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a? hda?

같은 하드디스크 파티션이 우분투에서는 /dev/sda1이라고 표시되고 데비안에서는 /dev/hda1이라고 표시되는군요.

왜 이렇게 다른 건가요?

우분투에서 SATA 는 sda 로 표시되는데… 데비안은 안 그런가보죠? 이상하네요. ^^;;

아니, 제가 지금 쓰는 하드는 E-IDE입니다만 우분투에서는 이것까지 sd*로 인식하던데 그게 무엇 때문에 그러는 건지 궁금해서 말입니다. :)

[quote="포풍저글링":16twh3x5]아니, 제가 지금 쓰는 하드는 E-IDE입니다만 우분투에서는 이것까지 sd*로 인식하던데 그게 무엇 때문에 그러는 건지 궁금해서 말입니다. :)[/quote:16twh3x5] IDE 하드는 hda로 인식되었었는데… 9.10에서 바뀌었나…??
좀 이상하네요. ??

리눅스 커널 2.6.20 이전까지는 PATA(또는 IDE)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ATAPI 주변장치 (CD/DVD, tape drives)들은 /dev/hd* 로
이름을 붙이고 SCSI 나 SATA 주변장치들만 /dev/sd* 로 불렀습니다.
커널 2.6.20부터 도입된 libata 코드때문에 ATA(pata + sata)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SCSI 주변장치 할것없이
전부 /dev/sd* 로 이름이 붙여지게 되죠.우분투는 gutsy(7.10) 커널부터 libata를 도입했던 걸로 기억됩니다.
물론 배포판에 따라 libata를 도입하지 않거나 도입하면서도 일부 옛버젼 드라이버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debian 커널인데 libata 를 도입하면서도 일부 패치(drivers-ata-ata_piix-postpone-pata.patch)를 통해 intel piix 칩셋을 쓰는 ide컨트롤러의 경우 libata-piix 드라이버 대신 구버젼 piix 드라이버를 로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2.6.20커널 부터 linux-2.6_2.6.33-1~experimental.1 이전까지 죽).

그래서 데비안 최신 커널이라도 인텔 칩셋 가진분들의 경우 sd* 대신 hd* 이름을 가지게 되죠.
데비안에서도 이 패치를 제거하고 libata 만을 쓰도록 커널 리컴파일 하면 sd*로 전부 바뀝니다.

아니면 최신 linux-2.6_2.6.33-1~experimental.1 데비안 커널을 쓰시던지.

데비안에서도 6.0(squeeze)에선 디폴트로 구버젼 드라이버없이 libata를 쓰게 될거라고 합니다만 모르죠 어떻게 될지.

그랬군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공부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