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무제한수명 SSD (1만회를 1억회로)

SLC = 100,000 회
MLC = 10,000 회
TLC = 1,000 회
QLC = 100 회

기사가 나온 시점은 2012년이고, 1만회 SSD 언급한 것으로 봐서는 MLC로 추정. 토글낸드 MLC는 1만 5천회~2만회였나… 삼성의 TLC SSD는 eTLC로 3000회 정도의 수명. 어쨌거나, 저 기술대로면 현재 1000회 수준인 TLC SSD의 수명을 1000만회 정도로 늘릴 수 있음. 이는 SLC의 현재 수명 10만회를 훨씬 상회

저 정도의 수명이 현실이 되면 SLC, TLC, MLC 구분이 완전히 사라지겠군요.

당장 TLC는 셀당 1000만번
QLC도 셀당 100만번 (?)

현재 멀티레벨셀 SSD들이 이 신기술과 만나면 기존 SLC의 수명을 훨씬 능가해버리니 이건 머…

http://www.techspot.com/news/50980-engi ... emory.html http://spectrum.ieee.org/semiconductors ... ion-cycles

결국 이래저래 관건은 컨트롤러 성능이 문제겠네요. HDD사라질 날도 멀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HDD수명은 아직 길어 보이네요… 저 기술이 개발되도 가격 안정화 되려면 …

전시회에 2.5인치에 8TB짜리가 나왔다는 이야기를 얼핏 본것 같은데…

하드디스크는 8TB를 마지막으로 양산할것 같다는 느낌…

8TB가 대중화될때즈음이면 단위 용량별 가격이 비슷해질것 같아요… 단지 예측입니당…

그런데 사실 저도 OCZ SSD 2년째 사용중이고…

Torrent Cache로 Read/Write 좀 심하게 쓰는편인데

SSD 수명체크 프로그램으로 확인해보면 아직 92%가 남아있네요…

그리고 SSD는 수명이 다 되는것이 더이상 Erase할 수 없다는 거지, Read에 대한 수명은 없다고 들었거든요…

요즘은 Ware-leveling 기술은 기본으로 깔고 가는것도 있고…

게임 DB서버같이 빈번한 4K Write가 일어나는 머신이 아니라면 수명 걱정은 안 해도 될 것 같은데요…

집에서 쓴다 치면 최소로 잡아도 한 5년은 사용 가능하고, 뭐 한 10년마다 SSD 한번씩 바꾸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