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서 rar등의 압축을할때 윈도우에서 정상적으로 열리게 하는 방법 없을까요?

가끔 해외 웹하드에 파일을 올리거나 보낼때 우분투에서 rar포맷으로 압축을 자주 하는데요
우분투에서는 열리면 괜찮지만 영어가 아닌 유니코드로 되어있는 언어가 파일에 들어가있으면
윈도우에서 압축을 풀려고 하면 파일명이 깨져버리더군요
압축시대로 유니코드 모드로 보면 파일명이 정상적인것을 보니 유니코드 압축이 문제가 되는것 같은데요
우분투에서 CP949로 압축을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윈도우에서 CP949로 압축한것을 우분투에서 정상적으로 푸는 방법이 있는것 같던데…
해결 방법 아시는 분들 도움 부탁드립니다.

글자 깨지는 문제 등 다국어 문제 때문에 나온 것이 유니코드입니다.
MS 윈도우가 기본 인코딩으로 유니코드(utf-8)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iconv 유틸리티로 파일 이름을 cp949로 변경 후에 압축한 후 MS윈도우로 복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iconv 로 파일 이름을 cp949로 변경 후 압축했을 때 압축이 되는지 안 되는지는 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cp949 파일 이름이 우분투에서 깨질 때는 그놈 터미널 메뉴에서 Terminal –> Set Character Encoding –> Add or Remove 에서 euc-kr 또는 uhc 선택하시면 됨.

다른 방법으로는 MS윈도우용 압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파일 이름이 utf-8 로 압축된 것을 MS윈도우에서 풀 때 cp949로 바꾸어서 풀어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는데… 이런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MS윈도우에서 iconv 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utf-8 을 cp949로 바꿔주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군요.

cp949로 압축을 하면, 반대로 리눅스에서 압축해제할 때 문제가 생깁니다.
unzip -O 옵션으로 해제할 수 있으나, 번거롭죠

UTF8은 표준인데… 이걸 지원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가 더 크다고 봅니다.

윈도우즈에서는 압축파일 인코딩을 지원하는 프리웨어인 "압축시대"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결론은 윈도우쪽에서 utf-8 지원하는게 기본화 되기를 기다리는게 좋겠군요
Winrar을 기본으로 쓰고있는데
어느 글에서는 rar 에서는 어느 OS에서나 유니코드를 지원한다는것 같았는데
해보니 아니더라고요…
뭔가 표준화 됬으면 좋겠네요…

우분투에 포함된 rar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버전인가 보네요.
최신버전을 받아서 확인해봤는데 지원을 합니다.

32bit

http://www.rarlab.com/rar/rarlinux-4.0.1.tar.gz

64bit

http://www.rarlab.com/rar/rarlinux-x64-4.0.1.tar.gz

압축을 풀어서
rar, unrar 은 /usr/bin 에 복사
default.sfx 은 /usr/lib/ 에 복사

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deb로 패키징된걸 찾아봤는데 엉뚱한게 검색되어 나와서 포기했습니다.
직접 만드는건… 할 줄 몰라서 ^^;

11.04에는 4.0.b3 가 포함되어 있던데 이것도 유니코드를 지원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7zip을 사용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리고 싶네요.

아 제 말씀은 우분투에서 유니코드로만 해석과 압축을 해서
윈도우쪽에서 유니코드대신 CP949와 shift-JS로만 읽어버리니
상호간에 깨지는 현상이 있어서요…
윈도우에서 압축시대같은 다중 인코딩 지원 압축프로그램의 경우 괜찮지만 기본으로 쓸 경우에는 깨져버리는…

윈도우용 7-zip은 어떻나요? 일단 스펙에는 유니코드 지원을 잘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윈도우에서는 압축파일 관리를 위해 7-zip만 씁니다.

전 윈7을 주로 쓰다보니 오히려 cp949로 인코딩된 한글 파일명때문에 머리가 아픕니다… 특히 국내 음악 서비스에서 mp3에 cp949로 태그를 달면… 아우 짜증.

다들 감사드립니다.
gweere님 말씀 처음에는 제가 잘못 말했다 했지만 시도 해보니 우분투와 윈도우간의 한글 압축을 읽는게 가능해 졌더군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