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들어 예전에 하지 못했던 가상화 구현에 열을 쏟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가상화 실험을 하던 중 한자키와 한/영키를 사용하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머리 싸매고 노력한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우선 제 우분투 환경과 컴퓨터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list:eyppi6tt]
[:eyppi6tt]Qsenn GP-K5000 키보드와 Logitech G1 마우스[/eyppi6tt]
[:eyppi6tt]Ubuntu Server 10.04.2 64-bit[/eyppi6tt]
[:eyppi6tt]최초 설치시 키보드 선택(F3)은 기본값으로 설정(US?)[/eyppi6tt]
[:eyppi6tt]sudo aptitude install --without-recommends ubuntu-desktop 으로 GUI 환경 설치[/eyppi6tt]
[:eyppi6tt]키보드 레이아웃(이 언제 바뀐 것인지 기본인지는 모르겠지만)은 Korea, Republic of[/eyppi6tt]
[:eyppi6tt]언어 지원(Language Support)에 처음 접속할 때 자동으로 몇 가지 패키지를 설치하고 locale을 설정(en-US, en-XX 등)하였고, 한글 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eyppi6tt]
[:eyppi6tt]LANG=C, LANGUAGE=en-US로 설정이 되어 있네요.[/eyppi6tt]
[:eyppi6tt]기타 설치 및 설정은 관계가 없다고 보아 생략합니다.[/eyppi6tt][/list:u:eyppi6tt]
여기서 중요한 것은 키보드 레이아웃입니다.
Korea, Republic of로 사용할 때는 설정한 키보드 레이아웃으로 두 키를 사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오른쪽 Alt, Ctrl도 사용할 수 있었지만, Korea, Republic of 101/104 key Compatible로 사용할 때는 설정한 키보드 레이아웃으로 두 키의 사용이 불가능하였습니다. 오히려 오른쪽 Ctrl키는 한자키 역할을 대신하더군요(rdesktop의 경우).
먼저 rdesktop에서 두 키를 사용하려면 도움말을 보고 옵션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code:eyppi6tt]-k ko[/code:eyppi6tt]
여기서 ko는 /usr/share/rdesktop/keymaps 디렉토리에 있는 ko 파일을 가르킵니다.
위와 같이 간단하게 설정하면 한자키 및 한/영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검색하면 해결방법 및 구 버전의 패치 등 정보가 많습니다만, 확실한 제 경험을 한 번 올려봅니다.
QEMU(또는 KVM) 안의 가상 머신에서 두 키를 사용하려면 조금 복잡합니다.
…라고 썼는데 이건 뭐 개그도 아니고…
원래 장황하게 썼던 글을 지우고 문제만 일단 올립니다.
제가 착각을 했네요.
rdesktop처럼
[code:eyppi6tt]-k ko[/code:eyppi6tt]
위의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사용하면
[code:eyppi6tt]Warning: no scancode found for keysym 0[/code:eyppi6tt]
라고 나오네요.
안 쓰면 두 키가 서로 상대키의 역할을 하며 인식합니다.
이 때 가상 머신 Windows XP의 키보드는 한글 PS/2 키보드, USB 키보드(103/106키)입니다.
그럼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
…
마치려고 했는데, 이제는 rdesktop에서 Caps Lock이 작동하지 않네요.
이것은 ko 키보드 레이아웃에서 common 파일을 불러들이는데(include) 두 개를 비교하니 Caps Lock 키가 서로 다릅니다. 아마도 QEMU의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이네요.
Rdesktop의 ko 레이아웃에
[code:eyppi6tt]
Caps Lock added by SkyKiDS
Caps_Lock 0x3a
[/code:eyppi6tt]
위의 코드를 추가하면 알아서 override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첨부한 파일을 받아서 쓰세요.
[attachment=0:eyppi6tt]ko-rdesktop.txt[/attachment:eyppi6tt]
지금 쓰면서 수정한 것이라 테스트는 나중에 하겠습니다.
여러분들, 파일을 내려받아 사용하실 때 파일명을 ko로 바꿔서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 바꾸고 되는지 시험하지 않아서 바로 사용가능하다고 말씀 못 드리겠어요.
그럼 정말 여기서 줄입니다.
수정 1
Rdesktop은 원격 컴퓨터의 환경이 MS IME 2007이고, QEMU는 설치 후 기본입니다(IME 2000인가 2002인가;).
이게 어떤 차이를 가져올 수도 있겠네요.
QEMU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을 지정하지 않으면 1. 한자키는 한/영키 역할을, 한/영키는 한자키 역할을 할 뿐 다른 문제는 없네요. 2. 기본으로 어떤 키보드 레이아웃을 사용하는지 궁금하네요. common 뿐일지 아니면 en-US일지…
이거 고치려면 소스를 수정하여 컴파일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전문가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