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9.10설치후 samba를 이용해서 윈도xp가 설치된 컴에서 우분투컴의 공유폴더(뮤직비디오)로 접속하려는데 잘 안됩니다. 구글링 일주일정도 하고 설정을 아무리 바꿔봐도 접근권한이 없다고만 하네요 ㅜ.ㅜ;
뭐가 잘못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윈도에서는 방화벽에서 파일,프린터공유 예외는 설정했습니다. 역시 리눅스는 만만하지 않군요 …
저도 XP에서 우분투에 접속하는데 꽤 애를 먹었습니다.
user share로 설정했고 아무 이상이 없는데도 "권한이 없다" "다른 사용자로 접속되어 있다" 등등 연결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해결한 방법이…
XP 부팅하자마자 다른 것 아무것도 안하고 net use 명령으로 연결했습니다.
[quote:ucy1cxnk]net use z: \[u:ucy1cxnk]host\dir[/u:ucy1cxnk] /user:[u:ucy1cxnk]account[/u:ucy1cxnk] [u:ucy1cxnk]password[/u:ucy1cxnk][/quote:ucy1cxnk]XP가 물어보지도 않고 먼저 현재 계정의 정보로 자동으로 연결 시도하는 모양이더군요. 살짝 스치기만해도 연결…
그런데 VBox에서 XP의 계정정보를 우분투의 정보와 같게 했더니…
그냥 자동으로 연결되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더군요.
[quote="tinywolf":1f4bge4e]그런데 VBox에서 XP의 계정정보를 우분투의 정보와 같게 했더니…
그냥 자동으로 연결되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더군요.[/quote:1f4bge4e]
이게 잘은 모르지만 접속 인증을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로 해서 그렇더군요. Windows 끼리도 그렇고, Windows PC에 공유되어 있는 폴더에 접속할 때도 우분투 계정 정보와 같으면 되고요. 그 반대도 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래서 신입이 오면 파일서버에 계정 만들어 주고 동일한 계정 정보를 가지고 개인 PC를 세팅하라고 하죠.
[quote="pcandme":1v99r6b1][quote="tinywolf":1v99r6b1]그런데 VBox에서 XP의 계정정보를 우분투의 정보와 같게 했더니…
그냥 자동으로 연결되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더군요.[/quote:1v99r6b1]
이게 잘은 모르지만 접속 인증을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로 해서 그렇더군요. Windows 끼리도 그렇고, Windows PC에 공유되어 있는 폴더에 접속할 때도 우분투 계정 정보와 같으면 되고요. 그 반대도 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래서 신입이 오면 파일서버에 계정 만들어 주고 동일한 계정 정보를 가지고 개인 PC를 세팅하라고 하죠.[/quote:1v99r6b1]
맞습니다.
공유폴더 접근시 현재 로그인한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접근을 시도하느 서버의 공유폴더 권한과 동일하면 따로 묻지 않고 자동 접속되죠
그래서 그렇게 동일하게 만들어서 쓰는 경우를 종종 봤습니다.
편리하죠.
편리한게 다는 아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