 환경이 다른 경우가 있긴 있습니다.

sudo dpkg-reconfigure xsever-xorg 던가를 실행시켜서 엑스 환경을 vesa 모드 같은 걸로 바꿔 보세요.

ps.
그리고 위에서 런레벨 이야기 하신 분 있는데, 그건 레드햇 계통에서나 통하는 이야기 입니다.
데비안 계통은 기본적으로 런레벨 2가 표준사용자 레벨이고, 레드헷은 3이 텍스트모드-네트워크-다중사용자, 5가 그래픽 모드-네트워크-다중 사용자입니다.

따라서 우분투에선 런베렐 조정하는 건 싱글모드인 1을 제외하고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부팅시에 (recovery) 라고 표시된 것이 그 싱글모드입니다.

ps.
그리고 쓸 데 없이 커널들이 너무 많은데 만약 데스크탑 부팅 성공한 후에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안 쓰는 서버커널들은 지워 버리세요.

이곳 게시판 팁란에서 본 것 같은데, 무슨 방법이 있더군요.
아니라면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실행시켜서 안 쓰는 커널 이름으로 검색(xxx-sever 등) 한 후에 모두 완전히 제거로 없애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