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윈도우 기준이지만 제가 우분투 9.10 64비트에서 동일 상황에서 크롬, 파폭 두 브라우저를 따로 테스트 해봤습니다.
컴퓨터 사양 : E6850, 램 4기가, ATI 3850(256), 우분투 9.10 64비트, 컴피즈 활성화 상태, docky, conky, Rainlendar Lite 사용 상태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기본 상태에서 벤치마크를 하지 않은 이유는 제가 윈도우를 사용할때도 에어로 활성화, 가젯 4개 정도로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와 같이 우분투에서도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벤치마크 점수를 알아보기 위해서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 벤치마크 했습니다.
아. 참고로 파폭은 아무 확장 기능도 없는 상태이고 크롬은 지메일 체커 하나 있는 상태입니다.
[b:2ocvdz9h]우선 MS Win7에서는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b:2ocvdz9h]
[attachment=1:2ocvdz9h]benchmarkwin7.jpg[/attachment:2ocvdz9h]
역시 크롬이 제일 빠르고 그 다음이 파폭이네요.
크롬은 Gesture만 깔았고 파폭은 Addon이 좀 있습니다.
Opera는 깔끔한 상태이고…
익스 8.0은 정말…ㅡㅡ; 뱅킹과 웹하드만 아니며…정말 쓸일이 없는 브라우저…
[b:2ocvdz9h]우분투 9.04에서는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b:2ocvdz9h]
[attachment=0:2ocvdz9h]BenchmarkUbuntu.png[/attachment:2ocvdz9h]
우분투에서는 제가 이 2개의 브라우저만 쓰는지라…
우분투에서도 역시 크롬이 파폭보다 나은성능을 보이네요.
참고로 우분투 파폭은 Addon기능 2개만 씁니다.
Compiz도 당연히 쓰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우분투보다 Win7에서 근소한 차이로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는데요…
이는 아무래도 제 글픽카드가 ATI인데 최신 fglrx 드라이버가 안깔리더군요…
그래서 우분투 9.4에서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fglrx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는데…
성능이 그저 그렇습니다…동영상도 원할히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바로 이런 문제로 좀 성능이 낮게 나오는게 아닌가 하는데요.(전문가가 아니라 그저 추측만…)
nglayout.initialpaint.delay -> 0
(nglayout.initialpaint.delay 항목이 없으면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새 항목을 만듭니다.)
network.http.pipelining -> true
network.http.proxy.pipelining -> true
network.http.pipelining.maxrequests -> 64 이상
nglayout.initialpaint.delay -> 0
(nglayout.initialpaint.delay 항목이 없으면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새 항목을 만듭니다.)
network.http.pipelining -> true
network.http.proxy.pipelining -> true
network.http.pipelining.maxrequests -> 64 이상
파폭을 쓰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browser.cache.memory.capacity 때문이죠.
어차피 메모리가 남아도는 요즘 시대에 느릴뿐더러 하드디스크 조각을 유발시키는 디스크캐시를 사용할 이유가 크게 없는지라 할수 있다면 디스크 캐시를 비활성화시킬수 있는 파폭이 저에겐 최선의 웹브라우저입니다.
웹킷엔진 웹브라우저(크롬, 사파리)는 렌더링 속도는 빠른 반면 이 기능이 없어서 아직 주 웹브라우저로 사용하기가 꺼려지더군요. IE야 렌더링 속도를 말하기 전에 캐시 구조 자체가 지극히 비효율적이고요. 대체 파일 다운로드를 할때 왜 임시파일 폴더를 한번 거치게 만든건지… 그나마 오페라가 괜찮긴 하지만 오페라의 경우 인터페이스가 워낙 다른 웹브라우저와 동떨어진지라 손에 익기가 참 힘들더군요.
그런데 왜 윈도우에서의 속도가 더 빠른걸까요? 속도 면에서 여태까지 리눅스가 윈도우보다 빠른줄 알고 있었는데 요즘 진득하게 둘 다 사용하다 보면 꼭 그렇지가 않다는 것에 조금씩 놀라고 있습니다… -_-;;;
[quote="dongvil":21u1m9sa]파폭을 쓰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browser.cache.memory.capacity 때문이죠.
어차피 메모리가 남아도는 요즘 시대에 느릴뿐더러 하드디스크 조각을 유발시키는 디스크캐시를 사용할 이유가 크게 없는지라 할수 있다면 디스크 캐시를 비활성화시킬수 있는 파폭이 저에겐 최선의 웹브라우저입니다.
(중략)
그런데 왜 윈도우에서의 속도가 더 빠른걸까요? 속도 면에서 여태까지 리눅스가 윈도우보다 빠른줄 알고 있었는데 요즘 진득하게 둘 다 사용하다 보면 꼭 그렇지가 않다는 것에 조금씩 놀라고 있습니다… -_-;;;[/quote:21u1m9sa]
음… 저는 파폭 메모리 캐시는 누수현상(?)이 좀 있다고 그래서 안쓰는말이죠.
실제로도 조금 경험했구요.
개인적으로는 램디스크 설정 후 쓰는 게 더 안정적인 듯 하더군요.
그냥 메모리캐시보단(그냥 저는 그렇다는).
그리고 Windows에서의 속도가 더 빠른건 아무래도 웹 브라우저 자체도, 플래쉬플레이어 등도 그렇고 다 Windows를 위주로 개발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